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경숙, "한국판 영유아 행동문제 평가척도(Korean Behavior Assessment System for Children; K-BASC) 표준화 예비연구"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6 (16): 175-191, 2003
2 김영아, "한국판 CBCL 1.5-5의 표준화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28 (28): 117-136, 2009
3 윤재석, "한국아동패널(PSKC)조사에 나타난 출산 전․후 및 영아기 양육지원정책의 내용과 경향" 한국아동권리학회 16 (16): 51-72, 2012
4 이경숙, "한국 유아 행동문제의 경향과 특성: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7 (17): 53-74, 2004
5 조복희, "한국 부모의 자녀 양육방식에서의 차원과 평가" 37 (37): 123-133, 1999
6 박지언, "청소년의 불안정 애착과 문제행동: 공감능력의 조절역할" 한국상담심리학회 20 (20): 369-389, 2008
7 좌현숙, "청소년의 내재화 문제와 위험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49) : 85-119, 2017
8 이봉주, "청소년기 사회적 위축 문제의 발달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발달-맥락주의적 관점을 적용한 탐색적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1 (21): 317-346, 2014
9 최윤희, "정서 및 행동 문제를 나타내는 유아에 대한 연구 동향 및 문제행동 분석" 특수교육연구소 4 (4): 105-133, 2005
10 김연주,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청소년 전환기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과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가정과삶의질학회 33 (33): 1-17, 2015
1 이경숙, "한국판 영유아 행동문제 평가척도(Korean Behavior Assessment System for Children; K-BASC) 표준화 예비연구"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6 (16): 175-191, 2003
2 김영아, "한국판 CBCL 1.5-5의 표준화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28 (28): 117-136, 2009
3 윤재석, "한국아동패널(PSKC)조사에 나타난 출산 전․후 및 영아기 양육지원정책의 내용과 경향" 한국아동권리학회 16 (16): 51-72, 2012
4 이경숙, "한국 유아 행동문제의 경향과 특성: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17 (17): 53-74, 2004
5 조복희, "한국 부모의 자녀 양육방식에서의 차원과 평가" 37 (37): 123-133, 1999
6 박지언, "청소년의 불안정 애착과 문제행동: 공감능력의 조절역할" 한국상담심리학회 20 (20): 369-389, 2008
7 좌현숙, "청소년의 내재화 문제와 위험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49) : 85-119, 2017
8 이봉주, "청소년기 사회적 위축 문제의 발달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발달-맥락주의적 관점을 적용한 탐색적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21 (21): 317-346, 2014
9 최윤희, "정서 및 행동 문제를 나타내는 유아에 대한 연구 동향 및 문제행동 분석" 특수교육연구소 4 (4): 105-133, 2005
10 김연주,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청소년 전환기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과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가정과삶의질학회 33 (33): 1-17, 2015
11 이주리,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한 초등학생의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 행동의 발달궤적" 한국아동권리학회 12 (12): 503-523, 2008
12 노보람, "일반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의 변화유형, 예측요인 및초등학교 적응과의 관계: 성장혼합모형(GMM) 분석"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8 (18): 175-201, 2018
13 임은주,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5 (15): 79-93, 2010
14 이원령, "유아의 정서 및 행동문제에 대한 중재 고찰: 2000∼2013년 국내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0 (30): 401-428, 2014
15 임현주, "유아의 성별에 따른 내재화·외현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5 (35): 97-115, 2015
16 고인숙,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및 정서지능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3 (3): 93-111, 2008
17 송진영,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유아, 교사 관련 변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7 (17): 345-365, 2012
18 김연,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양육태도, 기질,인지능력, 사회적 능력 간의 구조모형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229-250, 2006
19 우수경, "유아의 문제행동과 관련요인에 대한 단기 종단적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2 (22): 211-231, 2017
20 권수진, "유아의 문제행동 관련변인 연구: 유아변인, 어머니변인, 또래관계변인" 미래유아교육학회 23 (23): 385-406, 2016
21 김영미,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우울, 온정적 양육행동,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간의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 검증" 한국아동학회 39 (39): 73-82, 2018
