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혼인의 정치학적 측면에서 본 티베트의 귀족(貴族)사회와 혼인문화 = Marriage Culture of Tibetan Noble Famil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652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llowing three aspects will help understand the power and the truth of how Tibetan society maintains its unity of religion and politics until modern times. First, it is Dalai Lama, the head of the unity of religion and politics, and high-ranking monks who are close to Dalai Lama. Second, it is Buddhist temples that hold strong influence to design and construct Tibetan politics and religious culture. Third, it is a power block of Tibetan noble families. However, the previous Tibetan society before 1951 formed the ruling class comprised of three types of lords, including government officials of a feudal local government, the nobles, and the high-ranking lamas of Buddhist temples, and their population only accounted for 5% of the total population. Among them, the aristocracy was the actual power group that created Tibetan culture and politics and took the lead in economy. Historically, the Tibetan aristocracy formed four types of classes as follows. The first class is Yabshi family. They are called "Golden aristocrats"consisted of parents of Dalai Lama and a family of Panchen Lama. The second class is Depon family. This family, the most influential group in Tibetan noble society, is traditional and authoritative and passes one power to blood-related descendants. The third class is midak family. This family used to dominate ministers of then Tibetan local government and actively pushed forward marriage among similar families to maintain families’ stability and status. At the time, this marriage culture affected other noble classes except for Yabshi family and led up to the universal sentiment that recognizes politicization of marriage. Lastly, although they are ordinary nobles, they are small self-made families that accumulated economic wealth by their own efforts and entered into the world of nobles. This article will analyze the noble families’ marriage forms, values, and marriage purposes. The analysis intends to reveal that the marriage of then noble families was extremely political by highlighting the difference from the marriage culture of common peasants and serfs in Tibet and additionally estimate the social background at the time to see reasons of the politicization of the marriage.
      번역하기

      Following three aspects will help understand the power and the truth of how Tibetan society maintains its unity of religion and politics until modern times. First, it is Dalai Lama, the head of the unity of religion and politics, and high-ranking monk...

      Following three aspects will help understand the power and the truth of how Tibetan society maintains its unity of religion and politics until modern times. First, it is Dalai Lama, the head of the unity of religion and politics, and high-ranking monks who are close to Dalai Lama. Second, it is Buddhist temples that hold strong influence to design and construct Tibetan politics and religious culture. Third, it is a power block of Tibetan noble families. However, the previous Tibetan society before 1951 formed the ruling class comprised of three types of lords, including government officials of a feudal local government, the nobles, and the high-ranking lamas of Buddhist temples, and their population only accounted for 5% of the total population. Among them, the aristocracy was the actual power group that created Tibetan culture and politics and took the lead in economy. Historically, the Tibetan aristocracy formed four types of classes as follows. The first class is Yabshi family. They are called "Golden aristocrats"consisted of parents of Dalai Lama and a family of Panchen Lama. The second class is Depon family. This family, the most influential group in Tibetan noble society, is traditional and authoritative and passes one power to blood-related descendants. The third class is midak family. This family used to dominate ministers of then Tibetan local government and actively pushed forward marriage among similar families to maintain families’ stability and status. At the time, this marriage culture affected other noble classes except for Yabshi family and led up to the universal sentiment that recognizes politicization of marriage. Lastly, although they are ordinary nobles, they are small self-made families that accumulated economic wealth by their own efforts and entered into the world of nobles. This article will analyze the noble families’ marriage forms, values, and marriage purposes. The analysis intends to reveal that the marriage of then noble families was extremely political by highlighting the difference from the marriage culture of common peasants and serfs in Tibet and additionally estimate the social background at the time to see reasons of the politicization of the marriag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근대까지 티베트사회에서 ‘정교합일(政敎合一)’을 유지했던 동력과 실체는 다음의 3가지 방면에서 이해 할 수 있다. 첫 번째, 정교합일의 수장인 달라이 라마와 그의 측근인 고위 승려집단들이다. 두 번째는 티베트의 정치와 종교문화를 기획하고 구성할 수 있는 막강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던 불교사원이다. 세 번째는 티베트 귀족가문의 세력집단이다. 그런데 구(舊)티베트사회(1951년대 이전)는 3대 영주, 즉 관가(官家)와 귀족 그리고 불교사원의 고위 승려집단들이 지배계층을 형성하였고 티베트사회를 이끌고 있었는데 이들의 인구는 전체의 5%밖에 안 되었다. 이 중에서 귀족계층은 티베트의 문화와 정치를 창조하고 경제를 주도하는 실질적인 파워집단이었다. 역사적으로 티베트의 귀족집단은 네 부류의 계층을 형성하고 있었는데 다음과 같다. 첫 번째가 ‘아계’(亞谿)가문이다. 이들은 달라이 라마의 부모와 판첸 라마의 가족으로 구성된 ‘황금(黃金)귀족’을 말한다. 두 번째는 ‘제본’(第本)가문이다. 이 가문의 특징은 전통적이며 권위적인 혈통의 세습인데 티베트 귀족사회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집단이다. 세 번째는 ‘미찰(米扎)’가문이다. 이 가문의 특징은 당시 티베트 지방정부(噶廈)의 대신(噶倫)을 장악하고 있었다는 점이며 가문의 안정성과 신분의 유지를 위해 비슷한 가문끼리의 혼인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당시 이러한 혼인문화는 아계가정을 제외한 다른 귀족계층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혼인의 정치적 이라는 보편적 정서를 촉발하였다. 마지막으로 일반귀족(貴族)들인데 이들은 스스로의 노력으로 자수성가하여 경제적 부(富)를 축적하여 귀족세계에 진입한 소규모의 가문들이다. 본문에서는 이들 귀족가문의 혼인 형태와 가치관 그리고 혼인의 목적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는 티베트에서 일반 농민과 농노의 혼인문화와의 차이점을 부각시켜 당시 귀족가문의 혼인이 매우 정치적이었음을 밝히고자 함이며 추가적으로 왜 그래야만 했는지에 대한 당시의 사회적 배경을 가늠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근대까지 티베트사회에서 ‘정교합일(政敎合一)’을 유지했던 동력과 실체는 다음의 3가지 방면에서 이해 할 수 있다. 첫 번째, 정교합일의 수장인 달라이 라마와 그의 측근인 고위 승려집...

