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에서의 독서활동 평가는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적인 학생’을 선발하고자 하는 입학사정관 제도에 부합한다. 또한 장기적으로 학교가 발전하기 위해서 다양한 지식과 통섭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044043
2011
-
37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5-41(37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고등학교에서의 독서활동 평가는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적인 학생’을 선발하고자 하는 입학사정관 제도에 부합한다. 또한 장기적으로 학교가 발전하기 위해서 다양한 지식과 통섭의...
고등학교에서의 독서활동 평가는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적인 학생’을 선발하고자 하는 입학사정관 제도에 부합한다. 또한 장기적으로 학교가 발전하기 위해서 다양한 지식과 통섭의 능력을 갖추고 창의성을 겸비한 지도자를 배출하는 것에 역점을 두고자 할 때 학생의 장기적 독서 활동을 점검하여 선발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의 학교생활기록부와 창의적 체험활동 종합지원 시스템을 통해 학생의 장기적인 독서활동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개발하고 이 기준에 근거하여 현재 시행 중인 대학입학사정관제에 독서 특기자를 연계시킬 수 있는 방법을 구안한다. 학교생활기록부를 통해 수집 가능한 정보는 수상경력, 봉사활동실적, 자격증 및 인증점수, 임원경력 등이다. 그리고 창의적 체험활동 종합지원 시스템을 통해서는 동아리 활동(독서 관련), 봉사활동(도서관 봉사), 독서활동(독서노트 작성), 방과 후 활동(특기 적성), 자율 활동(행사-대론대회 참석), 진로활동(자격증, 진로 탐색)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두 부분으로 나눈다. 학교생활기록부에 의한 점수 산출은 객관적 자료가 가능하기 때문에 비교적 용이하다. 그에 비해 창의적 체험활동 종합지원 시스템은 학생의 자율적인 활동이 핵심이기 때문에 그 진정성을 검토하기 위한 심층적인 기준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학교생활기록부와 창의적 체험활동 종합지원 시스템에 의해 학생의 장기적인 독서활동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모색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valuation of reading activity in high-school is in accord of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in selecting ‘creative students of whom a future society demands’ It is essential to check students’ long-term reading activities and have a selection pro...
Evaluation of reading activity in high-school is in accord of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in selecting ‘creative students of whom a future society demands’ It is essential to check students’ long-term reading activities and have a selection process for a long range development of school with the emphasis put on to produce a creative leader who has a wide knowledge and an ability of consilience.
Through a ‘comprehensive support system of creative experience program’, this study develops a standard to evaluate students’ long-term reading activities, which then discerns a way to connect the current system of admission officer system and students-in-talent with reading, based on the standard suggested above. Available information that can be gathered through a student record is number of awards, status of voluntary work, certification and experience of student board.
And through a comprehensive system of creative experience program, following activities can be measured: club activity (reading related), voluntary work (library duty), reading activity (making out reading note), after school work (specialty and aptitude), free activity (attending debate competition) and career activity (certification,careerexploration). Therefore this study is composed of two main parts. Thanks to the objective information given, grading on the basis of student record is relatively simple. However, for grading on the basis of comprehensive system of creative experience system, an in-depth standard is required to review its validity since students’ self-determination is a core factor to be measured. This study seeks a standard that can measure students’ long-term reading activity by student records and a comprehensive system of creative experience program.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이종, "학생 독서지도 어떻게 할 것인가" 교육과학사 2009
2 교육과학기술부, "학교생활길라잡이" 교육과학기술부 2010
3 박온자, "청소년용 독서자료에 관한 연구" (창간) : 1996
4 조영식, "창조적 독서교육Ⅱ" 교육과학사 2003
5 조영식, "창조적 독서교육Ⅰ" 교육과학사 2002
6 박영목, "작문능력 평가 방법과 절차" 99 : 1999
7 박영목, "언어와 교육" 한국방송대학교 출판부 2001
8 김자연, "상호중심 독서지도" 청동거울 2008
9 조태흠, "독서활동상황 반영 대입 전형제도 연구"
10 문영주, "독서토론 가이드북" 정인 2009
1 김이종, "학생 독서지도 어떻게 할 것인가" 교육과학사 2009
2 교육과학기술부, "학교생활길라잡이" 교육과학기술부 2010
3 박온자, "청소년용 독서자료에 관한 연구" (창간) : 1996
4 조영식, "창조적 독서교육Ⅱ" 교육과학사 2003
5 조영식, "창조적 독서교육Ⅰ" 교육과학사 2002
6 박영목, "작문능력 평가 방법과 절차" 99 : 1999
7 박영목, "언어와 교육" 한국방송대학교 출판부 2001
8 김자연, "상호중심 독서지도" 청동거울 2008
9 조태흠, "독서활동상황 반영 대입 전형제도 연구"
10 문영주, "독서토론 가이드북" 정인 2009
11 한우리 독서문화운동 본부, "독서자료론, 독서논술지도론" 위즈덤북 2010
12 임영규, "독서자료 선정과 활용" 박이정 2008
13 상명대 독서와 토론 교재편찬위, "독서와 토론" 상명대 2005
14 한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양교재 편찬위원회, "독서와 토론" 한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양교재 편찬위원회 2002
15 편집부, "독서와 토론" 역락 2005
16 한국어문능력개발원, "독서논술지도" 태영출판사 2009
17 임영규, "독서논술 지도의 방법과 실제" 정인 2008
18 부산광역시교육청, "독서교육지원시스템 활용 매뉴얼" 부산광역시교육청 2009
19 편집부, "독서교육론, 독서논술지도론" 위즈덤북 2007
20 김경일, "독서교육론" 일조각 1998
21 천경록, "독서 진단 검사 도구 개발의 방향" 한국독서학회 (11) : 357-384, 2004
22 천경록, "독서 능력 표준화 검사 도구의 연구 개발" 한국독서학회 (15) : 425-456, 2006
23 권혁준, "독서 교육의 이론과 방법" 박이정 2002
24 경기도 교육청, "도서관 활용 수업을 위한 길잡이-경기도교육청 장학자료" 2004
25 유영호, "논술잡는 스키마" 북포스 2006
26 정기철, "논술교육과 토론" 역락 2003
27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2010년 업무보고" 교육과학기술부 2009
28 오세영, "고등학교 독서" 천재교육 1995
29 노명완, "고등학교 독서" 한샘출판 1997
30 윤홍로, "고등학교 독서" 대정인쇄 1997
31 박갑수, "고등학교" 지학사 1997
32 한국독서학회, "21세기 사회와 독서 지도" 박이정 2009
33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2009
고등학교 사회과 다문화 수업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간문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동아리학급’을 중심으로 한 고등학교 진로교육프로그램 개발
미국 만 4세반 교사의 학급규칙 적용전략에 나타난 사회화 과정 고찰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2-1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EDUCATIONAL RESEARCH | ![]() |
201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8 | 0.78 | 0.7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6 | 0.65 | 0.972 | 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