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中原의 古都와 寰宇의 시공간적 세계 = 天下秩序의 창조적 상상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875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상고시대에 天人合一의 보편적 이념 속에 天下의 질서의식이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하는 문제에 주목한다. 특히 中原의 古都의 성격과 그 지역성에서 천하의 질서에 관한 연원을 추적해보고 그 속에 철학적 단서를 찾아볼 것이다. 이는 중원의 지역적 특수성으로부터 ‘大一統’과 같은 천하의 질서의식으로 발전하는 과정과 관련된다. 관건은 천하의 보편적 질서를 설계하는 창조적 상상력에 있다. 中原의 지역적 특수성에 바탕을 둔 세계관은 天圓地方의 천문학적 관념 하에 類比的 사유방식을 활용한 경험적 지식의 의식형태이다. 그것은 渾沌에서 질서로 나아가는 開天闢地의 세계에 기초한다. 특히 四方의 중심축에 담긴 자연철학적 원리는 자연지리적 視野가 인문지리적 視線으로 확충되는, 질서의식이 심화되는 과정을 반영한다. 이러한 실재의 세계는 天人의 구조에 따른 寰宇觀의 의식구조에 투영된다. 그러므로 중원의 지역이 지리의 共時性과 역사의 通時性을 확보하여 통치의 중심 혹은 중앙이라는 의식으로 강화되면서 天下의 질서의식의 價値觀으로 진화되었다. 이러한 가치관은 동아시아의 한자문화권과 같은 문화의 원형이 형성되고 정신적 기질이 발휘될 수 있는 시공간적 여지를 만들어갔다.
      번역하기

      본고에서는 상고시대에 天人合一의 보편적 이념 속에 天下의 질서의식이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하는 문제에 주목한다. 특히 中原의 古都의 성격과 그 지역성에서 천하의 질서에 관한 연원을...

      본고에서는 상고시대에 天人合一의 보편적 이념 속에 天下의 질서의식이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하는 문제에 주목한다. 특히 中原의 古都의 성격과 그 지역성에서 천하의 질서에 관한 연원을 추적해보고 그 속에 철학적 단서를 찾아볼 것이다. 이는 중원의 지역적 특수성으로부터 ‘大一統’과 같은 천하의 질서의식으로 발전하는 과정과 관련된다. 관건은 천하의 보편적 질서를 설계하는 창조적 상상력에 있다. 中原의 지역적 특수성에 바탕을 둔 세계관은 天圓地方의 천문학적 관념 하에 類比的 사유방식을 활용한 경험적 지식의 의식형태이다. 그것은 渾沌에서 질서로 나아가는 開天闢地의 세계에 기초한다. 특히 四方의 중심축에 담긴 자연철학적 원리는 자연지리적 視野가 인문지리적 視線으로 확충되는, 질서의식이 심화되는 과정을 반영한다. 이러한 실재의 세계는 天人의 구조에 따른 寰宇觀의 의식구조에 투영된다. 그러므로 중원의 지역이 지리의 共時性과 역사의 通時性을 확보하여 통치의 중심 혹은 중앙이라는 의식으로 강화되면서 天下의 질서의식의 價値觀으로 진화되었다. 이러한 가치관은 동아시아의 한자문화권과 같은 문화의 원형이 형성되고 정신적 기질이 발휘될 수 있는 시공간적 여지를 만들어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essay is focused upon explicating from what the order of world was originated and in what consciousness a mode of life was formed in Chinese ancient times. As the representative example, I pay attention to the character and region of the ancient capital of Zhongyuan. And, from the idealistic world of Zhongyuan, I trace a process of extending from the realm of local region to that of centrality of Tianxia. The key point of argument is the principle of natural philosophy such as the conception of opening heaven and beginning earth, the perspective of four quarters, the worldview of huanyu, etc. From the viewpoint of the principle of natural philosophy, it is to be understandable that the world of Zhongyuan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sustainable reality of opening heaven and beginning earth, oriented toward the historical utopia of time-pace in the practice of life and its social process. It stems from the human capacity of making creative imagination to make the order of Tianxia in accordance with the scheme of circular heaven and rectangular earth. After all, it is consequent that the world of Zhongyuan can a cornerstone of origination in establishing the archetype of culture and its ethos so as to make the unique boundary of Chinese character in the ancient East Asia.
      번역하기

      This essay is focused upon explicating from what the order of world was originated and in what consciousness a mode of life was formed in Chinese ancient times. As the representative example, I pay attention to the character and region of the ancient ...

