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朝鮮 漢文 簡札의 言語 硏究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문은 중국의 문헌과 함께 우리나라에 유입되었으며, 마침내는 글말로 정착되어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한국한문의 기본 통사 모델은 중국 古文이며, 아울러 고대 한국의 文人들은 높은 수준의 철학적, 문화적 소양이 있었으므로 고대 한국의 漢文文獻은 기본적으로 중국 고문과 동일한 정도의 한문구사력을 보여주고 있었다. 그런데 당시 문인들은 입말은 한국어로 하면서 漢文은 글말로 사용하는 이중언어 생활을 하고 있었으므로 한국어는 여러 가지 요인 및 방법으로 글말인 한문에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이 점에서 한국한문은 漢語의 지역적ㆍ시대적ㆍ민족적 變體 중의 하나라고 볼 수 있으며, 한국한문에 나타나는 언어현상의 특징을 분류하고 해석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朝鮮 漢文 簡札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한국한문의 언어특징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한문 간찰을 주요 연구 대상으로 삼는 의미는 세 가지 측면에서 언급할 수 있다. 첫째는 한국어 영향의 정도성, 즉 한국한문의 전형성에 관한 문제이다. 사적인 대화로 진행되는 간찰은 압축된 한문 본래의 규칙 위에 입말인 한국어의 특성이 더해진 모습이어서 한국한문의 전형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둘째로 간찰은 어료의 총량이 매우 많을 뿐만 아니라 수정․가공되지 않은 원본의 수량이 매우 많아 語料의 현실 대표성 면에서도 큰 강점이 있다. 세째는, 여타 문헌에 비하여 간찰은 아직 연구가 부족하고 어려운 분야로서 적극적인 연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크게 향후 연구를 위한 기본 자료를 만드는 토대연구에 해당하는 기초작업과 주제별 고찰이라는 창의연구의 두 가지로 진행된다. 1년차에는 주로 기초작업에 중점을 두었는데, 공동연구원들 간에 구두, 문장 斷句, 용어․개념의 통합 등을 위하여 본 연구팀에서는 정례적인 윤독모임과 학술발표회를 개최하여 토대작업과 주제연구를 함께 진행하였다. 2차년도에서는 이러한 기초 작업을 바탕으로 심화연구를 진행한 것이다. 심화연구는 크게 보면 1차년도에 진행하던 한국 한문의 언어특징에 대한 각 주제에 대해 새로운 자료와 가설을 추가하는 주제 연구와 텍스트인 간찰 자체에 대한 독해ㆍ주석ㆍ연구노트 등의 두 가지 방향으로 구성된다.
      2년에 걸친 연구의 자료들로부터 볼 때, 한국의 한문 간찰은 중국의 한문과 확실히 구분되는 언어적 특징이 있을 뿐 아니라, 한국 한문에서도 간찰의 언어와 문집의 언어는 어느 정도 구별되는 상황이 존재한다. 이러한 특징은 크게 보면 특정 어휘나 통사 형식을 고려ㆍ조선에서 재해석하여 새로운 용법을 부여한 것이 있고, 또 한편으로는 중국 고문에서는 극히 드물게 사용되던 용법을 한국 한문에서 상용하는 두 가지 양식이 존재한다. 아
      번역하기

      한문은 중국의 문헌과 함께 우리나라에 유입되었으며, 마침내는 글말로 정착되어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한국한문의 기본 통사 모델은 중국 古文이며, 아울러 고대 한국의 文人들은 높은 수...

