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래 대화의 의미구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875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미래 대화 과정에 수반되는 의미생성의 특징을 밝힌다. 이를 위해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미래의 일을 주제로 한 워크숍을 실시하여 사례를 분석한다. 이 연구에서는 이전에 개발된 미래 탐색을 위한 대화모델과 국내 미래 연구 방법론의 한계를 제시하고, 대화를 텍스트의 관점에서 바라보며 기존 논의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화 과정에 수반되는 의미 구성 방식에 초점을 맞추었다.
      미래 대화의 의미구성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여준다. 미래 대화에서의 의미구성은 표상, 반추 및 재조정이라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표상 단계에서는 외재화와 재구성이 수반된다. 외재화는 시점 변화를 통한 다양성 추구, 구체성의 확보, 언어 프레임의 사용등으로 이루어진다. 재구성은 분류, 통합적 거시구조 생성 등으로 이루어진다. 반추 및 재조정 단계에서는 대화 과정에 대한 요약, 주관적 인상 평가와 반영 대화가 포함된다.
      본 연구를 통해 미래 대화가 집단적 숙고가 가능한 사회적 소통의 방식이 될 수 있도록 하고, 미래 사회의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미래 대화에 접근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미래 대화 과정에 수반되는 의미생성의 특징을 밝힌다. 이를 위해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미래의 일을 주제로 한 워크숍을 실시하여 사례를 분석한다. 이 연구에서는 이전에 개발된...

      본 연구는 미래 대화 과정에 수반되는 의미생성의 특징을 밝힌다. 이를 위해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미래의 일을 주제로 한 워크숍을 실시하여 사례를 분석한다. 이 연구에서는 이전에 개발된 미래 탐색을 위한 대화모델과 국내 미래 연구 방법론의 한계를 제시하고, 대화를 텍스트의 관점에서 바라보며 기존 논의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화 과정에 수반되는 의미 구성 방식에 초점을 맞추었다.
      미래 대화의 의미구성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여준다. 미래 대화에서의 의미구성은 표상, 반추 및 재조정이라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표상 단계에서는 외재화와 재구성이 수반된다. 외재화는 시점 변화를 통한 다양성 추구, 구체성의 확보, 언어 프레임의 사용등으로 이루어진다. 재구성은 분류, 통합적 거시구조 생성 등으로 이루어진다. 반추 및 재조정 단계에서는 대화 과정에 대한 요약, 주관적 인상 평가와 반영 대화가 포함된다.
      본 연구를 통해 미래 대화가 집단적 숙고가 가능한 사회적 소통의 방식이 될 수 있도록 하고, 미래 사회의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미래 대화에 접근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deals with a meaning-making process of the future dialogue using a case study of a dialogue on future jobs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The limitation of future studies in Korea and earlier models of future dialogue has discussed, attempting to supplement this discussion by focusing on the features of meaning-making, particularly the macrostructure and language frame. The result is as follows. The meaning-making process in dialogues for the future consists of description and reflection. The description is performed by externalizing and reorganizing the ideas among participants. The reflection is possible by summarizing, evaluation based on subjectivity, and situated dialogue.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aspects of the content of collective dialogue for futures, improving understanding of dialogue which can lead collective deliberation and future changes to make desirable futures.
      번역하기

      This paper deals with a meaning-making process of the future dialogue using a case study of a dialogue on future jobs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The limitation of future studies in Korea and earlier models of future dialogue has discussed, attempt...

      This paper deals with a meaning-making process of the future dialogue using a case study of a dialogue on future jobs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The limitation of future studies in Korea and earlier models of future dialogue has discussed, attempting to supplement this discussion by focusing on the features of meaning-making, particularly the macrostructure and language frame. The result is as follows. The meaning-making process in dialogues for the future consists of description and reflection. The description is performed by externalizing and reorganizing the ideas among participants. The reflection is possible by summarizing, evaluation based on subjectivity, and situated dialogue.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aspects of the content of collective dialogue for futures, improving understanding of dialogue which can lead collective deliberation and future changes to make desirable futur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I. 서론
      • Ⅱ. 문헌고찰
      • Ⅲ. 연구방법
      • Ⅳ. 결과
      • 요약
      • I. 서론
      • Ⅱ. 문헌고찰
      • Ⅲ. 연구방법
      • Ⅳ. 결과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Van Dijk, "텍스트학" 아르케 2001

