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FTA 이후, 국내 수입수산물 가격의 환율전가도 변화 = The Change in Exchange Rate Pass-Through into Import Price of the Post-FTA Import Market for Fishery Products in Sou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830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ffect of change in exchange rates on an economy is very important, especially, to a small open economy like South Korea. I explore whether Free Trade Agreements (FTAs) have positive influences on exchange rate-pass through import price of import market for fishery products in South Korea. Competition among FTA partners is enhanced after FTAs are effective. I expect that the extent to which are exchange rate pass-through (hereafter, ERPT) into import price of fishery products (in terms of Korea currency) would be reduced since the import market for fishery products in South Korea is an oligopolistic market. Specifically, I investigate two research questions with six South Korea’s FTA partners─Norway, Thailand, Peru, U.S., China and Vietnam. First, whether the extent to which are exchange rate pass-through into import price of fishery products from six FTA partners would decrase in the post-FTA era; seconds, the size of reduction has a negative relation with the size of their market share in the import market for fishery products in South Korea if it decreases. The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the degree of ERPT into import price from other FTA partners than Norway has been reduced after FTA,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however, I do not find the evidence that the size of reduction is related to their market share. The findings in this study imply that FTAs have negative effects on producers’ economic welfare in South Korea’s fishery industry by reducing the extent to which are exchange rate pass-through as well as reducing tariff barriers.
      번역하기

      The effect of change in exchange rates on an economy is very important, especially, to a small open economy like South Korea. I explore whether Free Trade Agreements (FTAs) have positive influences on exchange rate-pass through import price of import ...

      The effect of change in exchange rates on an economy is very important, especially, to a small open economy like South Korea. I explore whether Free Trade Agreements (FTAs) have positive influences on exchange rate-pass through import price of import market for fishery products in South Korea. Competition among FTA partners is enhanced after FTAs are effective. I expect that the extent to which are exchange rate pass-through (hereafter, ERPT) into import price of fishery products (in terms of Korea currency) would be reduced since the import market for fishery products in South Korea is an oligopolistic market. Specifically, I investigate two research questions with six South Korea’s FTA partners─Norway, Thailand, Peru, U.S., China and Vietnam. First, whether the extent to which are exchange rate pass-through into import price of fishery products from six FTA partners would decrase in the post-FTA era; seconds, the size of reduction has a negative relation with the size of their market share in the import market for fishery products in South Korea if it decreases. The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the degree of ERPT into import price from other FTA partners than Norway has been reduced after FTA,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however, I do not find the evidence that the size of reduction is related to their market share. The findings in this study imply that FTAs have negative effects on producers’ economic welfare in South Korea’s fishery industry by reducing the extent to which are exchange rate pass-through as well as reducing tariff barri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환율의 변화가 한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한국과 같은 소국 개방 경제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본 연구는 자유무역협정 (Free Trade Agreements: 이하, FTA)이 국내 수산물 수입시장에서 수입 수산물 가격의 환율전가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살펴보았다. FTA가 발효되면, FTA 발효국들 사이의 경쟁은 심화될 것이다. 특히, 국내 수산물 수입시장은 과점적 경쟁 (oligopolistic competition)을 하는 시장이다. 따라서 완전경쟁 시장과는 달리, 환율이 변하는 경우, FTA 발효가 원화 표시 국내 수입 수산물 가격의 환율전가도에 미치는 영향은 감소할 것이라 예상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주요 수산물 수입국가이면서 동시에 FTA 발효국인 노르웨이, 태국, 페루, 미국, 중국 그리고 베트남 등 6개의 FTA 발효국들로부터 수입한 전체 수입 수산물을 대상으로 첫째, FTA 발효 이후, 국내 수입 수산물 가격에 대한 환율전가도 크기의 감소 여부, 둘째, 만약 국내 수입 수산물에 대한 환율전가도가 감소하였다면, 각 FTA 발효국이 국내 수산물 수입 시장에서 차지하는 시장점유율과 감소된 수입 수산물 환율전가도의 크기 사이에 부(-)의 관계가 있는지 여부를 살펴보았다. 실증분석 결과, 6개의 FTA 발효국들로부터 수입한 수산물 수입가격의 환율전가도 크기는 노르웨이를 제외하고, FTA 발효 이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음을 발견하였다. 하지만 감소된 수산물 수입가격의 환율전가도 크기와 FTA 발효국들이 국내 수입수산물 시장에서 차지하는 시장점유율 사이에서 부(-)의 관계가 있음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관세장벽의 감소뿐만 아니라, 수산물 수입가격 환율전가도의 감소를 통해, FTA 발효는 국내 수산물 생산자들의 경제적 후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예상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환율의 변화가 한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한국과 같은 소국 개방 경제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본 연구는 자유무역협정 (Free Trade Agreements: 이하, FTA)이 국내 수산물 수입시...