      한문은 중국의 문헌과 함께 우리나라에 유입되었으며, 마침내는 글말로 정착되어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한국한문의 기본 통사 모델은 중국 古文이며, 아울러 고대 한국의 文人들은 높은 수준의 철학적, 문화적 소양이 있었으므로 고대 한국의 漢文文獻은 기본적으로 중국 고문과 동일한 정도의 한문구사력을 보여주고 있었다. 그런데 당시 문인들은 입말은 한국어로 하면서 漢文은 글말로 사용하는 이중언어 생활을 하고 있었으므로 한국어는 여러 가지 요인 및 방법으로 글말인 한문에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이 점에서 한국한문은 漢語의 지역적ㆍ시대적ㆍ민족적 變體 중의 하나라고 볼 수 있으며, 한국한문에 나타나는 언어현상의 특징을 분류하고 해석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朝鮮 漢文 簡札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한국한문의 언어특징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한문 간찰을 주요 연구 대상으로 삼는 의미는 세 가지 측면에서 언급할 수 있다. 첫째는 한국어 영향의 정도성, 즉 한국한문의 전형성에 관한 문제이다. 사적인 대화로 진행되는 간찰은 압축된 한문 본래의 규칙 위에 입말인 한국어의 특성이 더해진 모습이어서 한국한문의 전형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둘째로 간찰은 어료의 총량이 매우 많을 뿐만 아니라 수정․가공되지 않은 원본의 수량이 매우 많아 語料의 현실 대표성 면에서도 큰 강점이 있다. 세째는, 여타 문헌에 비하여 간찰은 아직 연구가 부족하고 어려운 분야로서 적극적인 연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크게 향후 연구를 위한 기본 자료를 만드는 토대연구에 해당하는 기초작업과 주제별 고찰이라는 창의연구의 두 가지로 진행된다. 1년차에는 주로 기초작업에 중점을 두었는데, 공동연구원들 간에 구두, 문장 斷句, 용어․개념의 통합 등을 위하여 본 연구팀에서는 정례적인 윤독모임과 학술발표회를 개최하여 토대작업과 주제연구를 함께 진행하였다. 2차년도에서는 이러한 기초 작업을 바탕으로 심화연구를 진행한 것이다. 심화연구는 크게 보면 1차년도에 진행하던 한국 한문의 언어특징에 대한 각 주제에 대해 새로운 자료와 가설을 추가하는 주제 연구와 텍스트인 간찰 자체에 대한 독해ㆍ주석ㆍ연구노트 등의 두 가지 방향으로 구성된다.
      2년에 걸친 연구의 자료들로부터 볼 때, 한국의 한문 간찰은 중국의 한문과 확실히 구분되는 언어적 특징이 있을 뿐 아니라, 한국 한문에서도 간찰의 언어와 문집의 언어는 어느 정도 구별되는 상황이 존재한다. 이러한 특징은 크게 보면 특정 어휘나 통사 형식을 고려ㆍ조선에서 재해석하여 새로운 용법을 부여한 것이 있고, 또 한편으로는 중국 고문에서는 극히 드물게 사용되던 용법을 한국 한문에서 상용하는 두 가지 양식이 존재한다. 아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lassical Chinese had been introduced into Korea with the literature of China, finally it was settled wording systemea, and had used for a long time in Korea. This kind of Classical Chinese that was commonly used in Korea is called "Korean Classical Chinese". The basic syntactic model of Korean Classical Chinese was Classical Chinese, and since intellectuals of ancient Korea had a high level of philosophical and cultural literacy, their Korean Classical Chinese was basically show the same degree of Chinese level. But at that time, while Korean intellectuals used Korean in colloquial language, just used it in wording, their Korean Classical Chinese was influenced from their mother tongue. So we can say that Korean Classical Chinese is one of Classical Chinese's linguistic variant, and we need research on the language features in Korean Classical Chinese.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on letters by Korean Classical Chinese may be referred to in three aspects. First, the letters were containing the personal details, written in haste, so there was a possibility that received a lot of influence from their mother tongue - Korean. Second, the amount of left over letters are very rich, moreover in many cases they are left unworked raw texts. Third, the study of the letter is lacking comp
      번역하기

      Classical Chinese had been introduced into Korea with the literature of China, finally it was settled wording systemea, and had used for a long time in Korea. This kind of Classical Chinese that was commonly used in Korea is called "Korean Classical C...

      Classical Chinese had been introduced into Korea with the literature of China, finally it was settled wording systemea, and had used for a long time in Korea. This kind of Classical Chinese that was commonly used in Korea is called "Korean Classical Chinese". The basic syntactic model of Korean Classical Chinese was Classical Chinese, and since intellectuals of ancient Korea had a high level of philosophical and cultural literacy, their Korean Classical Chinese was basically show the same degree of Chinese level. But at that time, while Korean intellectuals used Korean in colloquial language, just used it in wording, their Korean Classical Chinese was influenced from their mother tongue. So we can say that Korean Classical Chinese is one of Classical Chinese's linguistic variant, and we need research on the language features in Korean Classical Chinese.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on letters by Korean Classical Chinese may be referred to in three aspects. First, the letters were containing the personal details, written in haste, so there was a possibility that received a lot of influence from their mother tongue - Korean. Second, the amount of left over letters are very rich, moreover in many cases they are left unworked raw texts. Third, the study of the letter is lacking comp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