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홈 청소년들에 대한 그동안의 연구를 살펴보면, 그룹홈에 관한 정책을 입안했던 데 도움을 주었던 정책관련 연구들이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정책 관련 연구들은 그룹홈 거주 청소년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587576
201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27-261(35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그룹홈 청소년들에 대한 그동안의 연구를 살펴보면, 그룹홈에 관한 정책을 입안했던 데 도움을 주었던 정책관련 연구들이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정책 관련 연구들은 그룹홈 거주 청소년들...
그룹홈 청소년들에 대한 그동안의 연구를 살펴보면, 그룹홈에 관한 정책을 입안했던 데 도움을 주었던 정책관련 연구들이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정책 관련 연구들은 그룹홈 거주 청소년들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데 관심이 있을 뿐, 입소 청소년들의 목소리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였다. 그룹홈 거주 청소년들이 그룹홈 거주의 주체자로 보기보다 단지 정책 서비스의 수혜자로서만 인지해왔기 때문이다. 그룹홈 청소년들의 실제 삶의 이야기를 듣는 것에 대한 이해가 매우 필요하다. 또한 그룹홈 청소년들은 어떠한 정체성과 자존감, 정서를 가지고 그룹홈에 입소하고, 또 입소 후 어떻게 생활하게 되는지, 또한 그룹홈 내의 경험을 통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한 질적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이 그룹홈에 입소하면서 어떻게 적응하고 살아가는지 그들의 삶에 대한 독특한 시간배치를 형성해 나가는지 통시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참여자들에게 그룹홈은, 체험된 세계와 관련시키는 실존적 주제인 체험적 공간으로 자신을 보살펴주고 기다려주는 곳이었으며, 그들이 그룹홈에서 경험한 체험적 시간은 그들에게는 주관적 시간으로 인식되었는데, 그룹홈에서의 시간은 세상으로 나가기 위한 준비기간이며 자신들을 성장시켜주는 시간이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xisting literature on group homes paid most attention to the policies for the provision of various services to the youth, but failed to reflect their own voices in group homes in recommending those policies. It is an important gap in research and...
The existing literature on group homes paid most attention to the policies for the provision of various services to the youth, but failed to reflect their own voices in group homes in recommending those policies. It is an important gap in research and we are going to fill this gap by incorporating the real life stories of the grouphome adolescents.
We also need to make a qualitative study on how adolescents of the grouphome take any identity and self-esteem and how lives take changes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grouphome.
Therefore, we conscientiously examine how adolescents adapt their lives to the environment after entering the grouphome and how they form their unique time layouts about their lives.
The study participants define the grouphome in terms of the place where they are taken care of and they experience the meaning of live. It was an experiential place in which the adolescents experienced that they were recognized as the subjective beings and they grew up as such for the futur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흥주, "한국 가족 문제의 특징 –기능주의 가족 문제론 비판" 39 : 1993
2 허남순, "친인척가정위탁과 일반가정위탁아동의 심리 사회적 특성 및 위탁가정의 서비스 욕구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 (18) : 243-270, 2004
3 백 매넌·맥스, "체험연구" 현문사 2000
4 김선민, "청소년의 그룹홈 체험 연구 The Adolescence's Lived Experiences of Group Home -삐뚤 혹은 삐딱한 선으로 그린 우리 집- 해석학적 현상학적 접근" 한국사회복지학회 62 (62): 31-53, 2010
5 이혁구, "일반위탁가정 아동의 적응에 대한 연구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사회복지학회 59 (59): 87-116, 2007
6 Angela Crag, McDowell, "위기청소년을 위한 서비스 격차 해소전략과 프로그램"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2014
7 이태수, "우리나라 아동보호의 실태 및 보호양식의 개발에 관한 연구" 꽃동네사회복지연구소 2001
