‘鐘呂’는 물론 鐘離權과 呂洞賓을 지칭한다. 道敎史에서는 일반적으로 이들을 鍾呂學派, 이들의 학문을 鍾呂內丹學 혹은 鍾呂金丹道라 지칭한다. 종려학의 궁극적인 목적은 修煉成仙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鐘呂’는 물론 鐘離權과 呂洞賓을 지칭한다. 道敎史에서는 일반적으로 이들을 鍾呂學派, 이들의 학문을 鍾呂內丹學 혹은 鍾呂金丹道라 지칭한다. 종려학의 궁극적인 목적은 修煉成仙에 ...
‘鐘呂’는 물론 鐘離權과 呂洞賓을 지칭한다. 道敎史에서는 일반적으로 이들을 鍾呂學派, 이들의 학문을 鍾呂內丹學 혹은 鍾呂金丹道라 지칭한다.
종려학의 궁극적인 목적은 修煉成仙에 있는데, 종려에 의하면 仙을 다섯 단계로 나눈다. 즉 鬼仙ㆍ人仙ㆍ地仙ㆍ神仙ㆍ天仙이 이것이다. 종려에 있어 최종목표는 천선이 되는 것이다.
종려 수련관의 기본원리는 “음에서 양이 생겨나고 양에서 음이 생겨난다.”라는 대원칙 하에 생명의 발생부터 탐구하여 인간의 생명을 心腎氣液으로 설명하고 그 바탕위에 선도수련관을 정립하고 있다.
성선의 수련법은 龍虎交媾를 통해 大藥을 생산하고 이 대약을 연성하여 순양의 생명체를 연성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大藥이란 사실상 一點元陽을 나의 몸 안에서(즉 腎ㆍ心ㆍ氣ㆍ液의 활동을 통해서) 추출하여 養生하는 것을 말한다. 대약이 양성된 뒤 발생하는 ‘身外有身’과 ‘脫質’이란 우리의 현실 중에 존재하는 불완전한 생명에서 그 안에 존재하는 본래적인 완전한 생명을 추출하고 양성한 뒤 불완전한 생명을 버리고 완전한 생명을 획득하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成仙修煉의 과정이다. 이 과정은 바로 形化ㆍ氣化ㆍ神化라는 육체와 정신의 부단한 변화를 내포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戈國龍, "道敎內丹學溯源" 종교문화출판사 2004
2 張伯端, "悟眞篇淺解" 중화서국 1997
3 "『鍾呂傳道集』, 道藏本"
4 "『道德經』"
5 "『西山群仙會眞記』, 道藏本"
6 "『秘傳正陽眞人靈寶畢法』, 道藏本"
7 "『周易』"
8 "『參同契』"
1 戈國龍, "道敎內丹學溯源" 종교문화출판사 2004
2 張伯端, "悟眞篇淺解" 중화서국 1997
3 "『鍾呂傳道集』, 道藏本"
4 "『道德經』"
5 "『西山群仙會眞記』, 道藏本"
6 "『秘傳正陽眞人靈寶畢法』, 道藏本"
7 "『周易』"
8 "『參同契』"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5-0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Asian Philosphy in Korea : SAPK | ![]() |
2007-01-24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2 | 0.42 | 0.4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7 | 0.49 | 1.246 | 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