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자본주의의 한계에 대한 대안으로 사회적 경제에 대한 관심이 크게 늘어나고 있고, 이에 맞춰 사회적 경제 조직의 양적인 성장도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사회적 경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848389
서울 :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학위논문(석사) --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 협동조합경영학과 , 2015. 8
2015
한국어
650 판사항(21)
서울
vii, 102 p. : 도표 ; 26 cm
지도교수: 박상선교수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자본주의의 한계에 대한 대안으로 사회적 경제에 대한 관심이 크게 늘어나고 있고, 이에 맞춰 사회적 경제 조직의 양적인 성장도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사회적 경제...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자본주의의 한계에 대한 대안으로 사회적 경제에 대한 관심이 크게 늘어나고 있고, 이에 맞춰 사회적 경제 조직의 양적인 성장도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사회적 경제에 대한 연구는 주로 사회학이나 경제학 분야에 치중되어 있고 경영학 관점의 연구는 초기 단계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경제 조직들을 대상으로 공급사슬협력의 단계를 협력적 문화와 공급사슬협력의 실행으로 구분하여 협력적 문화가 공급사슬협력의 실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공급사슬협력이 공급사슬성과에도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해보려고 한다.
사회적 경제조직 99개를 대상으로 실증한 결과, 상호성은 협업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지식교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는 지식교환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협업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소통은 지식교환과 협업 모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식교환과 협업이 재무적 성과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협업은 재무적 성과에만 정(+)의 영향을 미쳤을 뿐, 비재무적 성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부분적으로만 가설이 채택 된 이유는 설문에 응답한 사회적 경제 조직들 규모가 작거나 설립 된지 오래 되지 않은 조직들이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는 사회적 경제 조직들을 대상으로 공급사슬협력 단계를 구분하여 협력적 문화 요인이 공급사슬협력을 실행하는데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것들을 실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드물게 이루어지고 있는 공급사슬관점에서의 사회적 경제 조직에 대한 연구에 기여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society has recently witnessed a burgeoning interest in social-economy as a solution to help break out the limitations of capitalism, and as a result, social-economic organizations have continued on quantitative growth path. However, study that...
Korean society has recently witnessed a burgeoning interest in social-economy as a solution to help break out the limitations of capitalism, and as a result, social-economic organizations have continued on quantitative growth path. However, study that incorporates perspective of business administration has still remained at inchoate
stage while study related to social-economy is concentrated primarily in the field of sociology and economics. Thus,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termine the effect that cooperative culture would have on implementation of supply chain cooperation by dividing the phases of supply chain cooperation into cooperative culture and implementation of supply chain cooperation. In addition, we intended to validate the effect of supply chain cooperation on supply chain performance.
Based on empirical substantiation of 99 social-economic organizations, it turned out that mutu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collaboration, but did not have any effect on knowledge exchange. Trust had a positive effect on knowledge exchange, but did not have any influence on collaboration. Communica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both knowledge exchange and collaboration. Moreover, knowledge exchange and collabor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financial performance. However, collaboration had a positive impact only on financial performance and did not have any effect on non-financial performance. Hypotheses were selected only partially because social-economic organizations that provided answers in questionnaires were small-scale or established relatively recent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mpirically validated whether cooperative cultural factors would affect supply chain cooperation by differentiating phases of supply chain cooperation among social-economic organizations and contributed to research on social-economic organizations from the standpoint of supply chain that has been rarely attempted thus far.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