8 노혜련, "요보호아동 그룹홈의 이론과 과제" 서울가톨릭사회복지회 1999
9 박용철, "요보호아동 그룹홈에 관한 연구" 카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원 1998
10 김형태, "아동그룹홈 현황분석 및 매뉴얼 개발연구" 국가인권위원회 2006
1 김흥주, "한국 가족 문제의 특징 –기능주의 가족 문제론 비판" 39 : 1993
2 허남순, "친인척가정위탁과 일반가정위탁아동의 심리 사회적 특성 및 위탁가정의 서비스 욕구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 (18) : 243-270, 2004
3 백 매넌·맥스, "체험연구" 현문사 2000
4 김선민, "청소년의 그룹홈 체험 연구 The Adolescence's Lived Experiences of Group Home -삐뚤 혹은 삐딱한 선으로 그린 우리 집- 해석학적 현상학적 접근" 한국사회복지학회 62 (62): 31-53, 2010
5 이혁구, "일반위탁가정 아동의 적응에 대한 연구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사회복지학회 59 (59): 87-116, 2007
6 Angela Crag, McDowell, "위기청소년을 위한 서비스 격차 해소전략과 프로그램"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2014
7 이태수, "우리나라 아동보호의 실태 및 보호양식의 개발에 관한 연구" 꽃동네사회복지연구소 2001
8 노혜련, "요보호아동 그룹홈의 이론과 과제" 서울가톨릭사회복지회 1999
9 박용철, "요보호아동 그룹홈에 관한 연구" 카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원 1998
10 김형태, "아동그룹홈 현황분석 및 매뉴얼 개발연구" 국가인권위원회 2006
11 조순실, "아동그룹홈 서비스 개선을 위한 기초조사 연구 : 서울·경인지역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1999
12 이삼미, "시설 규모에 따른 시설아동의 자립성과 사회 적응력 비교 연구" 啓明大學校 女性學大學院 1999
13 이태수, "소규모 아동복지시설 연구" 인간과 복지 1997
14 유영주, "새로운 가족학" 신정 2004
15 김형태, "사회적 지지가 그룹홈 아동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요인" 한국청소년학회 16 (16): 259-286, 2009
16 임인숙, "미국 학계의 가족변화 논쟁" 11 (11): 1999
17 Clandinin, D.J., "내러티브탐구 : 교육에서 질적연구의 경험과 사례" 교육과학사 2007
18 김현주, "그룹홈의 가족체계적 특성과 가족기능의 수행" 14 : 93-121, 2002
19 조성연, "그룹홈과 일반가정 아동의 어머니 양육행동과 형제자매관계 및 사회적 적응" 한국생활과학회 13 (13): 381-391, 2004
20 이슬기, "그룹홈 청소년의 정서조절능력과 학교적응성에 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50 (50): 35-50, 2012
21 김성경, "그룹홈 청소년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심리사회적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0 (10): 117-137, 2003
22 서보준, "그룹홈 청소년과 일반가정 청소년의 일상생활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연구 -대구광역시 청소년을 중심으로-"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7 (7): 1-26, 2010
23 강기정, "그룹홈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향상을 위한 자기성장 집단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4
24 김성경, "그룹홈 거주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25 김광수, "가출청소년을 위한 집단가정에 관한 연구 : 통합적 접근을 중심으로" 한신대학교 대학원 1999
26 성윤숙, "가족유형에 따른 아동 청소년 생활실태 분석 및 대책연구(양친부모가정 아동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27 김혜경, "가족복지론" 공동체 2008
28 강현아, "가정외보호아동의 사회적 자본과 문화적 자본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50 (50): 25-38, 2012
29 정선욱, "가정외 보호를 받는 청소년과 일반가정 청소년의 애착유형 및 또래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 : 149-172, 2002
30 White, H., "The content of the form"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7
31 Bruner, J, "Life as narrative" 54 (54): 11-32, 1987
32 Colton. M. J, "Dimensions of substitute Child Care" 2 (2): 1-20, 1988
33 신용하, "21세기 한국의 가족과 공동체문화" 지식산업사 1996
1980년대 이후 한국 대통령 연설문에 나타난 민주주의 담론 변화 연구
한국 부채경제의 구조변동: ‘기업부채’에서 ‘가계부채’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7-13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Center for the Reconstruction of Human Society -> Kyung Hee Institute for Human Society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5 | 0.75 | 0.7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9 | 0.73 | 1.085 | 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