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가축분 퇴비의 가공에 따른 품질 및 이용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발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펠렛퇴비의 가공효과 개선 및 관련 기술 개발 그리고 퇴비 이용성 개선이 본 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651403
정광화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 김재환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 최동윤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 박치호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 곽정훈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 유용희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 한명석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정만순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 원학희 (한일기공) ; 윤태영 (훼스코정공) ; Jeong, K.H. ; Kim, J.H. ; Choi, D.Y. ; Park, C.H. ; Kwag, J.H. ; Yoo, Y.H. ; Han, M.S. ; Jeong, M.S. ; Won, H.H. ; Yoon, T.Y.
2008
Korean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201-210(1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가축분 퇴비의 가공에 따른 품질 및 이용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발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펠렛퇴비의 가공효과 개선 및 관련 기술 개발 그리고 퇴비 이용성 개선이 본 과...
본 연구는 가축분 퇴비의 가공에 따른 품질 및 이용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개발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펠렛퇴비의 가공효과 개선 및 관련 기술 개발 그리고 퇴비 이용성 개선이 본 과제 수행에 있어 핵심적 해결요소이다. 본 과제 수행에 있어 지금까지 도출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펠렛퇴비 최적가공조건 설정시험 결과, 돈분발효퇴비의 펠렛가공 효과는 재료의 구성과 혼합을 그리고 퇴비원료의 수분함량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스쿠루 형태의 제조방법이나 펄렛밀 형태의 제조방법을 취하는 경우, 두 방법 모두 펠렛화 과정에 따른 퇴비중의 양분손실 현상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3. 가공온도가 높고 계분이 함유된 처리구에서 암모니아 발생정도가 가장 높았고 동일한 수준의 돈분뇨 퇴비를 함유한 시험구의 경우, 가공온도와 암모니아 발생량이 정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단 첨가재로 이용된 물질이 가공단계에서 퇴비재료의 pH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할 경우 암모니아 발생을 촉진한다. 4. 정상상태의 실온에 보관하였을 경우 펄렛퇴비의 중량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펠렛퇴비 중량의 경우 가공 후 최초 15일 까지는 시간의 흐름에 비례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그 이후부터는 감소율이 낮아지는 결과를 보인다. 펠렛퇴비의 중량감소 정도는 원재료의 구성보다는 경과일수에 영향을 더 받는다. 부피도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중량변화보다는 그 변이가 크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5. 돈분퇴비와 패각을 혼합한 처리구의 내압축력이 상대적으로 낮았던 반면에 돈분과 계분퇴비에 버섯배지와 패각 그리고 미강을 혼합하여 제조한 펠렛퇴비의 내압축적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armers directly spread the livestock manure compost on their arable land as an organic fertilizer. However, there are some difficult problems to solve. first, we are unsure of whether the livestock manure compost can meet the nutritional demand of pl...
Farmers directly spread the livestock manure compost on their arable land as an organic fertilizer. However, there are some difficult problems to solve. first, we are unsure of whether the livestock manure compost can meet the nutritional demand of plant. Second, application of the current powered livestock manure compost to crop land is very difficult work due to heavy weight of compost and its powdered shape. For this reas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e high quality pelletized livestock manure compost. In pelletizing process with composted manure, the optimal water content for pelletizing was around 30$\sim$40%. When rice bran was mixed with 5% as a bonding agent on volume basis, the pelletizing effect was remarkably improved. On a dry matter basis, the contents of N and P of manure compost were 1.31%, and 0.58%, respectively. After pelletizing, the contents of compost pelleted were 1.37% and 0.54%, respectively. The same parameters of pelletized compost made by screw type Instrument were 1.37% and 0.53%, respectively. The other hand, N and P content of pelletized compost made by pellet mill type instrument were 1.06% and 0.18%, respectively.
참고문헌 (Reference)
1 곽완섭, "호기발효와 펠렛 처리가 육계분의 사료 영양적 성분에 미치는 영 향 및 소형 펠렛기의 육계분 성형가능성 평가" 8 (8): 191-198, 2002
2 정광화, "펠렛 가공처리에 따른 돈분 발효퇴비와 우분 발효퇴비의 물리화학적 특성" 유기성자원학회 13 (13): 118-127, 2005
3 이재용, "축산환경시책 및 기술교육" 농림부, 농협중앙회 6-, 2005
4 곽완섭, "육계분 혐기 또는 퇴적 발효 사료 제조 시 당밀 첨가 및 펠렛화가 사료영양적 가치 및 사료 적응기의 한우 기호성 개선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물자원과학회 45 (45): 87-100, 2003
5 "농촌진흥청 고시 제2005-1호. 2005. 비료 공정규격"
6 Hansen, R. C, "The composting process- A natural way to recycle waste-OSUE" The Ohio State University 792 : 1995
7 APHA,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21th Edition" APHA 2005
8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990
9 Peisker,M, "Influence of expansion on feed components" 2 : 26-31, 1994
10 홍지형, "Charateristics of Biodegradation during Recycled Composting Process" 1 (1): 17-24, 2001
1 곽완섭, "호기발효와 펠렛 처리가 육계분의 사료 영양적 성분에 미치는 영 향 및 소형 펠렛기의 육계분 성형가능성 평가" 8 (8): 191-198, 2002
2 정광화, "펠렛 가공처리에 따른 돈분 발효퇴비와 우분 발효퇴비의 물리화학적 특성" 유기성자원학회 13 (13): 118-127, 2005
3 이재용, "축산환경시책 및 기술교육" 농림부, 농협중앙회 6-, 2005
4 곽완섭, "육계분 혐기 또는 퇴적 발효 사료 제조 시 당밀 첨가 및 펠렛화가 사료영양적 가치 및 사료 적응기의 한우 기호성 개선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물자원과학회 45 (45): 87-100, 2003
5 "농촌진흥청 고시 제2005-1호. 2005. 비료 공정규격"
6 Hansen, R. C, "The composting process- A natural way to recycle waste-OSUE" The Ohio State University 792 : 1995
7 APHA,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21th Edition" APHA 2005
8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990
9 Peisker,M, "Influence of expansion on feed components" 2 : 26-31, 1994
10 홍지형, "Charateristics of Biodegradation during Recycled Composting Process" 1 (1): 17-24, 2001
11 Agnew, J. M, "A modified air pycnometer for compost air volume and density determination" 45 : 627-635, 2003
스크레파 축사에서 배출되는 돈분뇨슬러리 호기성 퇴비화의 환경요인 현장조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02-2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 -> (사)한국축산환경학회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Livestock Housing and Environment -> The Korean Society of Animal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 |
2016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기타)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