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실업, 빈곤과 투표행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524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정치경제이론에서 정책결정 과정 도구 가운데 하나인 투표에 관한 연구이다. 투표가 경제적 관점에서 주목 받는 이유는 선거를 통해 선출된 후보자가 경제정책 수립시 자신을 지지해 준 유권자들의 편익을 경제정책에 반영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정치경제이론에서는 모든 유권자가 투표과정에 참여한다는 가정을 두고 있으나 현실에서는 그렇지 않기에 본 연구에서는 어떤 유형의 유권자들이 투표과정에서 이탈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1992년부터 2008년까지의 국회의원 및 대통령 선거자료를 이용하여 거시분석을 한 후 1992년, 1997년, 2002년도에 조사된 ‘대통령선거 유권자 의식조사자료’를 이용하여 미시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시분석 결과 투표율은 경기순행적 관계를 가진다. 즉, 경제상황이 좋을 경우 투표율은 증가하는 반면 반대의 경우 투표율이 하락하는 이탈가설을 지지한다. 둘째, 미시분석 결과 실업상태에 있는 유권자와 빈곤에 처한 유권자들이 투표과정에서 이탈한다. 이러한 결과는 누군가를 내세워 경제적 이익을 얻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경제주체들은 자신의 효용을 빠른 시간에 높일 수 있는 개인적 관심사에 높은 비중을 두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결과를 정치경제이론모형에 적용시 정치경제 균형의 성격이 100% 투표율을 가정하는 경우와는 다를 가능성을 시사한다. 즉, 중위소득보다 높은 쪽에서 정치경제 균형이 결정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정치경제이론에서 정책결정 과정 도구 가운데 하나인 투표에 관한 연구이다. 투표가 경제적 관점에서 주목 받는 이유는 선거를 통해 선출된 후보자가 경제정책 수립시 자신을 지...

      본 연구는 정치경제이론에서 정책결정 과정 도구 가운데 하나인 투표에 관한 연구이다. 투표가 경제적 관점에서 주목 받는 이유는 선거를 통해 선출된 후보자가 경제정책 수립시 자신을 지지해 준 유권자들의 편익을 경제정책에 반영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정치경제이론에서는 모든 유권자가 투표과정에 참여한다는 가정을 두고 있으나 현실에서는 그렇지 않기에 본 연구에서는 어떤 유형의 유권자들이 투표과정에서 이탈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1992년부터 2008년까지의 국회의원 및 대통령 선거자료를 이용하여 거시분석을 한 후 1992년, 1997년, 2002년도에 조사된 ‘대통령선거 유권자 의식조사자료’를 이용하여 미시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시분석 결과 투표율은 경기순행적 관계를 가진다. 즉, 경제상황이 좋을 경우 투표율은 증가하는 반면 반대의 경우 투표율이 하락하는 이탈가설을 지지한다. 둘째, 미시분석 결과 실업상태에 있는 유권자와 빈곤에 처한 유권자들이 투표과정에서 이탈한다. 이러한 결과는 누군가를 내세워 경제적 이익을 얻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경제주체들은 자신의 효용을 빠른 시간에 높일 수 있는 개인적 관심사에 높은 비중을 두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결과를 정치경제이론모형에 적용시 정치경제 균형의 성격이 100% 투표율을 가정하는 경우와는 다를 가능성을 시사한다. 즉, 중위소득보다 높은 쪽에서 정치경제 균형이 결정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typical theory of political economy makes an unrealistic assumption that all voters participate in voting. While this may be a simplifying assumption, it is not innocuous. Actual participation in voting may bias the representation of various interests of the constituents. We examine the association of voting behavior with economic shocks at both macro and micro levels using recent national elections in Korea. The macro data shows that an adverse economic shock lowers voter participation. The evidence from the micro data is that the unemployed individuals are less likely to vote than the employed ones. The evidences are consistent with the so-called "withdrawal" view.
      번역하기

      A typical theory of political economy makes an unrealistic assumption that all voters participate in voting. While this may be a simplifying assumption, it is not innocuous. Actual participation in voting may bias the representation of various interes...

      A typical theory of political economy makes an unrealistic assumption that all voters participate in voting. While this may be a simplifying assumption, it is not innocuous. Actual participation in voting may bias the representation of various interests of the constituents. We examine the association of voting behavior with economic shocks at both macro and micro levels using recent national elections in Korea. The macro data shows that an adverse economic shock lowers voter participation. The evidence from the micro data is that the unemployed individuals are less likely to vote than the employed ones. The evidences are consistent with the so-called "withdrawal" view.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 Ⅲ. 거시분석
      • Ⅳ. 미시분석
      • Ⅴ. 실업과 빈곤의 상관관계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 Ⅲ. 거시분석
      • Ⅳ. 미시분석
      • Ⅴ. 실업과 빈곤의 상관관계
      • Ⅵ. 결론
      • 참고문헌
      • 〈부표〉 성향점수 추정 및 생애주기모형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상훈, "한국의 유권자는 지역주의에 의해 투표하나: 제16대 총선의 사례" 한국정치학회 2 : 113-134,

