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일과의 심리적 분리 척도 개발과 심리적 분리가 정신건강, 웰빙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389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여가에 대한 주관적인 심리 상태를 반영하는 여가경험이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 하는 것이다. 또한 심리적 회복경험이 여가태도와 여가경험과 직무스트레스 소진 사이에서 그 관계를 매개하는지 그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와 더불어 심리적 분리의 정신건강 및 웰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1) 연구대상 : 본 연구는 다양한 직종의 사무직 근로자 21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2) 측정도구

      심리적 분리, 여가경험, 정서적 소진을 측정하였다. 심리적 분리와 정서적 소진은 문항을 번안하여 사용하였으며, 여가경험은 기존 개발된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① 심리적 분리(Psychological Detachment) : 심리적 분리는 일하지 않는 시간동안 일과 분리된 신체적, 정신적 정도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심리적 분리를 측정하기 위해서 Sonnentag & Fritz(2007)의 Psychological Detachment 척도를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측정문항은 “나는 일하지 않는 시간에는 직무의 부담으로부터 벗어나 휴식을 취했다”를 포함하여 총 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신뢰도 계수(Cronbach’s a)는 .816으로 나타났다.

      ② 여가경험 : 여가 경험은 여가활동을 하는 동안 참여자가 지각하는 즉각적인 심리적 반응을 의미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가 경험의 측정은 고동우 (2007)가 개발한 여가경험 척도를 사용하였다. 측정 문항은 총 17문항으로 “자기향상, 환경교류, 활동주도, 자연통제감”의 지각된 정도를 포함하고 있다. 신뢰도 계수(Cronbach’s a)는 .912로 나타났다.

      ③ 정서적 소진 (Emotional Exhaustion) : 정서적 소진은 탈진의 구성 개념 중 하나로 심리적 부담이나 요구로 인해 개인의 정서적 자원들이 고갈되었다고 느끼고, 타인에 대한 부정적이고 냉소적 반응을 보이며, 업무에서 역량이나 생산성 부족으로 인해 자신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을 경험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서적 소진을 측정하기 위해서 Demerouti, Bakker, Nachreiner, & Schaufeli(2001)가 개발한 OLBI(Oldenburg Burnout Inventory) 중 정서적 소진에 해당되는 8가지 문항을 사용하였다. 측정문항은“회사에 도착하기 전부터 피곤하다고 느끼는 날들이 있다”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신뢰도 계수는 (Cronbach’s a)는 .772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분리가 여가경험과 정서적 소진을 매개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여가에 대한 주관적인 심리 상태를 반영하는 여가경험이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 하는 것이다. 또한 심리적 회복경험이 여가태도와 여가경험과 직무...

      본 연구의 목적은 여가에 대한 주관적인 심리 상태를 반영하는 여가경험이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 하는 것이다. 또한 심리적 회복경험이 여가태도와 여가경험과 직무스트레스 소진 사이에서 그 관계를 매개하는지 그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와 더불어 심리적 분리의 정신건강 및 웰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1) 연구대상 : 본 연구는 다양한 직종의 사무직 근로자 21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2) 측정도구

      심리적 분리, 여가경험, 정서적 소진을 측정하였다. 심리적 분리와 정서적 소진은 문항을 번안하여 사용하였으며, 여가경험은 기존 개발된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① 심리적 분리(Psychological Detachment) : 심리적 분리는 일하지 않는 시간동안 일과 분리된 신체적, 정신적 정도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심리적 분리를 측정하기 위해서 Sonnentag & Fritz(2007)의 Psychological Detachment 척도를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측정문항은 “나는 일하지 않는 시간에는 직무의 부담으로부터 벗어나 휴식을 취했다”를 포함하여 총 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신뢰도 계수(Cronbach’s a)는 .816으로 나타났다.

      ② 여가경험 : 여가 경험은 여가활동을 하는 동안 참여자가 지각하는 즉각적인 심리적 반응을 의미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가 경험의 측정은 고동우 (2007)가 개발한 여가경험 척도를 사용하였다. 측정 문항은 총 17문항으로 “자기향상, 환경교류, 활동주도, 자연통제감”의 지각된 정도를 포함하고 있다. 신뢰도 계수(Cronbach’s a)는 .912로 나타났다.

      ③ 정서적 소진 (Emotional Exhaustion) : 정서적 소진은 탈진의 구성 개념 중 하나로 심리적 부담이나 요구로 인해 개인의 정서적 자원들이 고갈되었다고 느끼고, 타인에 대한 부정적이고 냉소적 반응을 보이며, 업무에서 역량이나 생산성 부족으로 인해 자신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을 경험하는 것을 의미한다. 정서적 소진을 측정하기 위해서 Demerouti, Bakker, Nachreiner, & Schaufeli(2001)가 개발한 OLBI(Oldenburg Burnout Inventory) 중 정서적 소진에 해당되는 8가지 문항을 사용하였다. 측정문항은“회사에 도착하기 전부터 피곤하다고 느끼는 날들이 있다”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신뢰도 계수는 (Cronbach’s a)는 .772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분리가 여가경험과 정서적 소진을 매개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leisure experience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emotional exhaustion. The present study also attempted to find out whether psychological detachment has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Psychological detachment refers to an individual`s experience of being mentally away from work, to make a pause in thinking about work-related issues, thus to "switch off". Previous research has suggested that psychological detachment from work during off-job time is important in order to recover from stress encountered at the job. Data were collected from 213 workers employed in a variety of organizations. It was found that high leisure experienc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 psychological detachment and low emotional exhaustion. In addition, psychological detachment had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experience and emotional exhaus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leisure experience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emotional exhaustion. The present study also attempted to find out whether psychological detachment has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leisure experience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emotional exhaustion. The present study also attempted to find out whether psychological detachment has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Psychological detachment refers to an individual`s experience of being mentally away from work, to make a pause in thinking about work-related issues, thus to "switch off". Previous research has suggested that psychological detachment from work during off-job time is important in order to recover from stress encountered at the job. Data were collected from 213 workers employed in a variety of organizations. It was found that high leisure experienc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 psychological detachment and low emotional exhaustion. In addition, psychological detachment had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experience and emotional exhaustio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