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악학 지형의 재검토와 동시대 한국음악학을 향한 사유와 모색 = Towards a Contemporary Korean Musicology: A Reflection on Studi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429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music of Joseon have been studied by various scholars and writers including Western missionaries, Japanese musicologists and local Korean scholars and musicians with various backgrounds. Even though their studies encompass various areas of study, yet, their studies have remained at the boundary of colonial modernity.
      After the independence, an institutionalized Korean musicology has established by several individual scholars including Yi Hye-ku, Chang Sa-hun and former musicians of the Yi Wangjik Aakpu, a former court musicians of Joseon. Along with endeavors to establish the rightful history and theory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after 36 years of colonial period, the field of Korean musicology have developed during last 70 years. However, the aim and purpose of Korean Musicology remained narrow while its perspectives and methodologies were limited, mostly focus on music analysis which resembles the attitude and direction of colonial modernity. To overcome colonial modernity in current Korean musicology, this paper suggests that Korean music should be treated as a process not as a product. At the same time, scholarly perspective of Korean musicology should be broadened including examination of context and culture, away from a simple musical analysis and examination of historical documents and music books. By doing this, Korean musicology would achieve its contemporary meaning in a changing society in Korea and beyond.
      번역하기

      Since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music of Joseon have been studied by various scholars and writers including Western missionaries, Japanese musicologists and local Korean scholars and musicians with various backgrounds. Even though their studi...

      Since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music of Joseon have been studied by various scholars and writers including Western missionaries, Japanese musicologists and local Korean scholars and musicians with various backgrounds. Even though their studies encompass various areas of study, yet, their studies have remained at the boundary of colonial modernity.
      After the independence, an institutionalized Korean musicology has established by several individual scholars including Yi Hye-ku, Chang Sa-hun and former musicians of the Yi Wangjik Aakpu, a former court musicians of Joseon. Along with endeavors to establish the rightful history and theory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after 36 years of colonial period, the field of Korean musicology have developed during last 70 years. However, the aim and purpose of Korean Musicology remained narrow while its perspectives and methodologies were limited, mostly focus on music analysis which resembles the attitude and direction of colonial modernity. To overcome colonial modernity in current Korean musicology, this paper suggests that Korean music should be treated as a process not as a product. At the same time, scholarly perspective of Korean musicology should be broadened including examination of context and culture, away from a simple musical analysis and examination of historical documents and music books. By doing this, Korean musicology would achieve its contemporary meaning in a changing society in Korea and beyon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혜진, "함화진론-생애와 민속음악론을 중심으로" 28 : 299-320, 1996

      2 김수현, "함화진(咸和鎭)의 저술서 연구- 『朝鮮音樂通論』을 중심으로 -" 동양고전연구소 (30) : 447-481, 2014

      3 송방송, "한국음악학의 방향과 과제" 12 : 5-20, 1996

      4 임미선, "한국음악사 연구의 현황과 전망" 한국국악학회 43 : 249-307, 2008

      5 최유준, "한국음악과 아시아적 공감 - 탈민족주의 음악론과 ‘방법으로서의 아시아’" 한국음악학학회 19 (19): 7-36, 2011

      6 이경분, "한국근현대음악사를 보는 3가지 시선" 세계음악학회 (41) : 27-47, 2019

      7 김은영, "한국 전통음악의 근대적 전환: 기보와 매체를 중심으로" 민족음악학회 (36) : 111-138, 2008

      8 최 헌, "한국 민속음악의 연구사와 연구사적 당면과제" 6 : 137-153, 2015

      9 이경분, "프란츠 에케르트(Franz Eckert)는 <대한제국 애국가>의 작곡가인가? - <대한제국 애국가>에 대한 새로운 고찰" 역사문제연구소 (101) : 373-401, 2012

      10 정수진, "조선음악, 조선음악가의 困難 -梧堂 咸和鎭을 중심으로-" 한국민속학회 41 : 387-418, 2005

      1 송혜진, "함화진론-생애와 민속음악론을 중심으로" 28 : 299-320, 1996

      2 김수현, "함화진(咸和鎭)의 저술서 연구- 『朝鮮音樂通論』을 중심으로 -" 동양고전연구소 (30) : 447-481, 2014

      3 송방송, "한국음악학의 방향과 과제" 12 : 5-20, 1996

      4 임미선, "한국음악사 연구의 현황과 전망" 한국국악학회 43 : 249-307, 2008

      5 최유준, "한국음악과 아시아적 공감 - 탈민족주의 음악론과 ‘방법으로서의 아시아’" 한국음악학학회 19 (19): 7-36, 2011

      6 이경분, "한국근현대음악사를 보는 3가지 시선" 세계음악학회 (41) : 27-47, 2019

      7 김은영, "한국 전통음악의 근대적 전환: 기보와 매체를 중심으로" 민족음악학회 (36) : 111-138, 2008

      8 최 헌, "한국 민속음악의 연구사와 연구사적 당면과제" 6 : 137-153, 2015

      9 이경분, "프란츠 에케르트(Franz Eckert)는 <대한제국 애국가>의 작곡가인가? - <대한제국 애국가>에 대한 새로운 고찰" 역사문제연구소 (101) : 373-401, 2012