22 강지현, "유아기 외현화 문제행동의 하위 발달경로에 미치는 기질의 효과: 잠재성장혼합모형(Latent Growth Mixture Modeling) 분석을 적용한 단기종단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29 (29): 875-894, 2010
23 윤현수, "유아기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의 안정성: 1년 추적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30 (30): 617-627, 2011
24 오경자, "위기청소년에 대한 다중체계치료적 접근: 청소년동반자 프로그램의 개입 효과성 연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7 (17): 1-17, 2009
25 유수옥, "연령 증가에 따른 영유아 문제행동 발생율 군집화 연구" 한국아동학회 34 (34): 57-75, 2013
26 Mash, E, "아동 청소년 정신병리학" 시그마프레스 2014
27 Wilmshurtst, L., "발달정신병리 사례집" 시그마프레스 2016
28 이은주, "내재화 행동문제와 외현화 행동문제의 종단적 공동발달 : 잠재성장모델의 적용"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1 (21): 171-200, 2010
29 Boyle, C. A., "Trends in the Prevalence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US Children, 1997-2008" 127 (127): 1034-1042, 2011
30 Cleveland, M. J., "Transitions in First-year College Student Drinking Behaviors: Does Pre-college Drinking Moderate the Effects of Parent-and Peer-based Intervention Components?" 26 (26): 440-450, 2012
31 Bronfenbrenner, U,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Harvard University Press 1979
32 Wang, J,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Mplus: Methods and Applications" Wiley/Higher Education Press 2012
33 Nylund, K.L, "Stability and Instability of Peer Victimization during Middle School: Using Latent Transition Analysis with Covariates, Distal Outcomes, and Modeling Extensions"
34 Lam, P., "Outcomes of Infant Sleep Problems: A Longitudinal Study of Sleep, Behavior, and Maternal Well-being" 111 (111): e203-207, 2003
35 Muthén, L.K, "Mplus User’s Guide" Muthén & Muthén 2017
36 Little, T. D., "Modeling Contextual Effects in Longitudinal Studies" Psychology Press 2009
37 Achenbach, T.M, "Manual for the ASEBA Preschool Forms &Profiles"
38 Lanza, S. T., "Latent Transition Analysis: Benefits of A Latent Variable Approach to Modeling Transitions in Substance Use" 40 (40): 93-120, 2010
39 Bianchi, V., "Latent Classes of Emotional and Behavioural Problems in Epidemiological and Referred Samples and Their Relations to DSM-IV Diagnoses" 26 (26): 549-557, 2017
40 Collins, L, "Latent Class and Latent Transition Analysis: With Applications in the Social, Behavioral, and Health Sciences" Wiley 2010
41 Vermunt, J. K, "Latent Class Modeling with Covariates: Two Improved Three-step Approaches" 18 (18): 450-469, 2010
42 Chung, H., "Latent Class Logistic Regression:Application to Marijuana Use and Attitudes among High School Seniors" 169 : 723-743, 2006
43 Lanza, S.T, "Latent Class Analysis for Developmental Research" 10 (10): 59-64, 2016
44 Muthén, B.O, "Integrating Person-centered and Variable-centered Analyses: Growth Mixture Modeling with Latent Trajectory Classes" 24 (24): 882-891, 2000
45 Weiner, I. B., "Handbook of Psychology" Wiley 2003
46 Schwarz, G, "Estimating the Dimension of a Model" 6 (6): 461-464, 1978
47 Henson, J. M., "Detecting Mixtures from Structural Model Differences Using Latent Variable Mixture Modeling: A Comparison of Relative Model Fit Statistics" 14 (14): 202-226, 2007
48 Hayes, A. M., "Change Is Not Always Linear: The Study of Nonlinear and Discontinuous Patterns of Change in Psychotherapy" 27 (27): 715-723, 2007
49 오경자, "CBCL 1. 5-5 매뉴얼 부모용 매뉴얼" 휴노컨설팅 2009
50 Asparouhov, T., "Auxiliary Variables in Mixture Modeling: Three-Step Approaches Using M plus" 21 (21): 329-341, 2014
51 Sclove, L. S, "Application of Model Selection Criteria to Some Problems in Multivariate Analysis" 52 (52): 333-343, 1987
52 Akaike, H, "A New Look at the Statistical Model Identification" 19 (19): 716-723, 1974
53 Nylund, K. L., "A Latent Transition Mixture Model Using the Three-Step Specification" 21 (21): 439-454, 2014
54 장미경, "0-3세 영유아의 정신건강 및 발달장애 조기진단을 위한 척도제작 연구" 한국아동학회 26 (26): 47-59,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