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기요양 재가급여 수급자의 급여이용 유형별 영향 요인 = Determinants of the Types of In-Home Benefits among In-Home Long-Term Care Benefit Recipi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443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앤더슨의 행동모델을 기반으로 다섯 가지 재가급여 중 단기보호를 제외한 방문요양, 방문목욕, 방문간호, 그리고 주야 간보호 이용을 결정하는 요인을 소인 요인, 자원 요인, 욕구...

      이 연구는 앤더슨의 행동모델을 기반으로 다섯 가지 재가급여 중 단기보호를 제외한 방문요양, 방문목욕, 방문간호, 그리고 주야 간보호 이용을 결정하는 요인을 소인 요인, 자원 요인, 욕구 요인으로 구성하여 재가급여 유형간 이용을 결정짓는 요인을 분석하다. 2019년에 실시한 장기요양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재가급여 수급자 3,045명의 자료를 토대로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방문요양과 방문목욕 이용의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성별, 가구형태, 거주지역이 두 재가급여 이용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수급자의 건강상태 및 의료욕구 요인은 방문 요양과 방문목욕 간의 이용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방문요양과 방문간호 이용에 있어서는 장기요양인정등급만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방문요양을 기준집단으로 주야간보호 이용을 결정짓는 요인으로는 가구형태, 거주지역, 복지용구 개수, 장기요양인정등급, 치매여부, 만성질환 개수, 이동가능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일부 재가급여 선택과 이용에 있어 수급자 특성과 재가급여 특성 간의 불명확성과 간극에 대한 논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factors that determine types of in-home benefits for recipients of LTC benefits based on Andersen’s behavioral model. Long-term care survey data conducted in 2019 were used, and a multinomial logistic reg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factors that determine types of in-home benefits for recipients of LTC benefits based on Andersen’s behavioral model. Long-term care survey data conducted in 2019 were used, and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determinants of using home-visit care or home-visit bath were gender, household type, and area of residence, but recipients’ health status and medical needs factor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lso, only state of long-term care grading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variable in the use of visiting care or visiting nursing. Lastly,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use of day and night care or home-visit care were analyzed by household type, residential area, state of long-term care grading, dementia status, number of chronic diseases, and mobility level.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s and suggestions on the uncertainty and ga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LTC benefit recipi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home LTC benefits were present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용필, "중고령 장애인의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의향 예측요인 연구: 중고령 장애인집단내 연령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학회 25 (25): 125-159, 2018

      2 곽찬영, "장기요양보험 등급판정 대상자의 지역별 방문간호 서비스 이용만족도 및 요구도: 대도시, 중소도시, 농촌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7 (27): 114-123, 2016

      3 강은나, "방문형재가급여 수급자의 주거환경 및 서비스 제공환경 개선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4 이윤경,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이용형태 결정요인 연구" 한국노년학회 29 (29): 917-933, 2009

      5 이윤경,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이용 결정요인 분석 - 다층모형(HLM)을 통한 개인과 지역요인 분석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9 (29): 182-200, 2009

      6 한은정,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서비스 이용자의 시설서비스 이용 결정요인" 한국노년학회 31 (31): 259-276, 2011

      7 송미숙, "노인장기요양보험 시설급여 이용 선호에 영향을미치는 요인: 3~5등급 인정자를 대상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73 (73): 281-301, 2018

      8 한은정, "노인장기요양 재가서비스 이용자의 시설 입소 영향 요인" 한국보건간호학회 30 (30): 512-525, 2016

      9 황라일, "노인장기요양 방문간호 현황 및 추이" 동서간호학연구소 25 (25): 157-165, 2019

      10 박창제, "가족부양자의 노인장기요양보호서비스 유형 선택 결정요인분석" 한국노인복지학회 (70) : 31-52, 2015

      1 문용필, "중고령 장애인의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의향 예측요인 연구: 중고령 장애인집단내 연령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학회 25 (25): 125-159, 2018

      2 곽찬영, "장기요양보험 등급판정 대상자의 지역별 방문간호 서비스 이용만족도 및 요구도: 대도시, 중소도시, 농촌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7 (27): 114-123, 2016

      3 강은나, "방문형재가급여 수급자의 주거환경 및 서비스 제공환경 개선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4 이윤경,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이용형태 결정요인 연구" 한국노년학회 29 (29): 917-933, 2009

      5 이윤경,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이용 결정요인 분석 - 다층모형(HLM)을 통한 개인과 지역요인 분석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9 (29): 182-200, 2009

      6 한은정,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서비스 이용자의 시설서비스 이용 결정요인" 한국노년학회 31 (31): 259-276, 2011

      7 송미숙, "노인장기요양보험 시설급여 이용 선호에 영향을미치는 요인: 3~5등급 인정자를 대상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73 (73): 281-301, 2018

      8 한은정, "노인장기요양 재가서비스 이용자의 시설 입소 영향 요인" 한국보건간호학회 30 (30): 512-525, 2016

      9 황라일, "노인장기요양 방문간호 현황 및 추이" 동서간호학연구소 25 (25): 157-165, 2019

      10 박창제, "가족부양자의 노인장기요양보호서비스 유형 선택 결정요인분석" 한국노인복지학회 (70) : 31-52, 2015

      11 Andersen, R. M., "Revisiting the behavioral model and access to medical care: Dose it Matter?" 36 : 1-10, 1995

      12 Wong, A., "Predictors of long-term care utilization by Dutch hospital patients aged 65+" 10 : 2010

      13 Yang, P. Q., "Explaining immigrant health service utilization : A theoretical framework" 6 (6): 215824401664813-, 2016

      14 Liu, C., "Community-based long-term care services : If we build it, will they come?" 28 (28): 307-323, 2016

      15 Heger, D., "Care choices in Europe: To each according to his or her needs?" 55 : 1-16, 2018

      16 Andersen, R. M., "Behavioral Model of Families’ Use of Health Services" Center for Health Administration Studies, University of Chicago 1968

      17 강은나, "2019년도 장기요양실태조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18 국민건강보험, "2019 노인장기요양보험 통계연보"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