      근대까지 티베트사회에서 ‘정교합일(政敎合一)’을 유지했던 동력과 실체는 다음의 3가지 방면에서 이해 할 수 있다. 첫 번째, 정교합일의 수장인 달라이 라마와 그의 측근인 고위 승려집단들이다. 두 번째는 티베트의 정치와 종교문화를 기획하고 구성할 수 있는 막강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던 불교사원이다. 세 번째는 티베트 귀족가문의 세력집단이다. 그런데 구(舊)티베트사회(1951년대 이전)는 3대 영주, 즉 관가(官家)와 귀족 그리고 불교사원의 고위 승려집단들이 지배계층을 형성하였고 티베트사회를 이끌고 있었는데 이들의 인구는 전체의 5%밖에 안 되었다. 이 중에서 귀족계층은 티베트의 문화와 정치를 창조하고 경제를 주도하는 실질적인 파워집단이었다. 역사적으로 티베트의 귀족집단은 네 부류의 계층을 형성하고 있었는데 다음과 같다. 첫 번째가 ‘아계’(亞谿)가문이다. 이들은 달라이 라마의 부모와 판첸 라마의 가족으로 구성된 ‘황금(黃金)귀족’을 말한다. 두 번째는 ‘제본’(第本)가문이다. 이 가문의 특징은 전통적이며 권위적인 혈통의 세습인데 티베트 귀족사회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집단이다. 세 번째는 ‘미찰(米扎)’가문이다. 이 가문의 특징은 당시 티베트 지방정부(噶廈)의 대신(噶倫)을 장악하고 있었다는 점이며 가문의 안정성과 신분의 유지를 위해 비슷한 가문끼리의 혼인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다. 당시 이러한 혼인문화는 아계가정을 제외한 다른 귀족계층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혼인의 정치적 이라는 보편적 정서를 촉발하였다. 마지막으로 일반귀족(貴族)들인데 이들은 스스로의 노력으로 자수성가하여 경제적 부(富)를 축적하여 귀족세계에 진입한 소규모의 가문들이다. 본문에서는 이들 귀족가문의 혼인 형태와 가치관 그리고 혼인의 목적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는 티베트에서 일반 농민과 농노의 혼인문화와의 차이점을 부각시켜 당시 귀족가문의 혼인이 매우 정치적이었음을 밝히고자 함이며 추가적으로 왜 그래야만 했는지에 대한 당시의 사회적 배경을 가늠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劉忠, "論淸代領主等級制度的形成" (4) : 71-73, 1990

