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 민주당파의 정치적 성격과 역할 변화: 실체에서 그림자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654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논문은 중국 민주당파의 정치적 성격과 역할을 통시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민주당파는 신중국 성립 전후하여 ‘제3세력’, ‘중간세력’으로서 국공내전을 중재하였고, 내전 이후 공산당의 신중국 성립에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신중국 초기에는 공산당에 대한 감독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였으나 반우파투쟁과 문화대혁명을 거치며 조직이 와해된다. 민주당파는 개혁개방 이후 공산당의 지원으로 조직은 회복되었으나 과거의 정치적 성격과 역할에 큰 변화가 발생한다. 특히 1989년을 기점으로 민주당파의 정치적 성격은 공산당의 통치 정당성을 위한 그림자정당으로 변모하였고, 본래의 기능과 역할은 그 의미를 상실하였다. 시진핑 집권 이후에는 시진핑과 공산당의 권력 강화가 진행되면서 민주당파의 그림자적 성격은 더욱 고착화되고 있으며, 오히려 친공산당적인 성격이 강화되고 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중국 민주당파의 정치적 성격과 역할을 통시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민주당파는 신중국 성립 전후하여 ‘제3세력’, ‘중간세력’으로서 국공내전을 중재하였고, 내전...

      본 논문은 중국 민주당파의 정치적 성격과 역할을 통시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민주당파는 신중국 성립 전후하여 ‘제3세력’, ‘중간세력’으로서 국공내전을 중재하였고, 내전 이후 공산당의 신중국 성립에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신중국 초기에는 공산당에 대한 감독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였으나 반우파투쟁과 문화대혁명을 거치며 조직이 와해된다. 민주당파는 개혁개방 이후 공산당의 지원으로 조직은 회복되었으나 과거의 정치적 성격과 역할에 큰 변화가 발생한다. 특히 1989년을 기점으로 민주당파의 정치적 성격은 공산당의 통치 정당성을 위한 그림자정당으로 변모하였고, 본래의 기능과 역할은 그 의미를 상실하였다. 시진핑 집권 이후에는 시진핑과 공산당의 권력 강화가 진행되면서 민주당파의 그림자적 성격은 더욱 고착화되고 있으며, 오히려 친공산당적인 성격이 강화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is research investigates political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China’s democratic parties in chronological order.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democratic parties, being a third and intermediate party, arbitrated in the dispute between the Chinese Communist Party and the Nationalist Party during the Chinese Civil War. They once played a role of monitoring the Communist Party by utilizing the political capital attained from the arbitration, immediately after the foundin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Nevertheless, they soon began to be enervated since the onset of the Anti-Rightist Movement in the late 1950s, which finally resulted in their disbandment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Although the democratic parties were restored in 1979 with Deng Xiaoping’s reform policy, the restoration came with massive changes in their political characteristics and roles. Especially since 1989, they became shadow parties which help legitimate the Communist Party’s rule, losing their original roles and functions. After President Xi Jinping took power, their pro-Communist Party tendency has been further consolidated and strengthened.
      번역하기

      This research investigates political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China’s democratic parties in chronological order.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democratic parties, being a third and intermediate party, arbitrated in the disput...

      This research investigates political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China’s democratic parties in chronological order.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democratic parties, being a third and intermediate party, arbitrated in the dispute between the Chinese Communist Party and the Nationalist Party during the Chinese Civil War. They once played a role of monitoring the Communist Party by utilizing the political capital attained from the arbitration, immediately after the foundin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Nevertheless, they soon began to be enervated since the onset of the Anti-Rightist Movement in the late 1950s, which finally resulted in their disbandment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Although the democratic parties were restored in 1979 with Deng Xiaoping’s reform policy, the restoration came with massive changes in their political characteristics and roles. Especially since 1989, they became shadow parties which help legitimate the Communist Party’s rule, losing their original roles and functions. After President Xi Jinping took power, their pro-Communist Party tendency has been further consolidated and strengthen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I. 서론
      • II. 국가의 성립과 정치적 변동(1946~1977)
      • III. 개혁개방과 경제발전기(1978~2012)
      • IV. 시진핑의 집권과 신형정당제도(2013년 이후)
      • 국문초록
      • I. 서론
      • II. 국가의 성립과 정치적 변동(1946~1977)
      • III. 개혁개방과 경제발전기(1978~2012)
      • IV. 시진핑의 집권과 신형정당제도(2013년 이후)
      • V.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