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송혜진, "함화진론-생애와 민속음악론을 중심으로" 28 : 299-320, 1996
2 김수현, "함화진(咸和鎭)의 저술서 연구- 『朝鮮音樂通論』을 중심으로 -" 동양고전연구소 (30) : 447-481, 2014
3 송방송, "한국음악학의 방향과 과제" 12 : 5-20, 1996
4 임미선, "한국음악사 연구의 현황과 전망" 한국국악학회 43 : 249-307, 2008
5 최유준, "한국음악과 아시아적 공감 - 탈민족주의 음악론과 ‘방법으로서의 아시아’" 한국음악학학회 19 (19): 7-36, 2011
6 이경분, "한국근현대음악사를 보는 3가지 시선" 세계음악학회 (41) : 27-47, 2019
7 김은영, "한국 전통음악의 근대적 전환: 기보와 매체를 중심으로" 민족음악학회 (36) : 111-138, 2008
8 최 헌, "한국 민속음악의 연구사와 연구사적 당면과제" 6 : 137-153, 2015
9 이경분, "프란츠 에케르트(Franz Eckert)는 <대한제국 애국가>의 작곡가인가? - <대한제국 애국가>에 대한 새로운 고찰" 역사문제연구소 (101) : 373-401, 2012
10 정수진, "조선음악, 조선음악가의 困難 -梧堂 咸和鎭을 중심으로-" 한국민속학회 41 : 387-418, 2005
1 송혜진, "함화진론-생애와 민속음악론을 중심으로" 28 : 299-320, 1996
2 김수현, "함화진(咸和鎭)의 저술서 연구- 『朝鮮音樂通論』을 중심으로 -" 동양고전연구소 (30) : 447-481, 2014
3 송방송, "한국음악학의 방향과 과제" 12 : 5-20, 1996
4 임미선, "한국음악사 연구의 현황과 전망" 한국국악학회 43 : 249-307, 2008
5 최유준, "한국음악과 아시아적 공감 - 탈민족주의 음악론과 ‘방법으로서의 아시아’" 한국음악학학회 19 (19): 7-36, 2011
6 이경분, "한국근현대음악사를 보는 3가지 시선" 세계음악학회 (41) : 27-47, 2019
7 김은영, "한국 전통음악의 근대적 전환: 기보와 매체를 중심으로" 민족음악학회 (36) : 111-138, 2008
8 최 헌, "한국 민속음악의 연구사와 연구사적 당면과제" 6 : 137-153, 2015
9 이경분, "프란츠 에케르트(Franz Eckert)는 <대한제국 애국가>의 작곡가인가? - <대한제국 애국가>에 대한 새로운 고찰" 역사문제연구소 (101) : 373-401, 2012
10 정수진, "조선음악, 조선음악가의 困難 -梧堂 咸和鎭을 중심으로-" 한국민속학회 41 : 387-418, 2005
11 김세중, "자폐의 언어로 쌓은 다수의 소수의 성—닫힌 한국음악학의 세계" 10 : 237-255, 2003
12 김수현, "일제강점기 국악 관련 학술적 연구 경향 고찰 - 신문잡지 게재 글에 기하여 -" 한국음악사학회 (48) : 77-120, 2012
13 김은영, "일반2: 청년 계정식의 근대적 욕망과 조선음악 연구: 계정식의 「한국음악(DIE KOREANISCHE MUSIK)」을 중심으로" 민족음악학회 (52) : 43-71, 2016
14 김은영, "이화여전 글리클럽 연구: 1927-1935년의 활동을 중심으로" 음악연구소 23 (23): 107-135, 2019
15 송혜진, "이왕직아악부와 음악인들" 국립국악원 137-147, 1991
16 윤영해, "이상준과 근대 한국 음악학의 출발" 한국국악학회 63 : 269-290, 2018
17 박미경, "음악학의 21세기 전개: 각성과 도전을 통한 혁신적 변화의 양상들" 세계음악학회 (40) : 5-59, 2019
18 송방송, "음악연구 어떻게 하는 것인가" 음악춘추사 2002
19 노동은, "음악, 한반도에서 그 갈등의 언어성(I)" 5 : 5-22, 1990
20 정수진, "원형론의 민속학적 전유-한국 민속학의 해체와 전망-" 비교민속학회 (42) : 271-305, 2010