      환율의 변화가 한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한국과 같은 소국 개방 경제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본 연구는 자유무역협정 (Free Trade Agreements: 이하, FTA)이 국내 수산물 수입시장에서 수입 수산물 가격의 환율전가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살펴보았다. FTA가 발효되면, FTA 발효국들 사이의 경쟁은 심화될 것이다. 특히, 국내 수산물 수입시장은 과점적 경쟁 (oligopolistic competition)을 하는 시장이다. 따라서 완전경쟁 시장과는 달리, 환율이 변하는 경우, FTA 발효가 원화 표시 국내 수입 수산물 가격의 환율전가도에 미치는 영향은 감소할 것이라 예상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주요 수산물 수입국가이면서 동시에 FTA 발효국인 노르웨이, 태국, 페루, 미국, 중국 그리고 베트남 등 6개의 FTA 발효국들로부터 수입한 전체 수입 수산물을 대상으로 첫째, FTA 발효 이후, 국내 수입 수산물 가격에 대한 환율전가도 크기의 감소 여부, 둘째, 만약 국내 수입 수산물에 대한 환율전가도가 감소하였다면, 각 FTA 발효국이 국내 수산물 수입 시장에서 차지하는 시장점유율과 감소된 수입 수산물 환율전가도의 크기 사이에 부(-)의 관계가 있는지 여부를 살펴보았다. 실증분석 결과, 6개의 FTA 발효국들로부터 수입한 수산물 수입가격의 환율전가도 크기는 노르웨이를 제외하고, FTA 발효 이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음을 발견하였다. 하지만 감소된 수산물 수입가격의 환율전가도 크기와 FTA 발효국들이 국내 수입수산물 시장에서 차지하는 시장점유율 사이에서 부(-)의 관계가 있음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관세장벽의 감소뿐만 아니라, 수산물 수입가격 환율전가도의 감소를 통해, FTA 발효는 국내 수산물 생산자들의 경제적 후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예상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택희, "환율의 산업별 수출가격 전가도 추정" 한국경제연구학회 28 (28): 117-147, 2010

      2 김기수 ; 김우경, "환율과 환율변동성의 변화가 수산물 수입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수산경영학회 37 (37): 1-18, 2006

      3 김기수 ; 이상숙, "한·중 FTA 체결 시 관세 철폐가 우리나라 수산물 교역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산경영학회 43 (43): 1-14, 2012

      4 김찬복 ; 조성택, "한·ASEAN FTA 협정이 수산부문에 미친 영향: 한국-베트남을 중심으로" 국제지역학회 19 (19): 81-97, 2015

      5 임은선 ; 김기수, "자유무역협정(Free Trade Agreements : FTA)이 국내 수산물 수입시장통합에 미친 효과" 한국수산경영학회 48 (48): 45-66, 2017

      6 김기수 ; 임은선, "우리나라 수산물 수입시장에서 수출국간의 가격경쟁구조 및 환율변화가 수출가격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산경영학회 40 (40): 27-50, 2009

