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금융불안이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 분석 = The Study on the Effect of Financial Instability on Income Inequa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406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금융불안정과 소득불평등 간 관계에 대한 연구가 부각되고 있으나 국내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소득불평등과 금융불안정성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금융불안정성은 금융안정지수(FSI) 및 금융취약지수(FVI)를 이용하고 소득불평등은 소득5분위배율을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금융안정지수의 악화는 소득불평등을 악화시키나 금융취약지수의 상승은 소득불평등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역인과관계에 따른 내생성 이슈를 고려하는 추정에서도 동일하였다. 그러나 시차를 포함한 모형에서 FSI와 FVI가 모두 소득불평등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FSI는 현재의 금융불안 상황을 반영하는 반면, FVI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미래 금융불안 상황을 반영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는 금융안정성을 강화시키는 거시건전성 정책 및 금융안정화 정책이 소득불평등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번역하기

      최근 금융불안정과 소득불평등 간 관계에 대한 연구가 부각되고 있으나 국내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소득불평등과 금융불안정성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금융불안정성은 ...

      최근 금융불안정과 소득불평등 간 관계에 대한 연구가 부각되고 있으나 국내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소득불평등과 금융불안정성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금융불안정성은 금융안정지수(FSI) 및 금융취약지수(FVI)를 이용하고 소득불평등은 소득5분위배율을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금융안정지수의 악화는 소득불평등을 악화시키나 금융취약지수의 상승은 소득불평등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역인과관계에 따른 내생성 이슈를 고려하는 추정에서도 동일하였다. 그러나 시차를 포함한 모형에서 FSI와 FVI가 모두 소득불평등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FSI는 현재의 금융불안 상황을 반영하는 반면, FVI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미래 금융불안 상황을 반영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는 금융안정성을 강화시키는 거시건전성 정책 및 금융안정화 정책이 소득불평등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though recently the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instability and income inequality got deep interest, there is little study. This paper analyses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instability and income inequality. The Financial Stability Index (FSI) and the Financial Vulnerability Index (FVI) are used as the measure of financial instability and the income quintile share ratio is used to measure income inequality. As the result of empirical studies, the deterioration in FCI results in an increase in income inequality whreas the worsening in FVI appears not to have an impact on income inequality contemporaneously. This result is similar in the case of the GMM estimation which considers endoneous issues due to reverse causality. In the robust analysis where sufficient lags are incorporated into the FSI and the FVI, both variables appear to increase income ineqauity. We interpret that this result is because the FSI reflects current financial instability while the FVI takes into future inancial instability in terms of mid- and long-term.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macro-prudential policy or the policy for financial stability can be useful for improving income inequality
      번역하기

      Although recently the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instability and income inequality got deep interest, there is little study. This paper analyses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instability and income inequality. The Financial St...

      Although recently the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instability and income inequality got deep interest, there is little study. This paper analyses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instability and income inequality. The Financial Stability Index (FSI) and the Financial Vulnerability Index (FVI) are used as the measure of financial instability and the income quintile share ratio is used to measure income inequality. As the result of empirical studies, the deterioration in FCI results in an increase in income inequality whreas the worsening in FVI appears not to have an impact on income inequality contemporaneously. This result is similar in the case of the GMM estimation which considers endoneous issues due to reverse causality. In the robust analysis where sufficient lags are incorporated into the FSI and the FVI, both variables appear to increase income ineqauity. We interpret that this result is because the FSI reflects current financial instability while the FVI takes into future inancial instability in terms of mid- and long-term.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macro-prudential policy or the policy for financial stability can be useful for improving income inequalit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