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海東異蹟》의 神話, 道敎的 想像力 = The Mythic and Daoist Imagination of Haedongyijeok (海東異蹟)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7913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本文從內丹修鍊ㆍ術士和異人及神人三個角度考察了韓國仙話的內容ㆍ意義及特徵等。韓國仙話在內容ㆍ主題ㆍ敍事風格等方面,深受中國古代的《列仙傳》ㆍ《神仙傳》等具有代表性的神仙傳記集的影響,這點是應該被肯定的。儘管有這些共同點,韓國仙話也有自己固有的特點。正是這些特點體現了韓國仙話的固有性。韓國仙話的特點有以下幾點。第一,不排斥儒敎ㆍ佛敎,三敎合一的共存精神。鄭磏便是最具代表性的例子。他强調說,要學習理學的基本書籍如《近思錄》和《小學》,平時要多與佛僧交往,在山寺中進行修鍊。由此可見,他對佛敎ㆍ儒敎採取了一種包容的態度,這與崔致遠〈鸞郞碑序〉中“包含三敎”的風流道的宗旨是一樣的。這種態度源自韓國固有仙家所具有的圓融會通的精神。第二,神仙傳記集廣範地收錄了與道敎幷無關聯,但某項技藝出衆的匠人,或是神話ㆍ傳說ㆍ民間裏各種階層的人物。這雖與上文中提到的三敎合一的精神相關,但這是韓國道敎的土着性相關的現象,因此,不同階層正是對多樣性背後固有的韓國現實的反映。第三,比較奇特的是,韓國仙話中有很多關于壬辰倭亂ㆍ丙子胡亂等大戰亂的故事,比如說豫言ㆍ異蹟等。這些故事有可能是對前所未有的大動亂所帶來的精神外傷的一種治癒,也有可能是期待救世眞人出現的,有關千年王國說的心理表現,也有可能是爲了向世俗證明超歷史存在的優越性。這三點雖然不足以代表韓國仙話的特徵,但這是從數量尨大的專門神仙傳記集《海東異蹟補》中槪括出來的特徵,也是不容被忽視的。
      번역하기

      本文從內丹修鍊ㆍ術士和異人及神人三個角度考察了韓國仙話的內容ㆍ意義及特徵等。韓國仙話在內容ㆍ主題ㆍ敍事風格等方面,深受中國古代的《列仙傳》ㆍ《神仙傳》等具有代表性的神仙...

      本文從內丹修鍊ㆍ術士和異人及神人三個角度考察了韓國仙話的內容ㆍ意義及特徵等。韓國仙話在內容ㆍ主題ㆍ敍事風格等方面,深受中國古代的《列仙傳》ㆍ《神仙傳》等具有代表性的神仙傳記集的影響,這點是應該被肯定的。儘管有這些共同點,韓國仙話也有自己固有的特點。正是這些特點體現了韓國仙話的固有性。韓國仙話的特點有以下幾點。第一,不排斥儒敎ㆍ佛敎,三敎合一的共存精神。鄭磏便是最具代表性的例子。他强調說,要學習理學的基本書籍如《近思錄》和《小學》,平時要多與佛僧交往,在山寺中進行修鍊。由此可見,他對佛敎ㆍ儒敎採取了一種包容的態度,這與崔致遠〈鸞郞碑序〉中“包含三敎”的風流道的宗旨是一樣的。這種態度源自韓國固有仙家所具有的圓融會通的精神。第二,神仙傳記集廣範地收錄了與道敎幷無關聯,但某項技藝出衆的匠人,或是神話ㆍ傳說ㆍ民間裏各種階層的人物。這雖與上文中提到的三敎合一的精神相關,但這是韓國道敎的土着性相關的現象,因此,不同階層正是對多樣性背後固有的韓國現實的反映。第三,比較奇特的是,韓國仙話中有很多關于壬辰倭亂ㆍ丙子胡亂等大戰亂的故事,比如說豫言ㆍ異蹟等。這些故事有可能是對前所未有的大動亂所帶來的精神外傷的一種治癒,也有可能是期待救世眞人出現的,有關千年王國說的心理表現,也有可能是爲了向世俗證明超歷史存在的優越性。這三點雖然不足以代表韓國仙話的特徵,但這是從數量尨大的專門神仙傳記集《海東異蹟補》中槪括出來的特徵,也是不容被忽視的。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序說
      • 2. 內丹 修鍊家 - 체내 불사약의 합성자
      • 3. 術士 및 異人 - 초자연적 능력의 화신
      • 4. 神人 - 신성한 존재자
      • 5. 맺는 말 - 한국 신선설화의 고유성
      • 1. 序說
      • 2. 內丹 修鍊家 - 체내 불사약의 합성자
      • 3. 術士 및 異人 - 초자연적 능력의 화신
      • 4. 神人 - 신성한 존재자
      • 5. 맺는 말 - 한국 신선설화의 고유성
      • 〈參考文獻〉
      • 〈中文提要〉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李復言, "洞神八帝元變經"

      2 劉向, "列仙傳"

      3 최삼룡, "한국문학과 도교사상" 새문사 1990

      4 정재서, "한국도교의 기원과 역사" 이화여대 출판부 2006

      5 박창범, "하늘에 새긴 우리 역사" 김영사 2002

      6 김낙필, "조선시대의 내단사상" 한길사 2000

      7 한국고전문학회, "국문학과 도교" 태학사 1998

      8 정선경, "韓中 神仙說話의 探索 ― 時間과 空間에 주목하여" 중국어문학연구회 (40) : 365-392, 2006

      9 李復言, "續玄怪錄"

      10 葛洪, "神仙傳"

      1 李復言, "洞神八帝元變經"

      2 劉向, "列仙傳"

      3 최삼룡, "한국문학과 도교사상" 새문사 1990

      4 정재서, "한국도교의 기원과 역사" 이화여대 출판부 2006

      5 박창범, "하늘에 새긴 우리 역사" 김영사 2002

      6 김낙필, "조선시대의 내단사상" 한길사 2000

      7 한국고전문학회, "국문학과 도교" 태학사 1998

      8 정선경, "韓中 神仙說話의 探索 ― 時間과 空間에 주목하여" 중국어문학연구회 (40) : 365-392, 2006

      9 李復言, "續玄怪錄"

      10 葛洪, "神仙傳"

      11 鄭樂勳, "溫城世稿"

      12 崔致遠, "桂苑筆耕集"

      13 李能和, "朝鮮道敎史" 보성문화사 1977

      14 柳夢寅, "於于野談"

      15 劉義慶, "幽明錄"

      16 洪萬宗, "增補 海東異蹟" 경인문화사 2011

      17 司馬遷, "史記"

      18 鄭宣景, "中韓 神仙故事의 時間性 比較考察 -『太平廣記』와 『海東異蹟』을 중심으로" 중국어문학연구회 23 : 363-388, 2003

      19 정재서, "不死의 신화와 사상" 민음사 1994

      20 金富軾, "三國史記"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2차)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 0.4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2 0.29 0.686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