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단기 종단적 자료를 통해 시간차를 두고 은퇴자의 은퇴 후 생활만족도 변화와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개인, 가족 및 은퇴 전 직업 특성 변수로 구성해서 살펴보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단기 종단적 자료를 통해 시간차를 두고 은퇴자의 은퇴 후 생활만족도 변화와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개인, 가족 및 은퇴 전 직업 특성 변수로 구성해서 살펴보는 ...
본 연구는 단기 종단적 자료를 통해 시간차를 두고 은퇴자의 은퇴 후 생활만족도 변화와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개인, 가족 및 은퇴 전 직업 특성 변수로 구성해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국민노후보장패널(국민연금관리공단, 2005, 2009)의 1차년도 자료(2005년: T1)와 3차년도 자료(2009년: T2)를 이용하여, 생애 근로경험이 있고, 1차년도와 3차년도에 모두 완전은퇴 상태이며, 마지막 일자리 취업형태가 임금근로자이며, 이 기간 중에 재혼하지 않은 50대에서 80대까지 총 428명을 분석하였다. 통계적 분석을 위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구했으며,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t-test와 OLS 회귀분석을 하였다. 통계 분석을 위해서 STATA 1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시점(2005, 2009)에서 비교해볼 때, 은퇴 후 생활만족도는 시간이 지나면서 보통 수준 이상으로 상향된다. 둘째, 은퇴자의 개인, 가족 및 은퇴 전 직업 특성은 은퇴자의 생활만족도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쳐, 단순노무직에서 은퇴한 경우, 그리고 자신의 의사가 아니라 타의나 상황에 의해서 은퇴한 경험은 시간이 지나도 생활만족도 증가를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반면, 대학 이상이나 고등학교 졸업 학력수준을 가진 경우, 신체 및 심리적 건강이 좋아진 경우에는 시간이 지나면서 생활만족도가 더 증가한다. 전체적으로 볼 때, 은퇴 후 시간이 길어지면서 은퇴자의 생활만족도는 떨어질 것이라는 통념과 달리 은퇴자들은 비교적 은퇴 경험을 잘 통합하면서 적극적, 긍정적으로 노년의 모습을 재구성해 나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dividual, family, and career characteristics on the change of Korean retirees’ life satisfaction with short-term longitudinal data. For this purpose, data were drawn from 1st wave (T1) and 3rd wave (T2...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dividual, family, and career characteristics on the change of Korean retirees’ life satisfaction with short-term longitudinal data. For this purpose, data were drawn from 1st wave (T1) and 3rd wave (T2) of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The analytic sample included 428 retired men (n=198) and women (n=230) in the 1st and 3rd waves and all of whom had retired before the 1st wave. The results indicated that retirees’ life satisfaction increased slightly from T1 to T2. Career characteristics in terms of a types of occupation and voluntary retirement, such as retiring from simple working position and involuntary retirement, significantly influenced negatively retirees’ life satisfaction. While education level, such as graduation from college and high school, and psychological and physical health conditions significantly affected positively retirees’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study finding, implications for practice to improve retirees’ life satisfaction with time were discuss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통계청, "한국표준직업분류"
2 강성진, "한국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한국경제학회 58 (58): 5-36, 2010
3 김미영, "한국 중고령 남성의 은퇴 경험과 은퇴 후 삶의 질"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5 (15): 65-78, 2011
4 연하청, "중산층실태분석과 정책과제" 한국개발연구원 1990
5 안지선, "중년기 은퇴로의 전이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의 성차 : 가족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 17 (17): 65-85, 2012
6 성지미, "중고령자의 은퇴만족도에 대한 연구" 한국경제연구학회 29 (29): 175-212, 2011
7 김지경, "중고령 은퇴자들의 은퇴 후 경과기간별 은퇴생활적응의 영향요인" 대한가정학회 48 (48): 83-101, 2010
8 주용국, "전문직 은퇴자의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30 (30): 75-97, 2011
9 박용순, "전문직 은퇴자 및 은퇴예정 남성의 자원봉사 몰입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사회자원, 자원봉사활동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노인복지학회 (56) : 33-60, 2012
10 정순둘, "은퇴한 배우자를 둔 중고령 여성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49) : 31-50, 2010
1 통계청, "한국표준직업분류"
2 강성진, "한국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한국경제학회 58 (58): 5-36, 2010
3 김미영, "한국 중고령 남성의 은퇴 경험과 은퇴 후 삶의 질"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5 (15): 65-78, 2011
4 연하청, "중산층실태분석과 정책과제" 한국개발연구원 1990
5 안지선, "중년기 은퇴로의 전이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의 성차 : 가족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 17 (17): 65-85, 2012
6 성지미, "중고령자의 은퇴만족도에 대한 연구" 한국경제연구학회 29 (29): 175-212, 2011