      10 정수진, "조선음악, 조선음악가의 困難 -梧堂 咸和鎭을 중심으로-" 한국민속학회 41 : 387-418, 2005

      11 김세중, "자폐의 언어로 쌓은 다수의 소수의 성—닫힌 한국음악학의 세계" 10 : 237-255, 2003

      12 김수현, "일제강점기 국악 관련 학술적 연구 경향 고찰 - 신문잡지 게재 글에 기하여 -" 한국음악사학회 (48) : 77-120, 2012

      13 김은영, "일반2: 청년 계정식의 근대적 욕망과 조선음악 연구: 계정식의 「한국음악(DIE KOREANISCHE MUSIK)」을 중심으로" 민족음악학회 (52) : 43-71, 2016

      14 김은영, "이화여전 글리클럽 연구: 1927-1935년의 활동을 중심으로" 음악연구소 23 (23): 107-135, 2019

      15 송혜진, "이왕직아악부와 음악인들" 국립국악원 137-147, 1991

      16 윤영해, "이상준과 근대 한국 음악학의 출발" 한국국악학회 63 : 269-290, 2018

      17 박미경, "음악학의 21세기 전개: 각성과 도전을 통한 혁신적 변화의 양상들" 세계음악학회 (40) : 5-59, 2019

      18 송방송, "음악연구 어떻게 하는 것인가" 음악춘추사 2002

      19 노동은, "음악, 한반도에서 그 갈등의 언어성(I)" 5 : 5-22, 1990

      20 정수진, "원형론의 민속학적 전유-한국 민속학의 해체와 전망-" 비교민속학회 (42) : 271-305, 2010

      21 채현경, "우리 음악을 위한 새로운 음악학--Integrative Musicology" 세계음악학회 (1) : 13-29, 1999

      22 송화섭, "역사민속학 관점에서 본 한국민속연구의 나아갈 방향" 비교민속학회 (59) : 39-68, 2016

      23 남근우, "야나기타(柳田國男) 민속학과 식민주의-'조선민속학'에의 관여문제와 관련하여-" 역사문화학회 9 (9): 415-446, 2006

      24 조효임, "안드레 에카르트와 ‘코리아심포니’" (8) : 102-133, 1994

      25 노동은, "민족음악론" 한길사 1991

      26 이건용, "민족음악 양식론의 성격과 구조" 3 : 237-255, 1992

      27 정수진, "민속학적 원형론의 기초연구" 한국민속학회 47 : 135-166, 2008

      28 김희선, "문화냉전기 미국의 아시아음악연구와 1960년대 국악의 국제화" 음악연구소 23 (23): 121-164, 2019

      29 김희선, "문화냉전기 국가 프로파간다와 공연예술: 1960-70년대 리틀앤젤스 활동의 국제정치학" 세계음악학회 (40) : 143-183, 2019

      30 정수진, "무형문화재 제도의 성립,그 역사성의 재고" 한국민속학회 40 : 475-508, 2004

      31 권도희, "만당 이혜구와 운초 장사훈의 음악학 규정과 한국음악 연구" 동양음악연구소 46 : 9-47, 2019

      32 구인모, "다카하시 도루(高橋亨)와 조선민요의 발견 : 강의록과 논문을 중심으로" 국학연구원 (183) : 1-30, 2018

      33 임혜정, "다나베 히사오의 조선음악조사활동에 관한 재고" 175-198, 2019

      34 김수현, "다나베 히사오의 조선음악조사에 대한 비판적 검토" 22 : 115-146, 1999

      35 이혜구, "나의 음악연구생활 회고" 10 : 17-43, 1993

      36 윤영해, "근대기 민속악  악보화에 관한 재고" 한국국악학회 65 : 191-209, 2019

      37 김희선, "국악의 세계화 -2000년대 해외공연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공연문화학회 (27) : 357-400, 2013

      38 이수정, "국악을 논하는 잡지의 지면 연구 시론" 한국음악사학회 (60) : 97-134, 2018

      39 이혜구, "국악연구로 한 평생을" 28 : 7-13, 2000

      40 윤영해, "계정식 『한국음악』의 음악학적 의의 - 1930년대 독일 비교음악학계의 연구방법론을 중심으로-" 동양음악연구소 40 : 187-218, 2016

      41 우에무라 유키오, "가네쓰네 기요스케의 조선음악조사: 그 내용과 평가" 137-156, 2010

      42 야마모토 하나코, "平田辺尚雄の朝鮮伎楽調査がもたらしたもの" 일본학연구소 (14) : 27-50, 2009

      43 남근우, "‘민속’의 근대, 탈근대의 민속학" 한국민속학회 38 : 191-220, 2003

      44 신수정, "[조선민요합창곡집(朝鮮民謠合唱曲集)] 연구" 민족음악학회 (50) : 283-301, 2015

      45 박미경, "21세기 한국음악학: 지금 여기 우리를 다(하나로) 담아내는 그릇이어야" 세계음악학회 (41) : 5-26, 2019

      46 전지영, "1950-60년대 국악 대중화·현대화 담론 고찰" 한국음악사학회 (53) : 345-372, 2014

      47 이지선, "1930년대 일본인의 조선음악 연구 2" 한국국악교육학회 37 (37): 181-217, 2014

      48 이지선, "1920년대 일본인의 조선음악 연구 -다나베 히사오의 「조선음악고」를 중심으로-" 한국국악교육학회 35 (35): 87-109, 2013

      49 이지선, "1910년대 일본인의 조선음악 연구- 가네쓰네 기요스케(兼常淸佐)의 朝鮮の音樂을 중심으로 -" 한국음악사학회 (50) : 211-249,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1 0.21 0.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9 0.23 0.50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