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별 건강불평등과 정책지원 = Regional health inequality and policy support: Focusing on Policy Demand Affecting Designation of Medically Vulnerable Area Support Program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regional policy demand characteristics affect the support program for medically vulnerable. In consideration of the policy reality in which the local governments do not have a single hospital bed available for childbirth,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support project for areas with poor medical care. As for policy demand, an independent variable, the size of childbirth beds as an infrastructure environment, the female population as an availability factor, and the maternal mortality ratio as a policy necessity were considered. The unit of analysis is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analysis period was from 2019 to 2021, and a pane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in consideration of the policy time lag. As a result, only the infrastructure fact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us, a support program that systematically reflects the regional policy demand is needed, and discussions on linkage and cooperation with other polic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medical personnel and servic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regional policy demand characteristics affect the support program for medically vulnerable. In consideration of the policy reality in which the local governments do not have a single hospital bed av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regional policy demand characteristics affect the support program for medically vulnerable. In consideration of the policy reality in which the local governments do not have a single hospital bed available for childbirth,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support project for areas with poor medical care. As for policy demand, an independent variable, the size of childbirth beds as an infrastructure environment, the female population as an availability factor, and the maternal mortality ratio as a policy necessity were considered. The unit of analysis is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analysis period was from 2019 to 2021, and a pane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in consideration of the policy time lag. As a result, only the infrastructure facto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us, a support program that systematically reflects the regional policy demand is needed, and discussions on linkage and cooperation with other polic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medical personnel and servic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의 정책 수요 특성이 의료취약지 지원 사업 지정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특히 분만가능한 병상이 하나도 없는 기초 자치단체가 다수인 정책 현실을 고려하여 의료취약지 지원 사업 중 분만의료 취약지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실증분석을 이행하였다. 독립변수인 정책 수요 는 인프라 환경으로 분만 병상 규모, 이용 가능성 요인으로 가임여성 인구, 그 리고 정책의 필요도로 모성사망 비중을 고려하였다. 분석대상은 기초자치단 체(시․군․구)이며, 분석기간은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최근 3개년으로 정책 시차를 1년 고려한 패널로짓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인프라 요인만 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의 정책적 수요를 체계적으로 반 영하는 취약지 지원사업이 필요하며 의료 인력 및 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해 추진되는 관련 정책과의 연계 및 협력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의 정책 수요 특성이 의료취약지 지원 사업 지정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특히 분만가능한 병상이 하나도 없는 기초 자치단체가 다수인 정책 현실을 고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의 정책 수요 특성이 의료취약지 지원 사업 지정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특히 분만가능한 병상이 하나도 없는 기초 자치단체가 다수인 정책 현실을 고려하여 의료취약지 지원 사업 중 분만의료 취약지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실증분석을 이행하였다. 독립변수인 정책 수요 는 인프라 환경으로 분만 병상 규모, 이용 가능성 요인으로 가임여성 인구, 그 리고 정책의 필요도로 모성사망 비중을 고려하였다. 분석대상은 기초자치단 체(시․군․구)이며, 분석기간은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최근 3개년으로 정책 시차를 1년 고려한 패널로짓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인프라 요인만 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의 정책적 수요를 체계적으로 반 영하는 취약지 지원사업이 필요하며 의료 인력 및 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해 추진되는 관련 정책과의 연계 및 협력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검토
      • Ⅲ. 건강불평등 완화를 위한 정책
      • Ⅳ. 취약지 지원 사업 영향요인 분석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검토
      • Ⅲ. 건강불평등 완화를 위한 정책
      • Ⅳ. 취약지 지원 사업 영향요인 분석
      • Ⅴ. 결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