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벼 유기농업 실천농가의 가장 큰 애로사항은 알려져 있는 병해충의 제어기술을 정립하기 위하여 강화 등 5개 지역의 벼 유기농재배지와 관행재배지에서 해충의 발생 실태와 방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425799
2005
-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301-314(14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 벼 유기농업 실천농가의 가장 큰 애로사항은 알려져 있는 병해충의 제어기술을 정립하기 위하여 강화 등 5개 지역의 벼 유기농재배지와 관행재배지에서 해충의 발생 실태와 방제...
우리나라 벼 유기농업 실천농가의 가장 큰 애로사항은 알려져 있는 병해충의 제어기술을 정립하기 위하여 강화 등 5개 지역의 벼 유기농재배지와 관행재배지에서 해충의 발생 실태와 방제실태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벼 생육시기별 해충발생은 강화지역의 오리농법과 쌀겨농법 재배지에서 본답 중기에 애멸구의 밀도가 높았으며 여주지역의 관행재배지에서 본답초기에 벼물바구미의 밀도가 높았다. 홍성지역에서는 본답초기에 관행방제구에 비하여 유기재배지에서 끝동매미충과 벼물바구미의 밀도가 높았다. 시기별 해충발생은 본답후기에 많았으며 지역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유기재배지에서 많은 경향이었다.
2. 홍성지역에서는 오리투입시기에는 발생이 적었으나 본답초기 및 후기에 발생이 많았다. 천적류도 본답후기에 발생이 많았고 지역별로 큰 차이는 없었으며 거미류와 기생봉류가 주류를 이루었다. 홍성지역에서는 유기재배지보다 관행재배지에서 꼬마거미와 접시거미의 발생이 많았다. 논거미의 분포는 대부분 조망성 거미인 꼬마거미과, 접시거미과, 갈거미과 등이 배회성 거미인 늑대거미, 염낭거미, 닷거미 등 보다 다양한 지역에서 발생하였으며, 거미의 발생량은 지역간의 차이가 심하였고 농법간의 차이는 일관성이 없었다.
3. 일부 자재의 경우 방제효과가 높이 나타났으나, 유기농 자재에 대한 효과는 보다 과학적인 검증이 필요한 상태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sect pests were surveyed in 5 Rice paddy field areas of Organic paddy field and conventional paddy field. At the each rice-growth period, the occurrence rate of ‘Small brawn plant hopper was high at the case of duck raising and rice bran farming o...
Insect pests were surveyed in 5 Rice paddy field areas of Organic paddy field and conventional paddy field. At the each rice-growth period, the occurrence rate of ‘Small brawn plant hopper was high at the case of duck raising and rice bran farming on middle stage of rice paddy field in Gang-Hwa region. The occurrence rate of Rice water weevil was high at the conventional paddy field on the early stage of rice paddy field in Yeo-Ju region. In the Hong-Seong region, the occurrence rate of ‘Rice water weevil’ and ‘Green rice leafhopper’ was high at the ‘duck raising compare to the conventional farming on the early stage of rice paddy field. According to each period, the occurrence rate of insect was high at late stage of rice paddy field,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each region. It showed high-occurrence tendency at duck pasture farming rice paddy field. The major natural enemies were spiders and parasites. Theridiidae and Linyphiidae were highly occurred on the conventional farming rice paddy field in Hong-Seong. Web builders containing Theridiidae, Linyphiidae and Tetragnathidae was occurred more than wandering spiders containing Lycosidae, Clubionidae and Pisauridae at various regions, and then occurrence of spiders was different at the various regions but was not different at each farming system.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산 논거미의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78
2 "유기농사물의 생산 및 소비실태와 유통계열화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1993
3 "우렁이의 섭식 생태 및 논 잡초 방제효과에 관한 연구" 7 (7): 169-178, 1999
4 "우렁이 방사에 의한 논잡초 방제효과" 83-90, 1998
5 "벼 재배답에서 몇 가지 어종의 양어에 관한 연구" 59-64, 1990
6 "벼 재배 시 유기농업 활용자재의 특성 및 효과" 17 : 319-323, 1998
7 "벼 재배 논 미꾸리 양어에 관한 연구" 51-56, 1991
8 "벼 자연의 실제" 도서출판 서원 1994
9 "벼 논 오리 사육방법에 따른 벼 생육 및 수량 반응" 339-347, 1994
10 "벼 논 오리 방사가 쌀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경향" 40 : 467-541, 1995
1 "한국산 논거미의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78
2 "유기농사물의 생산 및 소비실태와 유통계열화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1993
3 "우렁이의 섭식 생태 및 논 잡초 방제효과에 관한 연구" 7 (7): 169-178, 1999
4 "우렁이 방사에 의한 논잡초 방제효과" 83-90, 1998
5 "벼 재배답에서 몇 가지 어종의 양어에 관한 연구" 59-64, 1990
6 "벼 재배 시 유기농업 활용자재의 특성 및 효과" 17 : 319-323, 1998
7 "벼 재배 논 미꾸리 양어에 관한 연구" 51-56, 1991
8 "벼 자연의 실제" 도서출판 서원 1994
9 "벼 논 오리 사육방법에 따른 벼 생육 및 수량 반응" 339-347, 1994
10 "벼 논 오리 방사가 쌀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경향" 40 : 467-541, 1995
11 "The effects of high environmental temperature on feed passage time and performance traits of white pekin ducks" 2322-2330, 1980
12 "Rice-fish farming system and future prospect in Korea Second Asian Regional Workshop on Rice-fish Research and Development" 1989
13 "Prodution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the duck" 2456-2464, 1982
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NIRS)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퇴비 분석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2 | 0.42 | 0.4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1 | 0.45 | 0.61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