      2 김혜정, "텍스트 이해에서 의미 구성의 층위와 인지적 상호 작용" 국어교육학회 (15) : 2002

      3 Creswell, Jhon W., "질적 연구방법론 : 다섯가지 전통" 학지사 2005

      4 조영한, "인터넷과 민속지학적 수용자 연구: 인터넷 에스노그라피의 가능성과 과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1) : 101-134, 2012

      5 박영민, "의미 구성과 표현의 대응, 그리고 필자의 발달" 한국국어교육학회 66 : 151-171, 2003

      6 이진화, "유아교육 교수-학습 실제의 질적 향상을 위한 현장연구(action research)의 효용성 탐색" 교육과학연구소 35 (35): 105-120, 2004

      7 박성원, "연구 워크숍을 통해 바라본 청소년의 미래 직업 탐색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27 (27): 225-243, 2014

      8 육동일, "새로운 미래연구 Paradigm의 모색" 2 : 413-429, 1991

      9 서종훈, "상위인지 측면의 거시구조 인식 양상 고찰" 우리말교육현장학회 10 (10): 215-237, 2016

      10 Lakoff, G., "삶으로서의 은유" 서광사 1995

      1 Van Dijk, "텍스트학" 아르케 2001

      2 김혜정, "텍스트 이해에서 의미 구성의 층위와 인지적 상호 작용" 국어교육학회 (15) : 2002

      3 Creswell, Jhon W., "질적 연구방법론 : 다섯가지 전통" 학지사 2005

      4 조영한, "인터넷과 민속지학적 수용자 연구: 인터넷 에스노그라피의 가능성과 과제"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1) : 101-134, 2012

      5 박영민, "의미 구성과 표현의 대응, 그리고 필자의 발달" 한국국어교육학회 66 : 151-171, 2003

      6 이진화, "유아교육 교수-학습 실제의 질적 향상을 위한 현장연구(action research)의 효용성 탐색" 교육과학연구소 35 (35): 105-120, 2004

      7 박성원, "연구 워크숍을 통해 바라본 청소년의 미래 직업 탐색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 27 (27): 225-243, 2014

      8 육동일, "새로운 미래연구 Paradigm의 모색" 2 : 413-429, 1991

      9 서종훈, "상위인지 측면의 거시구조 인식 양상 고찰" 우리말교육현장학회 10 (10): 215-237, 2016

      10 Lakoff, G., "삶으로서의 은유" 서광사 1995

      11 박길자, "사회과에서 미래문제 접근으로서 시나리오 방법을 활용한 미래교육과정 구성 방안"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8 (18): 1-17, 2011

      12 최항섭, "미래연구의 이론과 방법" 한국사회연구소 13 (13): 189-222, 2012

      13 남궁은정, "미래 대화의 특성에 관한 연구: 여대생의 진로탐색 워크숍 실행사례를 중심으로" 2016

      14 Weick, Karl E., "Sensemaking in organizations: Foundations for organizational science" Sage Publications Inc 1995

      15 Adelman, C, "K. Lewin and the Origin of Action Research" 1 (1): 7-25, 1998

      16 Weisbord, Marvin, "Future search: Getting the whole system in the room for vision, commitment, and action" Berrett-Kçoehler Publishers 2010

      17 Weisbord, Marvin, "Future search: Finding common ground in organizations and communities" 9 (9): 71-84, 1996

      18 Goffman, Erving, "Frame analysis: An essay on the organization of experience" Harvard University Press 1974

      19 Yin, R. K.,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Sage 1984

      20 Watkins, J. M., "Appreciative inquiry: A transformative paradigm" 32 (32): 6-12, 2000

      21 Bradbury, H., "Action Research: An Opportunity for Revitalizing Research Purpose and Practice" 2 (2): 155-175,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7-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Center for the Reconstruction of Human Society -> Kyung Hee Institute for Human Society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73 1.085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