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서울시의 경관생태학적 분석을 통한 시설경작지 관리방안 = A Study on Management for the Cultivate Land of Greenhouses through Landscape Ecological Pattern Analysis in Seoul Urban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986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도시농경지의 토지이용경향을 살펴보면 이들의 상당부분은 개발용지와 같은 도시적 용도 또는 고수익 형태의 시설경작지로 전환되고 있다. 따라서 도시농경지에서 시설경작지가 차지하는 비율은 다른 경작지 유형에 비해 향후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시설경작지의 경관생태적 특성을 파악하고 관리방안을 모색하여 지역을 넓은 공간과 시간의 관점에서 계획하고 관리하도록 하는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서울시의 시설경작지는 주로 서울의 남동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평균면적은 19.83ha로 다른 농경지 유형에 비해 넓고 Shape Index 분석결과에 의하면 주변부가 상당히 단순한 패취이다. 또한 시설경작지 패취에 인접한 상위 3개의 토지이용을 분석하면 시설경작지 패취에 가장 많이 인접해 있는 유형은 교통시설지로 분석패취의 60%에 인접해 있었으며, 분석패취의 43%가 산림지에, 36%가 다른 유형의 농경지에, 그리고 33%가 주거지에 인접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경작지 주변의 주된 토지이용이 교통시설지로 나타나는 것은 농작물 생산과 유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경관생태적인 분석결과를 토대로 농경지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도시환경보전과 생물다양성 증진에 기여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번역하기

      도시농경지의 토지이용경향을 살펴보면 이들의 상당부분은 개발용지와 같은 도시적 용도 또는 고수익 형태의 시설경작지로 전환되고 있다. 따라서 도시농경지에서 시설경작지가 차지하는 ...

      도시농경지의 토지이용경향을 살펴보면 이들의 상당부분은 개발용지와 같은 도시적 용도 또는 고수익 형태의 시설경작지로 전환되고 있다. 따라서 도시농경지에서 시설경작지가 차지하는 비율은 다른 경작지 유형에 비해 향후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시설경작지의 경관생태적 특성을 파악하고 관리방안을 모색하여 지역을 넓은 공간과 시간의 관점에서 계획하고 관리하도록 하는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서울시의 시설경작지는 주로 서울의 남동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평균면적은 19.83ha로 다른 농경지 유형에 비해 넓고 Shape Index 분석결과에 의하면 주변부가 상당히 단순한 패취이다. 또한 시설경작지 패취에 인접한 상위 3개의 토지이용을 분석하면 시설경작지 패취에 가장 많이 인접해 있는 유형은 교통시설지로 분석패취의 60%에 인접해 있었으며, 분석패취의 43%가 산림지에, 36%가 다른 유형의 농경지에, 그리고 33%가 주거지에 인접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경작지 주변의 주된 토지이용이 교통시설지로 나타나는 것은 농작물 생산과 유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경관생태적인 분석결과를 토대로 농경지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도시환경보전과 생물다양성 증진에 기여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viewing the trend of land use in urban cultivated land, the large part of land has been changed into the high-profit cultivated land of green houses or the developing areas. So, its percent of cultivated land in land use comparing to the other types of cultivated land would get far higher.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ecological pattern in the cultivated land of green houses and to find its alternatives for management, which would be a basis of regional planning and management in terms of space and time. The cultivated land of green houses, whose its area reaches 19.3ha, in Seoul are mainly dispersed on the south eastern part of Seoul and its area is larger than the other types of cultivated lands. According to the result of shape index analysis, its perimeters were very simple. Also, Analyzing the first three major neighboring land use to the cultivated land of green houses, the most frequent biotope types of neighboring land use to the cultivated land of green houses were that transportation facility represented 60%, forest, 43%, the other types of cultivated land, 36%, and residential area, 33%. The cause why the percent of transportation facility was higher in the neighboring land use types was assumed for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crops.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landscape ecological pattern analysis, the cultivated land would be managed and contributed to enhance biodiversity and urban environment preservation.
      번역하기

      Reviewing the trend of land use in urban cultivated land, the large part of land has been changed into the high-profit cultivated land of green houses or the developing areas. So, its percent of cultivated land in land use comparing to the other types...

      Reviewing the trend of land use in urban cultivated land, the large part of land has been changed into the high-profit cultivated land of green houses or the developing areas. So, its percent of cultivated land in land use comparing to the other types of cultivated land would get far higher.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ecological pattern in the cultivated land of green houses and to find its alternatives for management, which would be a basis of regional planning and management in terms of space and time. The cultivated land of green houses, whose its area reaches 19.3ha, in Seoul are mainly dispersed on the south eastern part of Seoul and its area is larger than the other types of cultivated lands. According to the result of shape index analysis, its perimeters were very simple. Also, Analyzing the first three major neighboring land use to the cultivated land of green houses, the most frequent biotope types of neighboring land use to the cultivated land of green houses were that transportation facility represented 60%, forest, 43%, the other types of cultivated land, 36%, and residential area, 33%. The cause why the percent of transportation facility was higher in the neighboring land use types was assumed for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crops.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landscape ecological pattern analysis, the cultivated land would be managed and contributed to enhance biodiversity and urban environment preservat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8 0.773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