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동산 규제정책은 가격안정화에 성공하였는가? = The Effect of Real Estate Regulation Policy on Stabilizing Pric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406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과주택수요, 금융규제, 거래제한규제와 같은 부동산 정책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는 것이다. 수요 측면의 부동산 정책을 측정하는 변수로 세가지 정책변수를 개발하여 이를 주요 설명변수로 한 실증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분석 대상은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으며 가격 안정화 정책의 주요 대상인 서울을 중심으로 하였다. 부동산 정책변수는 금융규제를 강도별로 차등화하여 만든 금융규제정책지수와 투기과열지구 및투기지역 등의 거래제한 지정 내역을 전수 조사하여 만든 거래제한정책지수를 구축하였다. 아울러 부동산 시장의 공급과 수요의 증감에 대한 차이로 정의되는 초과주택수요를 월별로추정하였다. 이들은 부동산가격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이를 통해 주택의 수요와공급에 대한 동학적인 분석을 할 수 있었다. 부동산 가격 변동을 설명하는 실증분석 결과금융규제정책지수와 거래제한정책지수는 주택가격과 유의미한 관계가 없거나 양의 관계, 즉정책 강도 강화에도 주택가격 상승이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초과주택수요는주택가격과 양의 관계, 즉 초과주택수요 증가가 주택가격 상승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초과주택수요는 2009년 이후 빠르게 감소했으나 2014년 이후 정체되었지만2018년부터 빠르게 증가한 것이 동기간 주택가격 상승의 배경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초과주택수요, 금융규제, 거래제한규제와 같은 부동산 정책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는 것이다. 수요 측면의 부동산 정책을 측정하는 변수로 세가지 정책...

      본 연구의 목적은 초과주택수요, 금융규제, 거래제한규제와 같은 부동산 정책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는 것이다. 수요 측면의 부동산 정책을 측정하는 변수로 세가지 정책변수를 개발하여 이를 주요 설명변수로 한 실증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분석 대상은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으며 가격 안정화 정책의 주요 대상인 서울을 중심으로 하였다. 부동산 정책변수는 금융규제를 강도별로 차등화하여 만든 금융규제정책지수와 투기과열지구 및투기지역 등의 거래제한 지정 내역을 전수 조사하여 만든 거래제한정책지수를 구축하였다. 아울러 부동산 시장의 공급과 수요의 증감에 대한 차이로 정의되는 초과주택수요를 월별로추정하였다. 이들은 부동산가격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이를 통해 주택의 수요와공급에 대한 동학적인 분석을 할 수 있었다. 부동산 가격 변동을 설명하는 실증분석 결과금융규제정책지수와 거래제한정책지수는 주택가격과 유의미한 관계가 없거나 양의 관계, 즉정책 강도 강화에도 주택가격 상승이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초과주택수요는주택가격과 양의 관계, 즉 초과주택수요 증가가 주택가격 상승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초과주택수요는 2009년 이후 빠르게 감소했으나 2014년 이후 정체되었지만2018년부터 빠르게 증가한 것이 동기간 주택가격 상승의 배경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impact of real estate policies such as excess housing demand, financial regulations, and transaction restriction regulations on housing prices. Three policy indices were developed as variables to measure demand-side real estate policies, an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m as major explanatory variables. The financial regulation policy index (FRPI) was established by investigating financial regulations such as LTV, DTI, and DSR, and the transaction restriction policy index (TRPI) was organized in a time series by examining the details of transaction restrictions such as overheated speculation zones and speculative areas. In addition, the excess demand for housing, defined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upply and demand of the real estate market, was estimated by monthly. The result of empirical showed that the effect of stabilizing housing prices of the FRPI and the TRPI was limited. On the other hand, excess housing demand was positively related to housing prices, and the increase in excess housing demand since the mid-2010s turned out to be a main background of the rise in housing pric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impact of real estate policies such as excess housing demand, financial regulations, and transaction restriction regulations on housing prices. Three policy indices were developed as variables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impact of real estate policies such as excess housing demand, financial regulations, and transaction restriction regulations on housing prices. Three policy indices were developed as variables to measure demand-side real estate policies, an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m as major explanatory variables. The financial regulation policy index (FRPI) was established by investigating financial regulations such as LTV, DTI, and DSR, and the transaction restriction policy index (TRPI) was organized in a time series by examining the details of transaction restrictions such as overheated speculation zones and speculative areas. In addition, the excess demand for housing, defined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upply and demand of the real estate market, was estimated by monthly. The result of empirical showed that the effect of stabilizing housing prices of the FRPI and the TRPI was limited. On the other hand, excess housing demand was positively related to housing prices, and the increase in excess housing demand since the mid-2010s turned out to be a main background of the rise in housing pric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