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한국과 일본의 첫 데이트 장면에 나타난 화제전개 양상에 관해 대조 고찰하기 위해 연애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인 ‘하트시그널’과 ‘테라스하우스’를 연구자료로 활용하였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한국과 일본의 첫 데이트 장면에 나타난 화제전개 양상에 관해 대조 고찰하기 위해 연애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인 ‘하트시그널’과 ‘테라스하우스’를 연구자료로 활용하였다. ...
본고는 한국과 일본의 첫 데이트 장면에 나타난 화제전개 양상에 관해 대조 고찰하기 위해 연애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인 ‘하트시그널’과 ‘테라스하우스’를 연구자료로 활용하였다. 화제전개 양상은 ‘화자중심적 화제전개’ ‘청자중심적 화제전개’ ‘공통적 화제전개’ ‘기타 화제전개’인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한국의 경우 남녀 모두 ‘화자중심적 화제전개’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첫 데이트 상황에서 화자 자신의 의견이나 감정을 적극적으로 표출하며 대화를 진행해가는 경향이 나타났다. 일본의 경우 남성은 ‘청자중심적 화제전개’가, 여성은 ‘화자중심적 화제전개’가 가장 많이 나타났는데 청자에 관한 화제를 도입하는 것이 일본 여성 담화의 특징이라고 밝혀진 기존 연구와는 달리 첫 데이트 장면에서는 남성이 청자 중심의 화제를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공통적 화제전개’와 ‘기타 화제전개’는 남녀 모두 일본이 한국보다 더 높게 나타났는데 일본어 담화의 공화(共和)적 특징이 첫 데이트 장면의 화제제시 방식에 있어서도 드러났다고 할 수 있으며 함께 먹고 있는 음식이나 주변 환경, 공통된 일정이나 하우스 입주자들에 관한 이야기 등 무난한 공통 화제에 관해 대화를 전개해 나가는 경향이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ed to study the contrasting patterns of first-date communic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by analyzing the romance reality television programs “Heart Signal” and “Terrace House”. The pattern of communication can be categori...
The present study aimed to study the contrasting patterns of first-date communic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by analyzing the romance reality television programs “Heart Signal” and “Terrace House”. The pattern of communication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speaker-centered topic development,” “listener-centered topic development,” “common topic development,” and “miscellaneous topic development.“ The study found that both Korean men and women tend to favor “speaker-centered topic development.” On the first date, the speaker actively expresses his or her opinions and feelings to proceed through the conversa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Japanese television program, the men tend to demonstrate “listener-centered topic development” while women prefer “speaker-centered topic development.” This finding about the women preference is a sharp contrast to the previous studies which concluded that “listener-centered topic development” was the women’s choice. In addition, both men and women in Japan utilize “common topic development” and “miscellaneous topic development” more frequently to advance the conversation. Furthermore, traces of Japanese cooperative mentality also appear in their conversations. Typically, the Japanese men and women tend to talk about ordinary topics, such as schedules and personal stories which are common to all conversational participant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王迪, "한중일 직장 내 칭찬 및 칭찬 반응에 대한 비교연구 : TV드라마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2 이선옥, "한일 이성 간 첫 대면 대화의 화제에 관한 연구-화제제시방법 및 화제도입의 사회적요소를 중심으로-" 한국일어교육학회 (38) : 131-148, 2017
