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제강점기 노사학맥 부해 안병택 서당의 교육과 그 의미 ― 『근재북학일기(謹齋北學日記)』를 중심으로 = The Seodang(learning school) of Boohae Ahn Byung-taek during the Japanese Rule: Its Education Styles and Meanings with a Focus of Kunjae`s Journal of Learning the North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謹齋北學日記』를 중심으로 부해서당의 교육과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근재북학일기』는 근대 제주지식인 근재 김균배가 1년 6개월에 걸쳐 부해서당에서 배웠던 것을 차근차근 기록한 학습일기이다. 부해서당의 주요 학습내용은 크게 노사학맥에 대한 인식과 시국에 따른 정신교육강화로 정리할 수 있었다. 부해 안병택은 자신이 배웠던 노사 기정진 선생의 모습을 학생들에게 전하면서, 노사학맥의 생각과 가치를 되돌아 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 하였다. 이는 부해서당이 단순한 내용을 전달하고 경제적 문제를 해결하는 곳이 아닌, 사상과 가치를 후세에 전하는 공간이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안병택은 당시 일제강점기라는 시국과 맞물려 학습자들에게 치열한 학습자세를 주문하였다. 이런 내용은 역사적 비유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표현하였다. 부해서당의 학습방법은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선배와 후배가 같이 수업하면서 토론하는 방식, 둘째, 실제생활에서 학습내용을 적용하는 방식, 셋째, 학습일기를 작성하고 일기를 통해 학습을 공유하는 방식이었다. 이런 학습방식을 통해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었음을 물론 학습자 간에 강한 유대감을 지닐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부해서당에는 전라도 지역은 물론 제주도 등지에서도 많은 지식인들이 찾아왔다. 이는 노사학맥을 중심으로 여러 지역문인들이 융합된 공간이었음을 뜻한다. 사람간의 교유뿐만이 아니라 학맥 간의 교유 역시 주목할 사항이었다. 부해서당은 화서학맥과 간재학맥의 사상이 오가는 허브의 역할을 하였다. 이들 학맥은 방식은 달랐지만 항일이라는 공통된 내면인식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학맥 간의 교류에 대해서는 앞으로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고, 이를 통해 부해서당의 위치가 보다 선명하게 드러날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번역하기

      본고는 『謹齋北學日記』를 중심으로 부해서당의 교육과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근재북학일기』는 근대 제주지식인 근재 김균배가 1년 6개월에 걸쳐 부해서당에서 배웠던 것을 차근차근 ...

