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전래 시장옥(市場屋)의 기능적 변화특성에 관한 연구-경북 울진군 매화1리 매화장시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2282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spatial form and functional transition of Korean traditional shop house in Maehwa marketplace, Uljin. The general form of Korean traditional shop house of Maehwa marketplace was the timbered house of the tin roof built in the 1960s. As the scale of a building being comparatively small-scale, building area is 60㎡ and the yard was mainly made behind the building. When the spatial form of Korean traditional shop house is considered, the composition of 4 by 2 is most. And in the front of a building, the shop is located, and when the back of a building prepares a residence, integration of a sales function and a habitation function is seen. The shop of Korean traditional shop house is converted into living space by change of the function, and the position is the middle of a front of building. This is considered as what inherited the Korean lifestyle. And the last, Although it is not different from the appearance of the shop house of other areas, since there are few grades of the change in comparison, the extension situation of Korean traditional shop house is recognized as an example important for future research.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spatial form and functional transition of Korean traditional shop house in Maehwa marketplace, Uljin. The general form of Korean traditional shop house of Maehwa marketplace was the timbered house of the tin roof built i...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spatial form and functional transition of Korean traditional shop house in Maehwa marketplace, Uljin. The general form of Korean traditional shop house of Maehwa marketplace was the timbered house of the tin roof built in the 1960s. As the scale of a building being comparatively small-scale, building area is 60㎡ and the yard was mainly made behind the building. When the spatial form of Korean traditional shop house is considered, the composition of 4 by 2 is most. And in the front of a building, the shop is located, and when the back of a building prepares a residence, integration of a sales function and a habitation function is seen. The shop of Korean traditional shop house is converted into living space by change of the function, and the position is the middle of a front of building. This is considered as what inherited the Korean lifestyle. And the last, Although it is not different from the appearance of the shop house of other areas, since there are few grades of the change in comparison, the extension situation of Korean traditional shop house is recognized as an example important for future researc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대상지 및 조사개요
      • 2.1 연구대상지 개요
      • 2.2 조사개요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대상지 및 조사개요
      • 2.1 연구대상지 개요
      • 2.2 조사개요
      • 3. 시장옥의 공간구성 및 형태
      • 3.1 시장옥의 건축물현황
      • 3.2 건물정면 칸수에 의한 유형
      • 3.3 주․상기능의 통합과 뒷마당의 형성
      • 4. 시장옥의 기능적 변화
      • 4.1 기능 및 용도변화에 따른 점포공간의 개조
      • 4.2 건물외관의 변화특성
      • 4.3 증․개축에 따른 평면확장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훈, "한국의 정기시장:5일시장의 구조와 기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77

      2 이재하, "한국의 장시-정기시장을 중심으로" 민음사 1991

      3 주영하, "한국의 시장 : 사라져가는 오일장을 찾아서" 공간미디어 1996

      4 유교성, "한국상공업사, 고대민족문화연구소, 한국문화사대계Ⅱ"

      5 유원동, "한국근대경제사연구" 1988

      6 정태용, "한국건축에 나타난 근대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 1994

      7 손정목, "조선시대도시사회연구" 일지사 1988

      8 강만길, "조선시대 상공업사연구" 1984

      9 유원동, "이조후기상공업사연구" 1968

      10 울진군, "울진통계연보" 2007

      1 김성훈, "한국의 정기시장:5일시장의 구조와 기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77

      2 이재하, "한국의 장시-정기시장을 중심으로" 민음사 1991

      3 주영하, "한국의 시장 : 사라져가는 오일장을 찾아서" 공간미디어 1996

      4 유교성, "한국상공업사, 고대민족문화연구소, 한국문화사대계Ⅱ"

      5 유원동, "한국근대경제사연구" 1988

      6 정태용, "한국건축에 나타난 근대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 1994

      7 손정목, "조선시대도시사회연구" 일지사 1988

      8 강만길, "조선시대 상공업사연구" 1984

      9 유원동, "이조후기상공업사연구" 1968

      10 울진군, "울진통계연보" 2007

      11 "울진군지, 울진군, 2007"

      12 "울진군 매화리 건축물 관리대장 및 항측도, 항공사진"

      13 김대길, "시장을 열지못하게 하라-조선시대의 상인과 시장이야기" 가람기획 2000

      14 윤현수, "매화마을약사" 2007

      15 최태호, "근대한국경제사연구" 국민대학교 출판부 1996

      16 村山智順, "朝鮮場市の硏究" 國書發行會 1999

      17 善生永助, "朝鮮の市場" 8 : 1924

      18 坂靜雄, "京都市竝びた東京市の小住宅․小商店の現狀調査 (1)․(2)" 1940

      19 "京の町家考" 경도신문사 1995

      20 "京の町家, 島村昇他, 鹿島硏究所出版會, 197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3-21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KCI등재후보
      2005-03-21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4 0.34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7 0.81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