3 한기홍, "한국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에 대한 중국 시청자의 시청 태도 분석 - tvN <삼시세끼 어촌편 1>을 중심으로-"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71 : 21-32, 2020
4 이수미, "직장내 상하관계에서 나타나는 한・일 의뢰표현 대조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5 김지원, "애정표현행동 양상에 관한 한・일 대조연구─ 영상매체에 나타난 연인 간 담화를 중심으로 ─" 한국일본학회 (126) : 145-166, 2021
6 김환희,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의 서사전략과 환상적 사실성 - tvN <삼시세끼 정선편> 시즌1을 중심으로" 한국기호학회 50 : 79-108, 2017
7 世奈華子, "韓・日嫁姑間非言語コミュニケーションについての研究"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3
8 水谷信子, "金田ー春彦博士 古希記念論文集 第二巻 言語学編" 三省党 261-279, 1984
9 水谷信子, "金田ー春彦博士 古希記念論文集 第二巻 言語学編" 三省党 261-279, 1984
10 오현영, "話題導入と展開における自己開示" 일본어문학회 (86) : 89-114, 2019
1 王迪, "한중일 직장 내 칭찬 및 칭찬 반응에 대한 비교연구 : TV드라마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2 이선옥, "한일 이성 간 첫 대면 대화의 화제에 관한 연구-화제제시방법 및 화제도입의 사회적요소를 중심으로-" 한국일어교육학회 (38) : 131-148, 2017
3 한기홍, "한국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에 대한 중국 시청자의 시청 태도 분석 - tvN <삼시세끼 어촌편 1>을 중심으로-"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71 : 21-32, 2020
4 이수미, "직장내 상하관계에서 나타나는 한・일 의뢰표현 대조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5 김지원, "애정표현행동 양상에 관한 한・일 대조연구─ 영상매체에 나타난 연인 간 담화를 중심으로 ─" 한국일본학회 (126) : 145-166, 2021
6 김환희,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의 서사전략과 환상적 사실성 - tvN <삼시세끼 정선편> 시즌1을 중심으로" 한국기호학회 50 : 79-108, 2017
7 世奈華子, "韓・日嫁姑間非言語コミュニケーションについての研究"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3
8 水谷信子, "金田ー春彦博士 古希記念論文集 第二巻 言語学編" 三省党 261-279, 1984
9 水谷信子, "金田ー春彦博士 古希記念論文集 第二巻 言語学編" 三省党 261-279, 1984
10 오현영, "話題導入と展開における自己開示" 일본어문학회 (86) : 89-114, 2019
11 中山晶子, "親しさ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 くろしお出版 2003
12 渡辺吉鎔, "朝鮮語のすすめ―日本語からの視点" 講談社 1-205, 1981
13 林河運, "日韓初対面会話の質問による話題導入の対照研究『ポライトネスの観点から』" 新潟大学大学院 現代社会文化研究科 41 : 149-166, 2008
14 원지은, "日韓の恋愛における告白の言語行動" 일본어문학회 (78) : 61-78, 2017
15 小林小夜子, "女子大学性の恋愛の進展による恋愛類型に関する日韓比較研究" 28-, 2011
16 宇佐美他, "基本的な文字化の原則(Basic Transcription System for Japanese: BTSJ)" 2019
17 宇佐美他, "初対面会話ニ者間の会話における話題導入と展開のプラクティス―対話相手との年齢差・性差に着目してー" 人工知能学会研究会思料 23-28, 2019
18 전종미, "初対面会話にみられる自己開示の日韓対照研究 -自発度による自己開示の出現を中心に-" 일본연구소 33 : 493-514, 2011
19 三牧陽子, "初対面会話における話題選択スキーマとストラテジー大学生会話の分析" 日本語教育学会 103 : 49-58, 1999
20 全鍾美, "初対面の相手に対する自己開示の日韓対照研究ー内容の分類から見る自己開始の特徴ー" 社会言語科学会 13 (13): 123-135, 2010
21 奥山洋子, "初対面のポライトネス・ストラテジーにおける韓日比較-大学生同士の会話資料をもとに" 중앙대학교 일본연구소 18 : 65-99, 2003
22 三牧陽子, "ポライトネスの談話分析" くろしお出版 1-32, 2013
23 山岡政紀, "コミュニケーションと配慮表現 日本語語用論入門" 明治書院 109-135, 2010
『古言梯』以降の古典仮名遣い系統の 仮名遣書における使用仮名字体について
MBTI性格類型別日本語学習運用に関する研究 ― JFL環境における社会人学習者を中心に ―
日本語と韓国語の認知的相違について― 「오르다(oreuda)」と「上がる」を中心に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4-3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Japanology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 | 0.5 | 0.4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34 | 0.725 | 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