      2 정진민, "한국선거에서의 세대요인" 26 (26): 145-167, 1992

      3 강원택, "투표 불참과 정치적 불만족: 기권과 제 3 당 지지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36 (36): 153-174, 2002

      4 강원택, "지역주의 투표와 합리적 선택: 비판적 고찰" 34 (34): 51-67, 2000

      5 양창윤, "지역 정치문화와 선거" 한국정치학회 35 (35): 173-196, 2001

      6 최영진, "제16대 총선과 한국 지역주의 성격" 한국정치학회 35 (35): 149-165, 2001

      7 황아란, "선거구 특성이 투표율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치학회 30 (30): 285-298, 1997

      8 안종범, "빈곤과 실업의 원인과 복지정책의 효과" 한국노동경제학회 25 (25): 75-95, 2002

      9 정진민, "민주화 이후 한국의 선거정치: 세대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33 (33): 115-134, 1999

      10 지병근, "경제발전과 민주주의가 투표율에 미친 영향: 신생민주체제에 대한 교차국가연구" 비교민주주의학회 2 (2): 5-32, 2006

      1 박상훈, "한국의 유권자는 지역주의에 의해 투표하나: 제16대 총선의 사례" 한국정치학회 2 : 113-134,

      2 정진민, "한국선거에서의 세대요인" 26 (26): 145-167, 1992

      3 강원택, "투표 불참과 정치적 불만족: 기권과 제 3 당 지지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36 (36): 153-174, 2002

      4 강원택, "지역주의 투표와 합리적 선택: 비판적 고찰" 34 (34): 51-67, 2000

      5 양창윤, "지역 정치문화와 선거" 한국정치학회 35 (35): 173-196, 2001

      6 최영진, "제16대 총선과 한국 지역주의 성격" 한국정치학회 35 (35): 149-165, 2001

      7 황아란, "선거구 특성이 투표율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치학회 30 (30): 285-298, 1997

      8 안종범, "빈곤과 실업의 원인과 복지정책의 효과" 한국노동경제학회 25 (25): 75-95, 2002

      9 정진민, "민주화 이후 한국의 선거정치: 세대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33 (33): 115-134, 1999

      10 지병근, "경제발전과 민주주의가 투표율에 미친 영향: 신생민주체제에 대한 교차국가연구" 비교민주주의학회 2 (2): 5-32, 2006

      11 Lee, Junhan, "Who Votes and Why in Korea?" 16 (16): 183-198, 2004

      12 Evans, Jocelyn, "Voting: an introduction" Sage Publication 2004

      13 Lazarsfeld, P., "The People's Choice: How the Voter Makes up His Mind in a Presidential Campaign" Columbia University Press 1944

      14 Ferejohn, John A., "The Paradox of Not Voting: A Decision theoretic Analysis" 68 (68): 525-536, 1974

      15 Southwell, Priscila L., "The Mobilization Hypothesis and Voter turnout in congressional Elections, 1974-1982" 41 (41): 273-287, 1988

      16 Wass, Hanna, "The Effects of Age, Generation and Period on Turnout in Finland 1975-2003" 26 : 648-659, 2007

      17 Arceneaux, Kevin, "The Conditional Impact of Blame Attribu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Adversity and Turnout" 56 (56): 67-75, 2003

      18 Arcelus, Francisco, "The Conditional Impact of Blame Attribution on th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Adversity and Turnout" 69 (69): 1232-1239, 1975

      19 Radcliff, Benjamin, "Th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86 (86): 444-454, 1992

      20 Feddersen, Timothy J., "Ratinal Choice Theory and the Paradox of Not Voting" 18 (18): 99-112, 2004

      21 Lee, Myoung-Jae, "Micro-Econometrics for Policy, Program, and Treatment Effects" Springer 2005

      22 Pacek, Alexander C., "Macroeconomic Conditions and Electoral Politics in East Central Europe" 38 (38): 723-744, 1994

      23 An, Chong Bum, "Government expenditure and Political Business cycle" 16 (16): 193-206, 2000

      24 Rosenstone, Steven J., "Economic Adversity and Voter Turnout" 26 (26): 25-46, 1982

      25 Bahry, Donna, "Economic Adversity and Public Mobilization in Russia" 20 : 371-398, 2001

      26 Davis, Otto A., "An Expository Development of a Mathematical Model of the Electoral Process" 64 (64): 426-448, 1970

      27 Riker, Willia H., "A Theory of the Calculus of Voting" 62 (62): 25-42, 196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1 0.81 1.23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