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탈놀이는 전승환경의 변화에 따라 단절과 복원 및 재구성의 역사를 거쳐 지금에 이르고 있다. 세시 또는 특정일에 놀아졌던 탈놀이와 달리 최근의 연행양상은 일반적으로 초청공연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의 탈놀이는 전승환경의 변화에 따라 단절과 복원 및 재구성의 역사를 거쳐 지금에 이르고 있다. 세시 또는 특정일에 놀아졌던 탈놀이와 달리 최근의 연행양상은 일반적으로 초청공연 ...
한국의 탈놀이는 전승환경의 변화에 따라 단절과 복원 및 재구성의 역사를 거쳐 지금에 이르고 있다. 세시 또는 특정일에 놀아졌던 탈놀이와 달리 최근의 연행양상은 일반적으로 초청공연 또는 기획공연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시간적 제약으로 말미암아 전 과장 연행이 이루어지기 힘들고, 연행시간도 제한적이다. 장소 역시 특정지역이 아니라 전국으로 범위가 확대되었으며, 향유하는 대상 또한 공동체의 구성원이 아니라 전 국민과 세계로 열려있다.
이와 같이 전승환경에 따른 변화는 내적요인과 외적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내적요인은 탈놀이 전승단체의 구성원들로 인한 변화를 말하며, 내부갈등, 고령화, 탈지역화를 들 수 있다. 외적요인으로는 놀이환경의 변화와 제도개선에 따른 불신 및 인적자원의 손실 등을 들 수 있다.
최근 탈놀이의 변화는 연행내용은 물론 춤과 음악 등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관중들과 적극적인 소통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하다. 한편,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전승이 단절된 지역탈놀이의 복원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제주해녀문화의 보전 및 전승 활성화를 위한 정책 현황 및 발전 방안 연구
무형문화자원으로서 근현대 산업유산의 가치와 의미 -인천 지역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