21 채현경, "우리 음악을 위한 새로운 음악학--Integrative Musicology" 세계음악학회 (1) : 13-29, 1999
22 송화섭, "역사민속학 관점에서 본 한국민속연구의 나아갈 방향" 비교민속학회 (59) : 39-68, 2016
23 남근우, "야나기타(柳田國男) 민속학과 식민주의-'조선민속학'에의 관여문제와 관련하여-" 역사문화학회 9 (9): 415-446, 2006
24 조효임, "안드레 에카르트와 ‘코리아심포니’" (8) : 102-133, 1994
25 노동은, "민족음악론" 한길사 1991
26 이건용, "민족음악 양식론의 성격과 구조" 3 : 237-255, 1992
27 정수진, "민속학적 원형론의 기초연구" 한국민속학회 47 : 135-166, 2008
28 김희선, "문화냉전기 미국의 아시아음악연구와 1960년대 국악의 국제화" 음악연구소 23 (23): 121-164, 2019
29 김희선, "문화냉전기 국가 프로파간다와 공연예술: 1960-70년대 리틀앤젤스 활동의 국제정치학" 세계음악학회 (40) : 143-183, 2019
30 정수진, "무형문화재 제도의 성립,그 역사성의 재고" 한국민속학회 40 : 475-508, 2004
31 권도희, "만당 이혜구와 운초 장사훈의 음악학 규정과 한국음악 연구" 동양음악연구소 46 : 9-47, 2019
32 구인모, "다카하시 도루(高橋亨)와 조선민요의 발견 : 강의록과 논문을 중심으로" 국학연구원 (183) : 1-30, 2018
33 임혜정, "다나베 히사오의 조선음악조사활동에 관한 재고" 175-198, 2019
34 김수현, "다나베 히사오의 조선음악조사에 대한 비판적 검토" 22 : 115-146, 1999
35 이혜구, "나의 음악연구생활 회고" 10 : 17-43, 1993
36 윤영해, "근대기 민속악 악보화에 관한 재고" 한국국악학회 65 : 191-209, 2019
37 김희선, "국악의 세계화 -2000년대 해외공연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공연문화학회 (27) : 357-400, 2013
38 이수정, "국악을 논하는 잡지의 지면 연구 시론" 한국음악사학회 (60) : 97-134, 2018
39 이혜구, "국악연구로 한 평생을" 28 : 7-13, 2000
40 윤영해, "계정식 『한국음악』의 음악학적 의의 - 1930년대 독일 비교음악학계의 연구방법론을 중심으로-" 동양음악연구소 40 : 187-218, 2016
41 우에무라 유키오, "가네쓰네 기요스케의 조선음악조사: 그 내용과 평가" 137-156, 2010
42 야마모토 하나코, "平田辺尚雄の朝鮮伎楽調査がもたらしたもの" 일본학연구소 (14) : 27-50, 2009
43 남근우, "‘민속’의 근대, 탈근대의 민속학" 한국민속학회 38 : 191-220, 2003
44 신수정, "[조선민요합창곡집(朝鮮民謠合唱曲集)] 연구" 민족음악학회 (50) : 283-301, 2015
45 박미경, "21세기 한국음악학: 지금 여기 우리를 다(하나로) 담아내는 그릇이어야" 세계음악학회 (41) : 5-26, 2019
46 전지영, "1950-60년대 국악 대중화·현대화 담론 고찰" 한국음악사학회 (53) : 345-372, 2014
47 이지선, "1930년대 일본인의 조선음악 연구 2" 한국국악교육학회 37 (37): 181-217, 2014
48 이지선, "1920년대 일본인의 조선음악 연구 -다나베 히사오의 「조선음악고」를 중심으로-" 한국국악교육학회 35 (35): 87-109, 2013
49 이지선, "1910년대 일본인의 조선음악 연구- 가네쓰네 기요스케(兼常淸佐)의 朝鮮の音樂을 중심으로 -" 한국음악사학회 (50) : 211-249,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