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thesis is based on two points in Min-yisheng’s idea: 1, knowing, consciousness, and differentiation of mind, according to which 2, Zheng-jidou’s dividually observe to the same and different points of liangzhi and consciousness. Min-yisheng a...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220831
임홍태 (한림대학교 율곡학연구소)
2008
Korean
knowing ; consciousness ; liangzhi ; Min-yisheng(閔以升) ; Zheng-jidou(鄭齊斗) ; Jin-changxie(金昌協) ; 지(智) ; 지각(知覺) ; 양지(良知) ; 민이승 ; 정제두 ; 김창협 ; knowing ; consciousness ; liangzhi ; Min-yisheng(閔以升) ; Zheng-jidou(鄭齊斗) ; Jin-changxie(金昌協)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81-216(36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is based on two points in Min-yisheng’s idea: 1, knowing, consciousness, and differentiation of mind, according to which 2, Zheng-jidou’s dividually observe to the same and different points of liangzhi and consciousness. Min-yisheng a...
This thesis is based on two points in Min-yisheng’s idea: 1, knowing, consciousness, and differentiation of mind, according to which 2, Zheng-jidou’s dividually observe to the same and different points of liangzhi and consciousness.
Min-yisheng and the scholar on Yangming Theory named Zheng-jidou are arguing about the rights and wrongs of the Yangming Theory, the key concept of which is the same and different points of liangzhi and consciousness. At the extension of this argument, Min-yisheng also argues with Jin-chagnxie about the same and different points of knowing and consciousness.
When argue with Zheng-jidou about Yangming Theory, Min-yisheng disproves the saying of “mind is principle” and “syncretism of consciousness and behavior” as well as defines liangzhi, which is the key concept of Yangming Theory, as a consciousness different from the natural principle.
While disputing with Zheng-jidou about the relation between liangzhi and consciousness, Min-yisheng begins to pay attention to the relation between knowing and consciousness focused in the academy at that time. And as a result of that he also has a dispute with Jin-chagnxie about the same and different points of knowing and consciousness.
The dispute between Min-yisheng and Jin-chagnxie is actually about how to look at the relation of knowing and consciousness, from the point of “non-mixed” or the point of “inseparable”. Jin-chagnxie emphasizes on the un-mixed of knowing and consciousness while Min-yisheng, from the point of “inseparable”, sees the consistency of the two.
This thesis focuses on the argumentation of “the same and different points of liangzhi and consciousness” and “the same and different points of knowing and consciousness”, the difference of the two positions and the historical meaning of this argument in ideologies.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閔以升 사상 가운데 주로 1)지와 지각의 문제, 즉 心性의 구분에 관한 논의문제, 이와 관련하여 펼쳐진 2)정제두와의 양지·지각의 동이성 문제에 관한 논의 등으로 나누어 살펴...
이 글에서는 閔以升 사상 가운데 주로 1)지와 지각의 문제, 즉 心性의 구분에 관한 논의문제, 이와 관련하여 펼쳐진 2)정제두와의 양지·지각의 동이성 문제에 관한 논의 등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민이승은 양명학자 정제두와 양명학의 시비문제를 둘러싸고 논쟁을 전개하고 있는데, 그 내용은 양명학의 중심개념인 양지와 지각의 동이문제이다. 또한 민이승은 양지와 지각 논쟁의 연장선상에서 김창협과 智와 知覺의 동이문제를 둘러싸고 논쟁한다.
민이승은 정제두와의 양명학 논쟁에서 양명학의 ‘심즉리’설과 ‘지행합일’설에 대해 부정하고 있으며, 양명학의 중심개념인 양지는 천리와는 구분된 지각으로 파악하고 있다.
정제두와 양지와 지각의 관계에 대해 논쟁하고 있는 민이승은 당시 학계에서 진행되고 있었던 지와 지각의 관계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이 결과, 민이승은 김창협과 지와 지각의 동이문제에 대해 한차례 논쟁을 벌이게 된다.
민이승과 김창협 사이에 전개된 지와 지각의 관계에 대한 논의는 지와 지각의 관계를 不相雜의 측면에서 보느냐 아니면 不相離의 측면에서 보느냐 하는 차이점에 있다. 김창협은 지와 지각이 서로 섞일 수 없다는 불상잡의 입장을 강조하는 데 비해, 민이승은 지와 지각의 관계를 불상리의 입장에서 양자의 연관성에 주목하고 있다.
‘양지와 지각의 동이문제’, ‘지와 지각의 동이문제’라는 논쟁 주제를 중심으로 양자의 입장 차이를 살펴보고, 이러한 논쟁이 사상사적으로 어떠한 의의가 있는가 살펴보기로 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일범, "하곡 정제두의 이기론 연구(1)" 15 :
2 김태년, "지각, 조선유학의 개념들" 한국사상사연구회,예문서원 2002
3 "조선왕조실록. 숙종실록"
4 이천승, "농암 김창협의 심성론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 2003
5 조남호, "김창협학파의 양명학 비판: 지와 지각의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철학회 (39) : 1993
6 "국역 『하곡집』(전3卷), 민족문화추진회"
7 "국역 『농암집』(2,3卷), 민족문화추진회"
8 "寒水齋先 生文集, 農巖集, 霞谷集"
9 "大學章句大全, 朱熹集, 王陽明全集, 南溪先生朴文純公文正集"
1 최일범, "하곡 정제두의 이기론 연구(1)" 15 :
2 김태년, "지각, 조선유학의 개념들" 한국사상사연구회,예문서원 2002
3 "조선왕조실록. 숙종실록"
4 이천승, "농암 김창협의 심성론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 2003
5 조남호, "김창협학파의 양명학 비판: 지와 지각의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철학회 (39) : 1993
6 "국역 『하곡집』(전3卷), 민족문화추진회"
7 "국역 『농암집』(2,3卷), 민족문화추진회"
8 "寒水齋先 生文集, 農巖集, 霞谷集"
9 "大學章句大全, 朱熹集, 王陽明全集, 南溪先生朴文純公文正集"
정약용(丁若鏞) 『소학지언(小學枝言)』,『심경밀험(心經密驗)』에 관한 연구 -윤리적(倫理的) 실천론(實踐論)을 중심으로-
주자학의 사상적 분화와 전개양상에 관한 연구 -황간(黃간)과 원대(元代) 금화학파(金華學派)의 사상적 연관성을 중심으로-
동진남북조시기형신문제적초탐(東晉南北朝時期形神問題的初探)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6 | 0.46 | 0.5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7 | 0.46 | 1.189 | 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