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한일양언어의 ‘조건표현+평가형식’에 의한 복합형식의 평가모달리티형식을 대상으로 하여서 그 구성요소의 형태적인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구성요소의 긍정과 부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한일양언어의 ‘조건표현+평가형식’에 의한 복합형식의 평가모달리티형식을 대상으로 하여서 그 구성요소의 형태적인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구성요소의 긍정과 부정...
본고에서는 한일양언어의 ‘조건표현+평가형식’에 의한 복합형식의 평가모달리티형식을 대상으로 하여서 그 구성요소의 형태적인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구성요소의 긍정과 부정의 조합에 의한 성립여부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한일양언어의 평가모달리티의 복합형식에 관여하는 ‘조건표현’은 형태면이나 의미면에 있어서 모두 ‘중립적인 순접조건’, ‘소극적인 순접조건’, ‘필수적인 순접조건’, 그리고 ‘역접조건’을 가지고 있으면서 대응하고 있으며, ‘평가형식’도 모두 ‘긍정평가’와 ‘부정평가’의 형식을 가지고 있으면서 대응하고 있다. ‘중립적인 순접조건’을 포함한 형식의 경우에 <긍정평가>와 <필요의무>에서는 한일양언어가 대응하나, <비허용(금지)>에서는 대응하지 않는다. ‘소극적인 순접조건’을 포함한 형식의 경우에 ‘긍정평가형식’이 후접할 때는 양언어 모두 성립하지 않고, <비허용(금지)>에서는 대응하나, <필요의무>에서는 대응하지 않는다. ‘필수적인 순접조건’을 포함한 형식의 경우에 ‘부정평가형식’이 후접할 때는 양언어 모두 성립하지 않고, ‘긍정평가형식’이 후접할 때는 한국어에서는 <필요의무>와 <비허용>이 성립하나, 일본어에서는 성립하지 않는다. ‘역접조건’을 포함한 형식의 경우에 ‘부정평가형식’이 후접할 때는 양언어 모두성립하지 않고, ‘긍정평가형식’이 후접할 때는 양언어 모두 <허용>과 <불필요>가 성립하고 대응한다. 이상과 같이 한일양언어의 복합적인 평가모달리형식을 대상으로 하여 ‘긍정’과‘부정’의 조합에 초점을 맞추어 그 대응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응양상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윤평현, "현대국어 접속어미 연구" 박이정 103-170, 2005
2 서정수, "한국어의 부사" 서울대학교 출판부 259-321, 2005
3 이희자, "한국어 학습 전문가용 어미·조사 사전" 한국문화사 1-1091, 2010
4 박재연, "한국어 양태 어미 연구" 태학사 1-101, 2006
5 구본관, "한국어 문법 총론Ⅰ-개관, 음운, 형태, 통사-" 집문당 160-204, 2015
6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7 장근수, "평가모달리티에 관한 일한대조연구" 한국일본학회 (79) : 101-112, 2009
8 이동혁, "의무 양태의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우리말학회 (51) : 137-159, 2017
9 국립국어원,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2-용법 편" 커뮤니케이션북스 1-906, 2005
10 小泉保, "譲歩文について" 日本言語学会 (91) : 1-14, 1987
1 윤평현, "현대국어 접속어미 연구" 박이정 103-170, 2005
2 서정수, "한국어의 부사" 서울대학교 출판부 259-321, 2005
3 이희자, "한국어 학습 전문가용 어미·조사 사전" 한국문화사 1-1091, 2010
4 박재연, "한국어 양태 어미 연구" 태학사 1-101, 2006
5 구본관, "한국어 문법 총론Ⅰ-개관, 음운, 형태, 통사-" 집문당 160-204, 2015
6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7 장근수, "평가모달리티에 관한 일한대조연구" 한국일본학회 (79) : 101-112, 2009
8 이동혁, "의무 양태의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우리말학회 (51) : 137-159, 2017
9 국립국어원,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2-용법 편" 커뮤니케이션북스 1-906, 2005
10 小泉保, "譲歩文について" 日本言語学会 (91) : 1-14, 1987
11 日本語記述文法研究会, "現代日本語文法6 第11部 複文" くろしお出版 93-164, 2008
12 金智賢, "現代日本語と韓国語における条件表現の対照研究" ひつじ書房 1-173, 2018
13 北原保雄, "明鏡国語辞典" 大修館書店 2010
14 前田直子, "日本語の複文 条件文と原因・理由文の記述的研究" くろしお出版 1-235, 2009
15 文彰鶴, "日本語と韓国語における評価のモダリティ形式の形態的な特徴" 49-53, 2021
16 坂原茂, "日常言語の推論" 東京大学出版会 1-168, 1985
17 グループ, "教師と学習者のための日本語文型辞典" くろしお出版 1-693, 1998
18 田中寛, "当為表現の構造と機能" 日本語教育学会 (9) : 95-115, 1985
19 井島正博, "当為表現の構造と機能" (9) : 133-173, 2013
20 松村明, "大辞林" 三省堂 2006
21 滝浦真理子, "事態の捉え方と述語のかたち-英語から見た日本語-" 開拓社 1-63, 2019
在日二世として済州4・3を書くということ - 金蒼生『風の声』を中心として -
柳田國男의 遠野物語에서 京極夏彦의 遠野物語 Remix로의 수용 양상 - ‘Remix’의 출판 상업주의에 대한 비판적 관점에서 -
배야서의 문학적 재평가 ―『기리시탄모노가타리(吉利支丹物語)』를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7 | 0.47 | 0.4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6 | 0.33 | 0.596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