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행급(張行?)의 사행기사(使行記事)로 본 발해(渤海)의 대당(對唐) 및 돌궐관계(突厥關係) = Balhae-Tang and Balhae-Turk Relations as Seen in the Document of the Envoy Jang hanggu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384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장행급의 사행기사를 통해 발해의 대당 및 돌궐관계의 일면을 살펴보았다. 먼저 돌궐관계 및 주변 나라의 대당 사행기사를 활용하여 장행급의 사행시기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장행급의 사행은 707년 초반에 이루어졌다고 판단 하였다. 그리고 기존연구에서는 당의 대발해사 파견배경으로 당 내부문제와 동북방정책을 들고 있다. 다만, 외교대상인 발해의 성장과 위상에 대해서는 충분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발해의 초기 성장과정을 검토해 본 결과, 내부역량을 기반으로 세력을 확장해가는 발해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발해의 성장이 장행급 사행의 배경 중 하나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발해는 당의 사신파견에 대한 대응으로 왕자인 대문예를 보내었다. 발해의 왕자가 숙위하며 당에 머물고 있었지만 710년 당 중종의 북벌에 발해는 참여하지 않았다. 이는 발해가 당과 돌궐 사이에서 중립외교를 취하였음을 보여준다.
      번역하기

      이 글에서는 장행급의 사행기사를 통해 발해의 대당 및 돌궐관계의 일면을 살펴보았다. 먼저 돌궐관계 및 주변 나라의 대당 사행기사를 활용하여 장행급의 사행시기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

      이 글에서는 장행급의 사행기사를 통해 발해의 대당 및 돌궐관계의 일면을 살펴보았다. 먼저 돌궐관계 및 주변 나라의 대당 사행기사를 활용하여 장행급의 사행시기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장행급의 사행은 707년 초반에 이루어졌다고 판단 하였다. 그리고 기존연구에서는 당의 대발해사 파견배경으로 당 내부문제와 동북방정책을 들고 있다. 다만, 외교대상인 발해의 성장과 위상에 대해서는 충분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발해의 초기 성장과정을 검토해 본 결과, 내부역량을 기반으로 세력을 확장해가는 발해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발해의 성장이 장행급 사행의 배경 중 하나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발해는 당의 사신파견에 대한 대응으로 왕자인 대문예를 보내었다. 발해의 왕자가 숙위하며 당에 머물고 있었지만 710년 당 중종의 북벌에 발해는 참여하지 않았다. 이는 발해가 당과 돌궐 사이에서 중립외교를 취하였음을 보여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one aspect of Balhae(渤海)-Tang(唐) and Balhae-Turk(突厥) relations through the document that Tang sent through Jang Hang gup(張行?) to Balhae. First, I checked when Tang had sent Jang hanggup to Balhae and made use of the documents of neighboring countries and Tang-Turk relations. Therefore, I determined that Tang sent Jang Hang gup to Balhae in early 707. Previous studies regarded Tang`s internal problems and Tang`s northeast policy as the background of the dispatch of the Tang envoy to Balhae. However, little attention was paid to Balhae`s internal growth and phase. As a result of my examination, Balhae was expanding based on interior capacity and growth. This must be one of the background reasons for the dispatch of the Tang envoy to Balhae. Balhae sent prince to Tang in response to the dispatch of the Tang envoy. Although prince was staying in Tang, Balhae didn`t participate in Tang Chungchong(中宗)`s northern expedition to conquer the Turks. This fact shows that Balhae was on the neutral ground between Tang and the Turks.
      번역하기

      This paper examines one aspect of Balhae(渤海)-Tang(唐) and Balhae-Turk(突厥) relations through the document that Tang sent through Jang Hang gup(張行?) to Balhae. First, I checked when Tang had sent Jang hanggup to Balhae and made use of the d...

      This paper examines one aspect of Balhae(渤海)-Tang(唐) and Balhae-Turk(突厥) relations through the document that Tang sent through Jang Hang gup(張行?) to Balhae. First, I checked when Tang had sent Jang hanggup to Balhae and made use of the documents of neighboring countries and Tang-Turk relations. Therefore, I determined that Tang sent Jang Hang gup to Balhae in early 707. Previous studies regarded Tang`s internal problems and Tang`s northeast policy as the background of the dispatch of the Tang envoy to Balhae. However, little attention was paid to Balhae`s internal growth and phase. As a result of my examination, Balhae was expanding based on interior capacity and growth. This must be one of the background reasons for the dispatch of the Tang envoy to Balhae. Balhae sent prince to Tang in response to the dispatch of the Tang envoy. Although prince was staying in Tang, Balhae didn`t participate in Tang Chungchong(中宗)`s northern expedition to conquer the Turks. This fact shows that Balhae was on the neutral ground between Tang and the Turk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