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의 신규교과목 개설추이 분석 연구 = A Study on New Courses Offered in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041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지난 20년간(1991년∼2011년)의 한국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을 분석함으로써 교과목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총 개설과목 수가 전체적으로 증가하여 왔고, 학부제로 전환하면서 학부기초과목 수는 증가하였고, 핵심과목 수는 감소하였으며, 다시 학과제로 전환하면서 학부기초과목 수는 감소하고, 핵심과목 수는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전국 34개 4년제 문헌정보학과의 교과과정을 문헌정보학일반, 정보조직학, 정보조사제공학, 도서관․정보센터경영학, 정보학, 서지학, 기록관리학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별 분포도를 조사하였는데, 지난 20년간 정보조사제공학과 정보학 분야를 제외한 대부분의 영역에서 그 교과목 수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서 사라진 과목, 과목 명칭이 바뀐 과목, 여러 과목이 통합된 과목, 하나의 과목이 여러 과목으로 세분화된 과목, 그리고 시대의 발전에 따라 새롭게 등장한 과목들이 밝혀졌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지난 20년간(1991년∼2011년)의 한국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을 분석함으로써 교과목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총 개설과목 수가 전체적으로 증가하여 왔고, 학...

      본 연구에서는 지난 20년간(1991년∼2011년)의 한국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을 분석함으로써 교과목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총 개설과목 수가 전체적으로 증가하여 왔고, 학부제로 전환하면서 학부기초과목 수는 증가하였고, 핵심과목 수는 감소하였으며, 다시 학과제로 전환하면서 학부기초과목 수는 감소하고, 핵심과목 수는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전국 34개 4년제 문헌정보학과의 교과과정을 문헌정보학일반, 정보조직학, 정보조사제공학, 도서관․정보센터경영학, 정보학, 서지학, 기록관리학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별 분포도를 조사하였는데, 지난 20년간 정보조사제공학과 정보학 분야를 제외한 대부분의 영역에서 그 교과목 수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서 사라진 과목, 과목 명칭이 바뀐 과목, 여러 과목이 통합된 과목, 하나의 과목이 여러 과목으로 세분화된 과목, 그리고 시대의 발전에 따라 새롭게 등장한 과목들이 밝혀졌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courses by investigating the LIS curriculum of Korea in the past 20 years (1991-2011). Results showed that the total number of courses increased as a whole. As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moved forward to the faculty system (Hakbuje), the number of basic courses increased while the number of core courses decreased. But the opposite phenomenon appeared as universities returned to the department system (Hakgwaje). Also, we investigated the domain-specific distribution of each department by separating the courses of 34 Korean LIS Departments into these seven domains: General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formation Organization; Library and Information Center Management; Information Services; Information Science; Bibliography; and Archival Scie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courses reduced in most domains over the past 20 years, except for the Library Service and Information Science areas. This study also explored the following phenomena: disappeared courses, changed course’s names, courses that integrated into a single course, courses that separated into various other courses, and newly emerging courses with the developing age.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courses by investigating the LIS curriculum of Korea in the past 20 years (1991-2011). Results showed that the total number of courses increased as a whole. As the Korean educati...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courses by investigating the LIS curriculum of Korea in the past 20 years (1991-2011). Results showed that the total number of courses increased as a whole. As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moved forward to the faculty system (Hakbuje), the number of basic courses increased while the number of core courses decreased. But the opposite phenomenon appeared as universities returned to the department system (Hakgwaje). Also, we investigated the domain-specific distribution of each department by separating the courses of 34 Korean LIS Departments into these seven domains: General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formation Organization; Library and Information Center Management; Information Services; Information Science; Bibliography; and Archival Scie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courses reduced in most domains over the past 20 years, except for the Library Service and Information Science areas. This study also explored the following phenomena: disappeared courses, changed course’s names, courses that integrated into a single course, courses that separated into various other courses, and newly emerging courses with the developing ag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상완, "한국의 대학도서관 정보서비스에 있어서 주제전문사서의 현황과 기능에 관한 조사연구" 3 (3): 42-74, 1986

      2 노영희, "한국문헌정보학 교과과정에 대한 변화분석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0 (40): 429-450, 2009

      3 오경묵, "한국 문헌정보학 교육 및 연구의 발전 동향에 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23 (23): 185-206, 2006

      4 한복희, "학부제하의 문헌정보학과 교육과정 개발연구" 32 (32): 5-29, 1998

      5 김성수, "학부제 관련 문헌정보학 교육목적 및 교과과정 연구" 28 (28): 355-383, 1998

      6 노동조, "주제전문사서 인력 수급 전망 및 제도화 방안 연구" 국립중앙도서관 2008

      7 한복희, "변화하는 도서관환경에 대비한 문헌정보학과의 교과과정 연구" 30 (30): 179-198, 1999

      8 김성수, "문헌정보학의 교육목적 및 교과과정에 관한 연구" 40-80, 1998

      9 구본영, "문헌정보학에서의 인공지능과 전문가 시스템 교육과정 연구" 32 (32): 211-235, 1998

      10 엄영애, "문헌정보학과의 코어 교과목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34 (34): 33-49, 2003

      1 한상완, "한국의 대학도서관 정보서비스에 있어서 주제전문사서의 현황과 기능에 관한 조사연구" 3 (3): 42-74, 1986

      2 노영희, "한국문헌정보학 교과과정에 대한 변화분석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0 (40): 429-450, 2009

      3 오경묵, "한국 문헌정보학 교육 및 연구의 발전 동향에 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23 (23): 185-206, 2006

      4 한복희, "학부제하의 문헌정보학과 교육과정 개발연구" 32 (32): 5-29, 1998

      5 김성수, "학부제 관련 문헌정보학 교육목적 및 교과과정 연구" 28 (28): 355-383, 1998

      6 노동조, "주제전문사서 인력 수급 전망 및 제도화 방안 연구" 국립중앙도서관 2008

      7 한복희, "변화하는 도서관환경에 대비한 문헌정보학과의 교과과정 연구" 30 (30): 179-198, 1999

      8 김성수, "문헌정보학의 교육목적 및 교과과정에 관한 연구" 40-80, 1998

      9 구본영, "문헌정보학에서의 인공지능과 전문가 시스템 교육과정 연구" 32 (32): 211-235, 1998

      10 엄영애, "문헌정보학과의 코어 교과목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34 (34): 33-49, 2003

      11 정진식, "문헌정보학과 교과과정분석과 모형개발" 28 (28): 3-63, 1991

      12 이제환, "문헌정보학 교육에 대한 현장 사서의 평가와 요구" 한국문헌정보학회 39 (39): 45-69, 2005

      13 노영희,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의 특성화된 프로그램 개발 및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39 (39): 59-80, 2005

      14 노영희,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의 발전현황에 대한 비교분석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36 (36): 479-503, 2005

      15 구본영, "디지털정보환경에서의 문헌정보학 교육과정" 17 (17): 93-108, 2000

      16 박일종, "국내 문헌정보학 프로그램의 현황 및 교육과정 개선에 관한 연구" 31 (31): 197-221, 2000

      17 노영희, "2004 한국문헌정보학 교과과정" 구미무역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8-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67 0.952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