      2 홍병혜, "티벳 전통의 혼인유형 분석과 군혼문화의 형성배경" 중국학연구회 (28) : 215-244, 2004

      3 심혁주, "티베트의 활불제도-신을 만드는 사람들" 서강대학교출판부 2010

      4 牙含章, "试论西藏封建农奴制度" (1) : 33-34, 1988

      5 张江华, "试论西藏封建农努制度的基本类型" (16) : 166-, 1989

      6 刘忠, "试析西藏农努制庄园的残存形态" 5 : 71-73, 1983

      7 次仁央宗, "試論西藏貴族家庭" (1) : 23-26, 1997

      8 次仁央宗, "西藏贵族世家 : 1900-1951" 中國藏學出版社 2006

      9 毕达克, "西藏的贵族和政府:1728-1959" 中国藏学出版社 2008

      10 中根千枝, "西藏的貴族" 西藏人民出版社 1996

      1 劉忠, "論淸代領主等級制度的形成" (4) : 71-73, 1990

      2 홍병혜, "티벳 전통의 혼인유형 분석과 군혼문화의 형성배경" 중국학연구회 (28) : 215-244, 2004

      3 심혁주, "티베트의 활불제도-신을 만드는 사람들" 서강대학교출판부 2010

      4 牙含章, "试论西藏封建农奴制度" (1) : 33-34, 1988

      5 张江华, "试论西藏封建农努制度的基本类型" (16) : 166-, 1989

      6 刘忠, "试析西藏农努制庄园的残存形态" 5 : 71-73, 1983

      7 次仁央宗, "試論西藏貴族家庭" (1) : 23-26, 1997

      8 次仁央宗, "西藏贵族世家 : 1900-1951" 中國藏學出版社 2006

      9 毕达克, "西藏的贵族和政府:1728-1959" 中国藏学出版社 2008

      10 中根千枝, "西藏的貴族" 西藏人民出版社 1996

      11 皮德罗, "西藏的土地與政體" 拉薩出版社 1985

      12 陳慶英, "西藏山南窮結家族" (20) : 85-, 2007

      13 達瓦次仁, "西藏封建农奴制研究论文选" 中国藏学出版社 1991

      14 刘忠, "西藏封建农奴制研究论文选" 中国藏学出版社 1991

      15 陳慶英, "藏族部落制度研究" 中國藏學出版社 2002

      16 舒介勋, "藏族史论文集" 四川人民出版社 1988

      17 次仁央宗, "帕拉庄园朗生的今昔" (7) : 23-26, 1998

      18 次仁央宗, "帕拉家族及其庄园" (2) : 54-55, 1999

      19 陈庆英, "历辈达赖喇嘛生平形象历史" 中国藏学出版社 2006

      20 普布觉活佛洛桑楚臣强巴嘉措, "十二世达赖传" 中国藏学出版社 2006

      21 普布觉活佛洛桑楚臣强巴嘉措, "十三世达赖喇嘛传" 中国藏学出版社 2006

      22 冯智, "八世达赖喇嘛传" 中国藏学出版社 2006

      23 章嘉, "七世达赖喇嘛传" 中国藏学出版社 2006

      24 Goldstein, M. C., "Serfdom and nobility: an examination of the institution of “human lease” in traditional Tibetan society" 30 : 521-534, 197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10-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Asia-Pacific Studies                           -> Journal of Asia-Pacific Studies KCI등재
      2019-04-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Asia-Pacific Studies -> Journal of Asia-Pacific Studie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nal of Asia-Pacific Studies -> The Journal of Asia-Pacific Studies KCI등재
      2013-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nal of Asia-Pacific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6-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아시아 태평양지역연구원 -> 국제지역연구원
      영문명 : Center for Asia-Pacific Studies -> Institute of Global Affairs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73 1.093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