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화학 II." 천재교육 2002
2 "화학 II." ^동아서적. 1995
3 "화학 II." 주 교학사. 2002
4 "화학 II." 중앙교육진흥연구소. 2002
5 "화학 II." . 도서출판 형설. 2002
6 "중학교 과학 3. 주" 도서출판 디딤돌. 2002
7 "중학교 과학 3." 주 교학사. 2002
8 "중학교 과학 3" 두산 2002
9 "중학교 과학 2." . 지학사. 1994
10 "중학교 과학" . 3. 주 교학사. 2002
1 "화학 II." 천재교육 2002
2 "화학 II." ^동아서적. 1995
3 "화학 II." 주 교학사. 2002
4 "화학 II." 중앙교육진흥연구소. 2002
5 "화학 II." . 도서출판 형설. 2002
6 "중학교 과학 3. 주" 도서출판 디딤돌. 2002
7 "중학교 과학 3." 주 교학사. 2002
8 "중학교 과학 3" 두산 2002
9 "중학교 과학 2." . 지학사. 1994
10 "중학교 과학" . 3. 주 교학사. 2002
11 "중학교 과학" 주 블랙박스. 2002
12 "일반화학교재연구회 역" . 자유아카데미. 2002b2001
13 "일반화학교재연구회 역" . 자유아카데미. Inc. 2002a2000
14 "5학년 학생들의 증발과 응결에 대한 선개념 유형과 경험 활동 학습을 통한 개념 변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4
15 ". 화학과 생물 교과서에 제시된 삼투 개념과 고등학교 과학 교사와 학생의 삼투 개념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2002
16 ". 화학 II." 대한교과서 2002
17 ". 화학 II." 형설출판사. 1995
18 ". 화학 II." 두산. 1995
19 ". 화학 II." 천재교육. 1995
20 ". 화학 II." 금성출판사. 1995
21 ". 화학 II." 박영사. 1995
22 ". 화학 II." 청문각. 1995
23 ". 화학 II." 주 지학사. 2002
24 ". 화학 II" . 청문각. 2002
25 ". 초등학생들의 증발과 응결에 대한 대안적 개념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1999
26 ". 초등학생들과 초등예비교사들이 관찰활동에서 생성한 과학적 의문의 유형." 24 (24): 1018-1027, 2004
27 ". 초등학교 학생들의 증발과 응결에 관한 개념 변화 유형 조사 연구. ." 서울교육대학교 2001
28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증발과 응결 현상에 대한 이해." 인천교육대학교 13 : 209-224, 2001
29 ". 증발과 증발 조건에 대한 유초중학교 아동의 개념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01
30 ". 증발과 응결에 대한 국민학생들의 개념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2
31 ". 증발과 응결에 대한 국민학생들의 개념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92-99, 1993
32 ". 증발과 응결에 대한 국민학교 학생들의 개념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2
33 ". 증발과 끓음에 대한 중학교 학생들의 개념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2003
34 ". 증발과 끓음에 대한 중등 교과서의 개념간 관련성 분석 및 과학교사들의 인식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2003
35 ". 중학교 과학 3." 금성출판사. 2002
36 ". 중학교 과학 3." 도서출판 대일도서. 2002
37 ". 중학교 과학 3." 동화사. 2002
38 ". 중학교 과학 3." 주 지학사. 2002
39 ". 일상적 상황에서 물의 상태 변화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유형 분석." 한양대학교 2000
40 ". 용해 현상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 유형 및 교사들의 지도 실태." 한국교원대학교 2001
41 ". 물의 상태 변화와 상태변화의 조건에 대한 유아초등, 중학교 학생들의 개념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2001
42 ". 물의 상태 변화에 대한 중 고등학생의 개념 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42, 1988
43 ". 물리 변화와 화학 변화의 구분" 27( (27(): 78-80, 2000
44 ". 국민학교 저학년 학생의 증발과 응결에 대한 선개념 조사 및 수업을 통한 개념 변화.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4
45 ". 과학 교과서 선정과 평가에 관련된 교사들의 인식조사와 과학 교과서 평가틀 개발에 관한 연구." 16 (16): 303-313, 1996
46 ". Teachers college student's conceptions about evaporationand boiling. condensation" 88 (88): 511-526, 1999
47 ". Teachers college student's conceptions about evaporation and boiling.condensation 에서 재인용" 83 (83): 511-526, 1999
48 ". States of children's view about evapor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57-174, 1994
49 ". SPACE 수업 전략이 국민학교 아동들의 증발과 응결 개념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2-284, 1994
50 ". Children's views concerning phase chang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3-382, 1991
51 ". Children's understanding of changes of state involving the gas state Evaporation and condensation below boiling point." 20 (20): 695-709, 1998b
52 ". Children's understanding of changes of state involving the gas state Boiling water and the particle theory." 20 (20): 567-583, 1998a
53 ". Children's conceptions of the changes of state of water.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825-838, 1983
54 ". Children's conception of ga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553-560, 1988
55 ". Children's conception of changes in the state of matter to ga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47-266, 1990
56 ". A study of cognitive development of the concepts of solution. Research report sponsored by National Science Council" 1990
57 ". A comparison of year 1 and year 6 student's conception of evaporation and condensation dimension of conceptual progression." , 22( (, 22(): 447-467, 2000
58 ". A comparison of year 1 and year 6 student's conception of evaporation and condensation dimension of conceptual progression" 22 (22): 447-467,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