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산업표준심의회 역할 개선 방안 연구 - 플랫폼 접근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Role of the Korean Industrial Standards Council - Focusing on Platform Perspective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942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ecure a diversity of theories about standard policy to identify the dynamics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participants by applying a platform perspective to the Korean Industrial Standards Council. In doing so, this study attempts to suggest a direction that practically improves the Council. To accomplish it, I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FGI) with experts engaging in standard policy/industries and the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Korean Industrial Standards Council is a law-based institution so it has difficulties in flexible operation. Thus, a plan to reorganize the Council is necessary for its independence and autonomy in the private sector to secure its flexibility. Second, an independent management organization should be established for resolving conflicts that occur during standardization processes in newly emerging fields such as AI and metaverse. Third,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 procedure allowing various stakeholders to participate in the standardization processes of the Korean Industrial Standards Council. Fourth,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and strength of the standard community network composed of government departments, COSD, technology councils, and expert committees. Last but not least, there is need to set up standard ethics and a code of conduct for participants in the Korean Industrial Standards Council to enact and revise standards, and, in addition, procedural rationality avoiding interest conflicts needs to be set up as well.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secure a diversity of theories about standard policy to identify the dynamics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participants by applying a platform perspective to the Korean Industrial Standards Council. In doing so, this study attempts...

      This study aims to secure a diversity of theories about standard policy to identify the dynamics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participants by applying a platform perspective to the Korean Industrial Standards Council. In doing so, this study attempts to suggest a direction that practically improves the Council. To accomplish it, I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FGI) with experts engaging in standard policy/industries and the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Korean Industrial Standards Council is a law-based institution so it has difficulties in flexible operation. Thus, a plan to reorganize the Council is necessary for its independence and autonomy in the private sector to secure its flexibility. Second, an independent management organization should be established for resolving conflicts that occur during standardization processes in newly emerging fields such as AI and metaverse. Third,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 procedure allowing various stakeholders to participate in the standardization processes of the Korean Industrial Standards Council. Fourth,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and strength of the standard community network composed of government departments, COSD, technology councils, and expert committees. Last but not least, there is need to set up standard ethics and a code of conduct for participants in the Korean Industrial Standards Council to enact and revise standards, and, in addition, procedural rationality avoiding interest conflicts needs to be set up as wel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성지은 ; 송위진, "혁신환경 변화에 대응한 표준 정책 및 거버넌스 개편 방안 연구" 한국공공관리학회 31 (31): 365-387, 2017

      2 한국행정학회, "행정학 용어사전" 박영사 2020

      3 신선영 ; 서창교, "플랫폼 정부 연구의 탐색적 분석"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9 (29): 159-179, 2020

      4 서형준 ; 주윤창, "플랫폼 정부 관점에서 조명한 국내 COVID-19 대응 정보화 사례: ICT와 데이터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32 (32): 759-796, 2020

      5 양미경, "플랫폼 생태계의 특성과 교육학적 시사점 탐색" 한국교육원리학회 25 (25): 73-91, 2020

      6 신열, "플랫폼 관점에서의 중기정책관리의 실제와 조건" 2017

      7 김찬우 ; 정병기, "표준화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사회적 인식과 요건: 온라인 뉴스 기사에 나타난 표준 관련 인식에 대한 분석" 한국공공관리학회 31 (31): 171-193, 2017

      8 송용찬 ; 최은호 ; 홍상기 ; 강명구 ; 채예린 ; 이광열, "표준정책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국가정책연구소 32 (32): 109-136, 2018

      9 이용규, "주요 10개 국가의 국가표준 거버넌스 유형에 대한 비교・분석적 연구" 한국공공관리학회 31 (31): 145-170, 2017

      10 송용찬,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산업개편에 따른 표준인력양성전략 수립 연구" 한국공공관리학회 31 (31): 195-217, 2017

      1 성지은 ; 송위진, "혁신환경 변화에 대응한 표준 정책 및 거버넌스 개편 방안 연구" 한국공공관리학회 31 (31): 365-387, 2017

      2 한국행정학회, "행정학 용어사전" 박영사 2020

      3 신선영 ; 서창교, "플랫폼 정부 연구의 탐색적 분석"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9 (29): 159-179, 2020

      4 서형준 ; 주윤창, "플랫폼 정부 관점에서 조명한 국내 COVID-19 대응 정보화 사례: ICT와 데이터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32 (32): 759-796, 2020

      5 양미경, "플랫폼 생태계의 특성과 교육학적 시사점 탐색" 한국교육원리학회 25 (25): 73-91, 2020

      6 신열, "플랫폼 관점에서의 중기정책관리의 실제와 조건" 2017

      7 김찬우 ; 정병기, "표준화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사회적 인식과 요건: 온라인 뉴스 기사에 나타난 표준 관련 인식에 대한 분석" 한국공공관리학회 31 (31): 171-193, 2017

      8 송용찬 ; 최은호 ; 홍상기 ; 강명구 ; 채예린 ; 이광열, "표준정책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국가정책연구소 32 (32): 109-136, 2018

      9 이용규, "주요 10개 국가의 국가표준 거버넌스 유형에 대한 비교・분석적 연구" 한국공공관리학회 31 (31): 145-170, 2017

      10 송용찬,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산업개편에 따른 표준인력양성전략 수립 연구" 한국공공관리학회 31 (31): 195-217, 2017

      11 김명환 ; 강제상, "정부위원회 분류체계의 재정립을 통한 유형화" 사회과학연구원 35 (35): 1-26, 2009

      12 김창욱, "아키텍처 & 거버넌스 : 연결해 구축하고스마트하게 배분하라" (103) : 2012

      13 조태준 ; 송용찬, "산업표준심의회 성과평가방안에 관한 연구" 표준인증안전학회 10 (10): 51-67, 2020

      14 정병기, "독일의 표준정책과 독일표준협회(DIN)의 표준화활동" 25 : 37-67,

      15 서정훈, "도시재생 플랫폼의 거버넌스와 골디락스(Goldlocks)의 난제: 도시재생 뉴딜사업 사례연구" 한국거버넌스학회 27 (27): 1-28, 2020

      16 이지형 ; 박형준 ; 남태우,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진화? 플랫폼 정부 모델과 전략 분석: ‛광화문 1번가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29 (29): 61-96, 2020

      17 어광수 ; 남태우, "공공서비스 전달 플랫폼의 활성화 요건: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사례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21-29, 2020

      18 Eisenmann, "Strategies for Two-Sided Market, On Point Article"

      19 Alstyne, "Platform Revolution" W. W. Norton & Company 2016

      20 Tiwana, A., "Platform Ecosystems: Aligning Architecture, Governance, and Strategy" Morgan Kaufmann 2016

      21 이민화, "4차 산업혁명 시대 공유 플랫폼경제의 로드맵과 경기도 발전방향. 정책연구" 1-180, 2018

      22 국가기술표준원, "2021 국가기술표준백서" 202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