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승우, "호머 헐버트(Homer B. Hulbert)의 아리랑 논의에 대한 분석적 고찰" 국제비교한국학회 20 (20): 43-80, 2012
2 헐버트(Homer B. Hulbert), "헐버트 글모음-헐버트 조선의 혼을 깨우다" 참좋은친구 2016
3 이경분, "한국근현대음악사를 보는 3가지 시선" 세계음악학회 (41) : 27-47, 2019
4 이경분, "프란츠 에케르트(Franz Eckert)는 <대한제국 애국가>의 작곡가인가? - <대한제국 애국가>에 대한 새로운 고찰" 역사문제연구소 (101) : 373-401, 2012
5 송혜진, "조선후기 관서지방의 공연 시공간과 향유에 관한 연구" 한국공연문화학회 (22) : 287-325, 2011
6 윤영해, "이상준과 근대 한국 음악학의 출발" 한국국악학회 63 : 269-290, 2018
7 신근영, "신문기사로 살펴본 개화기 조선의 공연예술양상" 남도민속학회 (24) : 135-169, 2012
8 사진실, "서울의 시정문화와 탈춤의 성장" 일조각 45 : 114-150, 2009
9 임혜정, "본산대놀이 가면극 음악에 대한 추론" 은평역사한옥박물관 2019
10 송혜진, "미국 피바디에섹스 박물관 소장 <평양감사향연도> 도상의 재해석" 한국국악학회 44 : 57-85, 2008
1 김승우, "호머 헐버트(Homer B. Hulbert)의 아리랑 논의에 대한 분석적 고찰" 국제비교한국학회 20 (20): 43-80, 2012
2 헐버트(Homer B. Hulbert), "헐버트 글모음-헐버트 조선의 혼을 깨우다" 참좋은친구 2016
3 이경분, "한국근현대음악사를 보는 3가지 시선" 세계음악학회 (41) : 27-47, 2019
4 이경분, "프란츠 에케르트(Franz Eckert)는 <대한제국 애국가>의 작곡가인가? - <대한제국 애국가>에 대한 새로운 고찰" 역사문제연구소 (101) : 373-401, 2012
5 송혜진, "조선후기 관서지방의 공연 시공간과 향유에 관한 연구" 한국공연문화학회 (22) : 287-325, 2011
6 윤영해, "이상준과 근대 한국 음악학의 출발" 한국국악학회 63 : 269-290, 2018
7 신근영, "신문기사로 살펴본 개화기 조선의 공연예술양상" 남도민속학회 (24) : 135-169, 2012
8 사진실, "서울의 시정문화와 탈춤의 성장" 일조각 45 : 114-150, 2009
9 임혜정, "본산대놀이 가면극 음악에 대한 추론" 은평역사한옥박물관 2019
10 송혜진, "미국 피바디에섹스 박물관 소장 <평양감사향연도> 도상의 재해석" 한국국악학회 44 : 57-85, 2008
11 홍태한, "무당내력 류 이본의 양상과 의미" 한국무속학회 (32) : 219-242, 2016
12 H. B. Hulbert, "대한제국멸망사" 집문당 1999
13 이정희, "대한제국 황실음악 -전통과 근대의 이중주-" 민속원 2019
14 Emile Bourdaret, "대한제국 최후의 숨결" 글항아리 2009
15 Percival Lowell, "내 기억 속의 조선, 조선 사람들" 예담 2001
16 이정희, "근대식 연회의 탄생 : 대한제국 근대식 연회의 성립과 공연문화사적 의의" 민속원 2014
17 윤영해, "근대기 민속악 악보화에 관한 재고" 한국국악학회 65 : 191-209, 2019
18 백두산, "근대 초기 서울지역 극장문화 형성과정 연구" 서울대학교 2017
19 임혜정, "근대 일본의 박람회와 기생의 가무(歌舞) 활동" 한국공연문화학회 (24) : 339-371, 2012
20 "고종실록"
21 윤영해, "계정식 『한국음악』의 음악학적 의의 - 1930년대 독일 비교음악학계의 연구방법론을 중심으로-" 동양음악연구소 40 : 187-218, 2016
22 信夫淳平(시노부 쥰페이), "韓半島" 東京堂書店 1901
23 "閒雜遊戱"
24 "舍生何義"
25 "巫黨來歷"
26 Homer B. Hulbert, "The Passing of Korea" Doubleday, Page &Company 1906
27 Hulbert, Homer B, "The Korean Repository" Trilingual Press 1897
28 Hulbert, Homer B, "The Korean Repository" Trilingual Press 1896
29 Hulbert, Homer B, "The Korea Review" Methodist Publishing House 1903
30 Hulbert, Homer B, "The Korea Review" Methodist Publishing House 1903
31 Hulbert, Homer B, "The Korea Review" Methodist Publishing House 1903
32 Hulbert, Homer B, "The Korea Review" Methodist Publishing House 1903
33 Hulbert, Homer B, "The Korea Review" Methodist Publishing House 1903
34 Hulbert, Homer B, "The Korea Review" Methodist Publishing House), January 1902
35 Hulbert, Homer B, "The Korea Review" Methodist Publishing House 1902
36 Hulbert, Homer B, "The Korea Review" Methodist Publishing House 1902
37 Hulbert, Homer B, "The Korea Review" Methodist Publishing House 1901
38 Bishop, Isabella, "Korea and Her Neighbours" Fleming H. Revell Co 1897
39 Gottschewski, Hermann, "How a Sadangpae Song Became the First National Anthem of Korea: Homer B. Hulbert’s Transcription of “Param i punda” (1896), its Musicological Background and Historical Significance" 2014
40 권도희, "20세기 전반기 극장연희의 종목과 그 특징" 한국국악학회 47 : 21-47, 2010
41 정환희, "2012 국악기 연구 보고서" 국립국악원 2012
42 손태도, "19세기 광대 집단의 음악 문화" 동양음악연구소 24 : 91-130, 2002
43 유대안, "1896년 헐버트 채보 <아라릉(A-ra-rúng)>과 플레처 채록 <아라랑(Ar-ra-rang)>의 실상과 음악양상" 한국민요학회 44 (44): 103-134,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