7 김지경, "중고령 은퇴자들의 은퇴 후 경과기간별 은퇴생활적응의 영향요인" 대한가정학회 48 (48): 83-101, 2010
8 주용국, "전문직 은퇴자의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30 (30): 75-97, 2011
9 박용순, "전문직 은퇴자 및 은퇴예정 남성의 자원봉사 몰입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사회자원, 자원봉사활동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노인복지학회 (56) : 33-60, 2012
10 정순둘, "은퇴한 배우자를 둔 중고령 여성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49) : 31-50, 2010
11 정순둘, "은퇴한 배우자를 둔 중고령 여성의 결혼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 16 (16): 137-155, 2011
12 이신숙, "은퇴한 노인의 생활시간 사용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 16 (16): 35-58, 2011
13 권은비, "은퇴한 남성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 은퇴관련변인과 부부관계의 질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15 (15): 73-92, 2011
14 윤진, "은퇴 이후의 심리 사회적 영향 : 은퇴는 위기인가?" 15 (15): 141-158, 1995
15 성미애, "여성 퇴직자의 퇴직 후 생활에 관한 질적 연구 - 교직·공무원직 퇴직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학회 16 (16): 55-91, 2004
16 장은정, "부부간 인식차이에 따른 은퇴 후 가족관계 변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17 한경혜, "라이프코스 관점에서 본 은퇴경험의 남녀차이" 한국사회학회 42 (42): 86-118, 2008
18 김태현, "노후생활 준비교육" 1-22, 1998
19 강지숙, "노인의 은퇴 적응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노년학회 28 (28): 477-496, 2008
20 김애련, "노인의 여가활동 유형과 여가활동이 생애만족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35 (35): 275-288, 1997
21 지연경, "내외통제성 및 은퇴로 인한 스트레스 지각과 생활만족도" 29 (29): 217-240, 1991
22 조병은, "남편이 은퇴한 부부의 상호작용 특성과 결혼만족도" 19 (19): 31-44, 1999
23 김나연, "남성노인의 은퇴 후 삶의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새로운 삶의 의미를 찾아서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1) : 253-288, 2007
24 성미애, "남성 퇴직자의 생활태도 유형화 및 유형별 퇴직후 적응도"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9
25 이가옥, "남성 연소노인의 은퇴 후 적응과정과 노년기 조망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7 (57): 93-120, 2005
26 성미애, "남녀 은퇴자의 은퇴전이 경험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젠더차이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48 (48): 13-25, 2010
27 최문정, "고령근로자 은퇴과정에 관한 연구 : 주된 일자리와 은퇴과정 계층화의 개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28 김정현, "가족지지가 남자노인의 은퇴스트레스와 은퇴후 적응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 상위직종자를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5
29 신화용, "가족지위에 따른 상속태도 및 부양과 상속의 연계의식에 관한 비교:노모와 며느리/딸 및 큰며느리/지차며느리/딸의 비교" 한국노년학회 22 (22): 95-111, 2002
30 Phillipsion, C., "The Sociology of Retirement, In Ageing in Society-An Introduction to Social Gerontology" Sage Publications 1993
31 Gallo, W., "The Persistence of Depressive Symptoms in Order Workers Who Experience Involuntary Job Loss" 61 (61): 221-228, 2006
32 Pavot, W., "Review of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5 : 164-172, 1993
33 Atchley, R., "Retirement and Leisure Participation: Continuity or Crisis" 11 (11): 13-17, 1971
34 Kelly, J. R., "Leisure" Allyn & Bacon Co 1996
35 Sharpley, C. F., "Effects of Age of Retirement, Reason for Retirement, and Pre-Retirement Training 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Health During Retirement" 33 (33): 119-124, 1998
36 Hardy. A., "Current Perspectives on Aging and the Life Course, In Occupational Structure and Retirement" JAI Press Inc 111-146, 1985
37 Palmore, E. B., "Consequences of Retirement" 39 (39): 109-116, 1984
38 김지경, "Analysis of RetiredWomen’s Income Sourceand the Amount of Income in Korea :Focus onComparing Voluntary Retirees to InvoluntaryRetirees"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 (2): 121-144, 2006
39 Solinge, H., "Adjustment to and Satisfaction With Retirement: Two of a Kind" 23 (23): 422-434, 2008
40 국민연금관리공단, "3차년도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 2009
41 국민연금관리공단, "1차년도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 2005
42 오혁진, "1950년대 ‘전국문맹퇴치교육’의 사회교육사적 의미" 한국평생교육학회 17 (17): 265-291, 2011
43 이수영, "100세 시대 도래의 시사점과 정책방향, In 역동적인 100세 사회 어떻게 만들어야 하나" 2011
아동의 다문화 수용성 증진을 위한 통합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일ㆍ가정양립의 관점에서 본 유연근무제: 전략적 선택인가, 젠더 함정인가?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1 | 1.21 | 1.3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4 | 1.41 | 1.785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