      This essay is focused upon explicating from what the order of world was originated and in what consciousness a mode of life was formed in Chinese ancient times. As the representative example, I pay attention to the character and region of the ancient capital of Zhongyuan. And, from the idealistic world of Zhongyuan, I trace a process of extending from the realm of local region to that of centrality of Tianxia. The key point of argument is the principle of natural philosophy such as the conception of opening heaven and beginning earth, the perspective of four quarters, the worldview of huanyu, etc. From the viewpoint of the principle of natural philosophy, it is to be understandable that the world of Zhongyuan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sustainable reality of opening heaven and beginning earth, oriented toward the historical utopia of time-pace in the practice of life and its social process. It stems from the human capacity of making creative imagination to make the order of Tianxia in accordance with the scheme of circular heaven and rectangular earth. After all, it is consequent that the world of Zhongyuan can a cornerstone of origination in establishing the archetype of culture and its ethos so as to make the unique boundary of Chinese character in the ancient East Asi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I. 문제의식의 단초
      • II. 中原의 古都와 그 지역성의 原型
      • III. 開天闢地의 신화와 天圓地方의 세계
      • IV. 四方의 중심축과 자연철학적 원리
      • 요약
      • I. 문제의식의 단초
      • II. 中原의 古都와 그 지역성의 原型
      • III. 開天闢地의 신화와 天圓地方의 세계
      • IV. 四方의 중심축과 자연철학적 원리
      • V. 寰宇觀과 天下의 秩序意識
      • VI. 문제해결의 전망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석환, "장소와 장소성의 다의적 개념에 관한 연구" 32 (32): 1997

      2 최병두, "데이비드 하비의 지리학과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공간들" 한국학연구원 (42) : 7-38, 2011

      3 艾蘭, "龜之謎–商代神話话, 祭祀, 藝術和宇宙觀研究" 商務印書館 2010

      4 "詩經"

      5 "藝文類聚"

      6 "漢書"

      7 "淮南子"

      8 趙容俊, "殷商甲骨卜辭所見之巫術" 中華書局 2011

      9 "晉書"

      10 唐曉峰, "從混沌到秩序–中國上古地理思想史述論" 中華書局 2010

      1 이석환, "장소와 장소성의 다의적 개념에 관한 연구" 32 (32): 1997

      2 최병두, "데이비드 하비의 지리학과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공간들" 한국학연구원 (42) : 7-38, 2011

      3 艾蘭, "龜之謎–商代神話话, 祭祀, 藝術和宇宙觀研究" 商務印書館 2010

      4 "詩經"

      5 "藝文類聚"

      6 "漢書"

      7 "淮南子"

      8 趙容俊, "殷商甲骨卜辭所見之巫術" 中華書局 2011

      9 "晉書"

      10 唐曉峰, "從混沌到秩序–中國上古地理思想史述論" 中華書局 2010

      11 김연재, "天道의 패러다임에서 본 周易의 聖人精神과 그 人文主義的 세계" 한국중국학회 (71) : 441-466, 2015

      12 "周易"

      13 김연재, "周代의 數術문화와 그 시대정신의 성격-문화의 原型과 정신적 기질을 중심으로-" 동아인문학회 (31) : 317-359, 2015

      14 "呂氏春秋"

      15 董根洪, "儒家中和哲學通論" 齊魯書社 2001

      16 김연재, "从天圆地方的盖天说看≪周易≫的 乾圆坤方与人文世界 -着重一串直观和演绎的环节-" 동아인문학회 (37) : 589-615, 2016

      17 袁珂, "中國神化傳說(上篇)" 人文文學 1998

      18 李零, "中國方術考" 中華書局 2010

      19 陳美東, "中國古代天文學思想" 中國科學技術 2008

      20 李零, "中国方術續考" 中華書局 2012

      21 陳偉濤, "中原農村伏羲信仰" 上海人民 2013

      22 張振犁, "中原神話硏究" 上海社會科學院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7-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Center for the Reconstruction of Human Society -> Kyung Hee Institute for Human Society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73 1.085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