      본고는 『謹齋北學日記』를 중심으로 부해서당의 교육과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근재북학일기』는 근대 제주지식인 근재 김균배가 1년 6개월에 걸쳐 부해서당에서 배웠던 것을 차근차근 기록한 학습일기이다. 부해서당의 주요 학습내용은 크게 노사학맥에 대한 인식과 시국에 따른 정신교육강화로 정리할 수 있었다. 부해 안병택은 자신이 배웠던 노사 기정진 선생의 모습을 학생들에게 전하면서, 노사학맥의 생각과 가치를 되돌아 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 하였다. 이는 부해서당이 단순한 내용을 전달하고 경제적 문제를 해결하는 곳이 아닌, 사상과 가치를 후세에 전하는 공간이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안병택은 당시 일제강점기라는 시국과 맞물려 학습자들에게 치열한 학습자세를 주문하였다. 이런 내용은 역사적 비유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표현하였다. 부해서당의 학습방법은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 선배와 후배가 같이 수업하면서 토론하는 방식, 둘째, 실제생활에서 학습내용을 적용하는 방식, 셋째, 학습일기를 작성하고 일기를 통해 학습을 공유하는 방식이었다. 이런 학습방식을 통해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었음을 물론 학습자 간에 강한 유대감을 지닐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부해서당에는 전라도 지역은 물론 제주도 등지에서도 많은 지식인들이 찾아왔다. 이는 노사학맥을 중심으로 여러 지역문인들이 융합된 공간이었음을 뜻한다. 사람간의 교유뿐만이 아니라 학맥 간의 교유 역시 주목할 사항이었다. 부해서당은 화서학맥과 간재학맥의 사상이 오가는 허브의 역할을 하였다. 이들 학맥은 방식은 달랐지만 항일이라는 공통된 내면인식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학맥 간의 교류에 대해서는 앞으로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고, 이를 통해 부해서당의 위치가 보다 선명하게 드러날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education styles of Seodang(a private school between the periods of Koryo and Chosun) established and taught by Boohae and its meanings drawing upon the text, Kunjae`s Journal of Learning the North(China). The text is the journal that records details of what Kunjae, the intellectual native to Jeju Island, learned from the Boohae`s school for one and a half years. The main contents of learning from the Boohae`s School concerns perceiving the scholarly linkage of Nosa network and strengthening the mental state facing the difficult political period of the Japanese Rule. Boohae Ahn Byung-taek passed down the impressions of Nosa Khi Jeong-jin from whom Boohae himself learned. This indicates that the Boohae School is the place where not only leanings were made but also scholarly thoughts and values were passed down to through generations. Also, Ahn Byung-taek asked the students to hold their mental state strong facing the difficult political situation caused by the Japanese Rule, which were expressed through historical metaphors for it. The learning methods of the Boo-hae`s school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senior and junior students in the school teach each other and discuss together. Secondly, what are learned in the school is aimed to be applied to everyday life. Thirdly, by drafting a diary of learning and by sharing the diary leaning contents and styles were able to be shared among the students in the school. Through these ways of learning not only the learning effects could be maximized but also the bonded feelings among the students could be maintained. The Boohae school was widely visited by intellectuals not only from Jeonra Province but also from many parts of Jeju Island. This indicates that the school functioned as a place where the local intellectuals of Jeju Island collected together. What draws our attention is that the school provides a venue where not only the exchanges of intellectuals but also that of different generations of the scholarly network of Nosa were made possible. The learning school of Boohae played a pivotal role as a hub in which the knowledge of the scholarly networks of Hwaseo and Khanjae was exchanged. The two networks were different in its main scholarly ideas but they shared in common the fighting spirit against the Japanese Rule. A further extensive study is necessary as to the exchanges between different scholarly networks through which the standpoints of the learning school of Boohae can be more clearly understood.
      번역하기

      This paper examines the education styles of Seodang(a private school between the periods of Koryo and Chosun) established and taught by Boohae and its meanings drawing upon the text, Kunjae`s Journal of Learning the North(China). The text is the journ...

      This paper examines the education styles of Seodang(a private school between the periods of Koryo and Chosun) established and taught by Boohae and its meanings drawing upon the text, Kunjae`s Journal of Learning the North(China). The text is the journal that records details of what Kunjae, the intellectual native to Jeju Island, learned from the Boohae`s school for one and a half years. The main contents of learning from the Boohae`s School concerns perceiving the scholarly linkage of Nosa network and strengthening the mental state facing the difficult political period of the Japanese Rule. Boohae Ahn Byung-taek passed down the impressions of Nosa Khi Jeong-jin from whom Boohae himself learned. This indicates that the Boohae School is the place where not only leanings were made but also scholarly thoughts and values were passed down to through generations. Also, Ahn Byung-taek asked the students to hold their mental state strong facing the difficult political situation caused by the Japanese Rule, which were expressed through historical metaphors for it. The learning methods of the Boo-hae`s school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senior and junior students in the school teach each other and discuss together. Secondly, what are learned in the school is aimed to be applied to everyday life. Thirdly, by drafting a diary of learning and by sharing the diary leaning contents and styles were able to be shared among the students in the school. Through these ways of learning not only the learning effects could be maximized but also the bonded feelings among the students could be maintained. The Boohae school was widely visited by intellectuals not only from Jeonra Province but also from many parts of Jeju Island. This indicates that the school functioned as a place where the local intellectuals of Jeju Island collected together. What draws our attention is that the school provides a venue where not only the exchanges of intellectuals but also that of different generations of the scholarly network of Nosa were made possible. The learning school of Boohae played a pivotal role as a hub in which the knowledge of the scholarly networks of Hwaseo and Khanjae was exchanged. The two networks were different in its main scholarly ideas but they shared in common the fighting spirit against the Japanese Rule. A further extensive study is necessary as to the exchanges between different scholarly networks through which the standpoints of the learning school of Boohae can be more clearly understoo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