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번역)『박통사』(상)의 난해어 = Some abstrusity verb and adjective words in (beonyeok)Baktongs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311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ims lexicologically to research difficulty words which we could not understand the meaning of declinable words in the (Beonyeok)Baktongsa(朴通事) volume one. By this research, we find out meaning of several verbal words, as follows "j...

      This article aims lexicologically to research difficulty words which we could not understand the meaning of declinable words in the (Beonyeok)Baktongsa(朴通事) volume one. By this research, we find out meaning of several verbal words, as follows "japsoeu-[잡소으-](lesson 1 ), hyang-nario-[향나리오-](lesson 2), bopnol-[봅놀-](lesson 19), al-[알-](lesson 26), gatalh?-[가탈하-](lesson 33), and also uncovered meanings of abjective words like s?m?itgap-[사밋갑-](lesson 6), s?lgap-[살갑-](lesson 6), p?n[펀](lesson 13) etc..
      This thesis present the reason why gatalh?-[가탈하-] means ‘totter’, ‘stagger’ and ‘stagger’. And also it was a significant research which find out ‘s?m?itgap-[사밋갑]-’ means ‘considerate(생각이) 깊-’ and the word of p?n[펀]means ‘p?l-[펄-]’ as meaning of ‘bluish green’. In fact, it was the controversialword. There were controversies in interpreting the meaning of these words.Of course still there were lots of unsolved words in (Beonyeok)Baktongsa(朴通事), those are wait for in-depth researc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번역)『박통사』(상)의 동사류 난해어
      • 3. (번역)『박통사』(상)의 형용사류 난해어
      • 4. 맺음말
      • 참고문헌
      • 1. 머리말
      • 2. (번역)『박통사』(상)의 동사류 난해어
      • 3. (번역)『박통사』(상)의 형용사류 난해어
      • 4.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鄭光, "「노박집람」과 「노걸대」,「박통사」의 舊本" 진단학회 (89) : 2000

      2 李丙疇, "老朴集覽考" 進修堂 1966

      3 崔世珍, "老朴集覽"

      4 朴在淵, "老乞大, 朴通事 原文, 諺解 比較 資料" 鮮文大學校 中韓飜譯文獻硏究所 2003

      5 梁伍鎭, "老乞大 朴通事 硏究" 太學社 1998

      6 李賢熙, "중세국어 ‘둗겁-’의 형태론" 진단학회 63 : 133-150, 1987

      7 유창돈, "이조어 사전"

      8 한글학회, "우리말 큰사전 4-옛말과 이두" 한글학회 1991

      9 정승혜, "외국어 교재로서의 노걸대(老乞大)" 이중언어학회 26 (26): 291-328, 2004

      10 김양진, "역학서(譯學書)에 나타난 색채어 계열 말[馬] 명칭 연구 - 『어제증정청문감(御製增訂淸文鑑)』의 만주어 뜻풀이를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원 (57) : 657-708, 2012

      1 鄭光, "「노박집람」과 「노걸대」,「박통사」의 舊本" 진단학회 (89) : 2000

      2 李丙疇, "老朴集覽考" 進修堂 1966

      3 崔世珍, "老朴集覽"

      4 朴在淵, "老乞大, 朴通事 原文, 諺解 比較 資料" 鮮文大學校 中韓飜譯文獻硏究所 2003

      5 梁伍鎭, "老乞大 朴通事 硏究" 太學社 1998

      6 李賢熙, "중세국어 ‘둗겁-’의 형태론" 진단학회 63 : 133-150, 1987

      7 유창돈, "이조어 사전"

      8 한글학회, "우리말 큰사전 4-옛말과 이두" 한글학회 1991

      9 정승혜, "외국어 교재로서의 노걸대(老乞大)" 이중언어학회 26 (26): 291-328, 2004

      10 김양진, "역학서(譯學書)에 나타난 색채어 계열 말[馬] 명칭 연구 - 『어제증정청문감(御製增訂淸文鑑)』의 만주어 뜻풀이를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원 (57) : 657-708, 2012

      11 鄭光, "역주 老朴集覽" 태학사 2011

      12 김유범, "역주 청어노걸대신석" 박문사 2012

      13 鄭光, "역주 번역노걸대와 노걸대언해" 신구문화사 2006

      14 鄭光, "역주 原本老乞大" 김영사 2004

      15 민영규, "박통사저작연대" 9,10 : 1966

      16 스기야마 마시아키, "몽골 세계제국" 신서원 2004

      17 李賢熙, "다’ 어사의 성격에 대하여 -누러 다류와 엇더 다류를 중심으로-" 한신대학교 2 : 1985

      18 석주연, "노걸대와 박통사의 언어" 태학사 2003

      19 박성훈, "飜譯朴通事辭典" 태학사 2010

      20 崔世珍, "飜譯朴通事"

      21 왕하, "譯註 朴通事諺解" 학고방 2007

      22 鄭光, "譯學書 硏究" J&C 2002

      23 羅竹風, "漢語大辭典" 漢語大辭典 出版社 1994

      24 梁伍鎭, "漢學書硏究" 박문사 2010

      25 梁伍鎭, "漢學書 老乞大 朴通事 硏究" 제이앤씨 2008

      26 熊夢祥, "析津志輯佚" 北京古蹟出版社 1983

      27 왕하, "朴通事諺解譯註(3)" 중국연구소 40 : 2007

      28 유재원, "朴通事諺解譯註" 중국연구소 37 : 217-237, 2006

      29 權大運, "朴通事諺解"

      30 汪維輝, "朴在淵 校點" 鮮文大學校 中韓飜譯文獻硏究所 2003

      31 "朝鮮王朝實錄(國史編纂委員會 影印本)" 東國文化社 1955

      32 鄭丞惠, "文獻과 解釋" 5 : 1998

      33 陶宗儀, "南村輟耕錄" 新世紀万有文庫 1998

      34 史衛民, "元代社會生活史"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5

      35 김양진(金亮鎭), "他動詞 ‘*식다’를 찾아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4 (34): 137-156, 2006

      36 최재영, "『朴通事諺解』譯註(5)" 중국어문논역학회 18 (18): 589-612, 2008

      37 王霞, "『朴通事諺解』譯註(4)" 중국연구소 42 : 83-100, 2008

      38 김양진, "『朴通事』의 지명 연구1 - 대도 성내(城內)를 중심으로 -" 한국어학회 45 : 141-174, 2009

      39 김양진, "『朴通事』에 등장하는 몇몇 난해 지명에 대하여" 한국지명학회 15 : 33-61, 2009

      40 최재영, "《朴通事諺解》譯註(2)" 중국어문논역학회 18 (18): 357-380, 2006

      41 정승혜, "≪朴通事≫에 반영된 물가와 경제 -刪改本의 화폐 단위를 중심으로-" 민족어문학회 60 (60): 156-187, 2009

      42 박진호, "‘봄놀다’와 ‘붑괴다’에 대한 어원론적 형태론" 형태론연구회 2 (2): 209-214, 2000

      43 이병근, "‘바늘[針]’의 어휘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26 : 83-105, 2001

      44 정인호, "‘-앟/엏-’형 색채형용사의 지리적 분화 양상" 우리말글학회 43 : 25-49, 2008

      45 김양진, "<번역박통사>의 어휘 연구-몇몇 난해어를 중심으로" 한성어문학회 30 : 171-196, 2011

      46 최동권, "18세기 동북아시아 언어 교류 -이른바 『노걸대』사역원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23) : 37-82, 2013

      47 김양진, "(번역)『박통사』(上)의 명사류 난해어에 대하여" 국어사학회 (13) : 239-266,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72 1.376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