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해 한국근대음악사 연구 성과 검토 = A Study on the Research Results of Modern Korean Music History by Irhae Song Bang-so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938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일해 송방송 박사의 근대음악사 관련 연구 성과들을 한국근대음악사 기술, 근대 음악 주제 연구, 근대 음악 자료 연구, 관련 사전 항목 집필 등 네 가지 분야로 나누어 살펴보...

      본 연구에서는 일해 송방송 박사의 근대음악사 관련 연구 성과들을 한국근대음악사 기술, 근대 음악 주제 연구, 근대 음악 자료 연구, 관련 사전 항목 집필 등 네 가지 분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한국근대음악사 기술에서는 한국 근대 중 일제강점기를 ‘국악의 수난기’라 바라보던 이전 시각을 바꾸고, 이 시기를 ‘서양음악의 수용시대’로 규정하였으며, 전통음악과 서양음악을 모두 다루는 시각을 통해 『한국음악통사』의 근대 부분을 저술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노동은의 『한국근대음악사1』 등 근대음악 관련 연구를 토대로 하고, 2000년 이후 근대음악에 대한 전문적인 주제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증보 한국음악통사』로 근대음악사를 새롭게 기술할 수 있었다.
      근대 음악 주제 연구에서는 송방송 박사의 박사학위 논문과 2003년 출판한 그의 『한국근대음악사연구』 전문 연구서를 검토하였다. 박사학위 논문에서는 근대성을 띤 거문고산조의 전승과 음악을 연구하였으며, 2000년 이후 발표된 23편의 관련 연구에서는 일제강점기 방송, 음반, 공연 활동 상황에 대한 자신의 기초 연구를 토대로 하여 전통음악으로 판소리, 경서도, 남도잡가 등의 음악과 근대성을 띤 새로운 음악으로서 창극, 신민요, 대중가요 및 동요 등을 음악사회사적 관점에서 점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근대음악사 자료 연구 부분은 논저 해제와 자료 색인 부분을 검토하였다. 논저 해제 연구는 『한국음악학논제해제』(1981)를 시작으로 2004년까지 진행되었다. 1981년 해제에서는 일제강점기 관련 논저들이, 그 이후 발표된 해제에서는 개화기 음악사에 대한 연구들이 보충되어 정리되었다. 자료 색인 연구는 『경성방송국국악방송곡목록색인』, 『한국근대음악 사료색인집』 문헌자료편, 『한국유성기음반총목록 색인』, 『한국근대음악기사자료집 색인편』 등 총 4권으로 발표되어 관련 연구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관련 사전 편찬에서는 『한국음악용어론』 집필 과정으로부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음악사전』 항목 참여 과정과 근대음악과 관련된 『한국근대음악인사전』 편찬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는 이러한 사전 작업을 통해 이전에 잘 알려지지 않았던 권번 출신의 기생 예술가 및 대중음악 관련 음악인들에 대한 사전 항목을 발굴하여 한국 근대음악에 참여한 음악인들에 대한 관련 정보를 상세히 제공하기도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세중, "한국음악의 이해 핸드북" 예솔 2003

      2 宋芳松, "한국유성기음반총목록색인" 민속원 2008

      3 노동은, "한국근대음악사1" 한길사 1995

      4 宋芳松, "한국근대음악기사자료집 색인편" 민속원 2009

      5 김수현, "한국근대음악기사자료집 권1 잡지편(1906~1925)" 민속원 2006

      6 宋芳松, "증보 한국음악통사" 민속원 2007

      7 송방송, "제2장 거문고의 문헌과 그 기보법" 한국음악사학회 17 : 1996

      8 송방송, "제1장 거문고의 역사와 어원" 한국음악사학회 16 : 1996

      9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일제강점기 국악활동 자료집2 경성방송국 국악방송곡 목록" 민속원 2000

      10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일제강점기 국악활동 자료집1 한국유성기음반총목록" 민속원 1998

      1 김세중, "한국음악의 이해 핸드북" 예솔 2003

      2 宋芳松, "한국유성기음반총목록색인" 민속원 2008

      3 노동은, "한국근대음악사1" 한길사 1995

      4 宋芳松, "한국근대음악기사자료집 색인편" 민속원 2009

      5 김수현, "한국근대음악기사자료집 권1 잡지편(1906~1925)" 민속원 2006

      6 宋芳松, "증보 한국음악통사" 민속원 2007

      7 송방송, "제2장 거문고의 문헌과 그 기보법" 한국음악사학회 17 : 1996

      8 송방송, "제1장 거문고의 역사와 어원" 한국음악사학회 16 : 1996

      9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일제강점기 국악활동 자료집2 경성방송국 국악방송곡 목록" 민속원 2000

      10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일제강점기 국악활동 자료집1 한국유성기음반총목록" 민속원 1998

      11 송방송, "의궤 속의 우리 춤과 음악을 찾아서 조선의궤의 해제와 색인" 보고사 2008

      12 이강숙, "우리양악100년" 현암사 2002

      13 한명희, "우리국악100년" 현암사 2001

      14 전인평, "새로운 한국음악사" 현대음악출판사 2000

      15 이혜구, "보정 한국음악사: 고대부터 고려시대까지" 국립국악원 2011

      16 조영규, "바로잡는 協律社와 圓覺社" 민속원 2008

      17 이진원, "몸" 창무예술원 2013

      18 권은경, "동명이인(同名異人)에 관한 연구 : 일제강점기 김운선(金雲仙)을 중심으로" 한국음악사학회 (54) : 5-30, 2015

      19 송방송, "궁중 홀기 속의 우리 춤과 음악 찾기" 보고사 2009

      20 宋芳松, "경성방송국국악방송곡목록 색인" 민속원 2002

      21 송방송, "거문고산조의 즉흥성과 그 밖의 양상" 한국음악사학회 24 : 2000

      22 송방송, "거문고산조의 선법구조" 한국음악사학회 19 : 1997

      23 宋芳松, "韓國音樂通史" 一潮閣 1984

      24 宋芳松, "韓國音樂學論著解題4 2001~2004" 민속원 2007

      25 宋芳松, "韓國音樂學論著解題3 1996~2000" 민속원 2006

      26 宋芳松, "韓國音樂學論著解題2 1980~1995" 민속원 2005

      27 張師勛, "韓國音樂史" 정음사 1984

      28 宋芳松, "韓國近代音樂史硏究" 민속원 2003

      29 宋芳松, "韓國近代音樂人事典" 보고사 2009

      30 "韓國藝術史叢書ㆍⅢ 韓國音樂史" 大韓民國 藝術院 1984

      31 張師勛, "增補 韓國音樂史" 世光音樂出版社 1986

      32 李成千, "國樂史" 國民音樂硏究會 1976

      33 宋芳松, "協律社와 圓覺社에서의 公演樣相 - 大韓帝國 末期의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전통음악학회 (5) : 2004

      34 宋芳松, "一般資料叢書81-1 韓國音樂學論著解題" 韓國精神文化硏究院 藝術民俗硏究室 1981

      35 Song Bang-song, "The Sanjo tradition of Korean Kŏmun'go music" Jung Eum Sa 198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