      7 차혜경, "수입물가의 환율전가 상승요인분석" 한국경제통상학회 25 (25): 205-230, 2007

      8 김규민 ; 김도훈, "대미 수산물 수출에 관한 한-미 FTA 효과 및 수출결정요인 분석" 한국무역학회 43 (43): 71-92, 2018

      9 Kreinin, M. E., "The Effect of Exchange Rate Changes on the Prices and Volume of Foreign Trade" 24 (24): 297-329, 1977

      10 Feenstra, R. C., "Symmetric pass-through of tariffs and exchange rates under imperfect competition : An empirical test" 27 (27): 25-45, 1989

      1 조택희, "환율의 산업별 수출가격 전가도 추정" 한국경제연구학회 28 (28): 117-147, 2010

      2 김기수 ; 김우경, "환율과 환율변동성의 변화가 수산물 수입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수산경영학회 37 (37): 1-18, 2006

      3 김기수 ; 이상숙, "한·중 FTA 체결 시 관세 철폐가 우리나라 수산물 교역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산경영학회 43 (43): 1-14, 2012

      4 김찬복 ; 조성택, "한·ASEAN FTA 협정이 수산부문에 미친 영향: 한국-베트남을 중심으로" 국제지역학회 19 (19): 81-97, 2015

      5 임은선 ; 김기수, "자유무역협정(Free Trade Agreements : FTA)이 국내 수산물 수입시장통합에 미친 효과" 한국수산경영학회 48 (48): 45-66, 2017

      6 김기수 ; 임은선, "우리나라 수산물 수입시장에서 수출국간의 가격경쟁구조 및 환율변화가 수출가격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산경영학회 40 (40): 27-50, 2009

      7 차혜경, "수입물가의 환율전가 상승요인분석" 한국경제통상학회 25 (25): 205-230, 2007

      8 김규민 ; 김도훈, "대미 수산물 수출에 관한 한-미 FTA 효과 및 수출결정요인 분석" 한국무역학회 43 (43): 71-92, 2018

      9 Kreinin, M. E., "The Effect of Exchange Rate Changes on the Prices and Volume of Foreign Trade" 24 (24): 297-329, 1977

      10 Feenstra, R. C., "Symmetric pass-through of tariffs and exchange rates under imperfect competition : An empirical test" 27 (27): 25-45, 1989

      11 Marston, R. C., "Pricing to Market in Japanese Manufacturing" 29 (29): 1990

      12 Knetter, M. M., "Price discrimination by US and German exporters" 79 (79): 198-210, 1989

      13 McCarthy, J., "Pass-Through of Exchange Rates and Import Prices to Domestic Inflation in Some Industrialized Economies" 33 (33): 511-537, 2007

      14 Devereux, M. B., "Monetary Policy in the Open Economy Revisited : Price Setting and Exchange-Rate Flexibility" 70 (70): 765-783, 2003

      15 Feenstra, R., "Market Share and Exchange Rate Pass-Through in the World Automobile Industry" NBER 1993

      16 Goldberg, P. K., "Goods Prices and Exchange Rates : What Have We Learned?" 35 (35): 1243-1272, 1997

      17 Lim, E. S., "Free Trade Agreements and Market Integration: Evidence from South Korea" 90 : 241-256, 2019

      18 Permani, R., "FTA, Exchange Rate Pass-Through and Export Price Behavior –Lessons from the Australian Dairy Sector" 65 (65): 192-221, 2021

      19 Campa, J. M., "Exchange rate Pass-through Into Import Prices: a Macro or Micro Phenomenon?"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2002

      20 Dornbusch, R., "Exchange Rates and Prices" 77 (77): 93-106, 1987

      21 Froot, K. A., "Exchange Rate Pass-Through When Market Share Matters" 79 : 637-654, 1989

      22 Marmolejo, A. L., "Effects of a Free Trade Agreement on the Exchange Rate Pass-through to Import Prices" 19 (19): 475-493, 2011

      23 Bacchetta, P., "A Theory of the Currency Denomination of International Trade" 67 (67): 295-319,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78 0.836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