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 반독점법 초안의 문제점과 입법 필요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Necessities and Problems of Anti-Monopoly Act in Chin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880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은 부당경쟁방지법과 가격법을 중심으로 여러 경제 관련법을 부분적으로 제정하여 시행해 왔으나 그 내용이 불분명하거나 집행기관이 분산되어 있어 중국내의 국유기업이나 다국적기업들의 불공정행위에 대해 효과적으로 통제를 못하고 있다. 더욱이 중국의 WTO가입으로 시장개방 확대가 지속됨으로써 자국시장에서의 시장통제력을 상실할 수 있다는 우려감으로 인해 반독점법 제정을 서두르고 있다. 물론 반독점제정은 자본주의 시장경제에서 자원의 최적배분을 위한 합리적 방법일 뿐 아니라 시장기능을 통제하는 하나의 법률제도이지만 중국 반독점법제정은 그 입법자체만으로도 국내시장뿐만 아니라 중국에 진출한 상당수 다국적기업에게도 위협과 기회를 동시에 주고 있다. 따라서 상기 논문은 중국의 반독점법 초안을 중심으로 제정의 필요성과 그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먼저 중국의 반독점 제정에 있어서 가장문제가 되는 점은 중국 중앙 및 지방정부에 의해 관행적으로 행해지던 행정독점이라 할 수 있다. 중국에서 만연한 행정독점은 중국경제개혁의 난제중의 하나로 반독점법 제정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고 하더라도 행정독점 부분이 대폭수정 발표된다면 행정독점으로 인한 문제점은 여전히 중국경제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로 남을 것이다. 반독점법이 외자기업을 대상으로 한 중국시장지배력을 제제하려는 움직임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외자기업에 의한 시장지배력이 확대를 상당히 우려하고 있을 뿐 만 아니라 외자기업에 의한 중국기업의 M&A로 증가로 국유기업의 보호주의 움직임 그리고 지적재산권보호 압력으로 중국정부는 반독점제정을 서두르고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반독점법 제정은 행정독점의 견제 뿐 만 아니라 첨단기업의 유치 및 기술이전의 역할도 발휘할 수 있으며 다국적기업의 중국 시장에서의 경쟁제한행위에 대해서도 규범화할 수 있기에 중국의 WTO 가입에 따른 시장개방의 가속화는 반독점법의 제정을 더욱 절실하게 요구하고 있다.
      번역하기

      중국은 부당경쟁방지법과 가격법을 중심으로 여러 경제 관련법을 부분적으로 제정하여 시행해 왔으나 그 내용이 불분명하거나 집행기관이 분산되어 있어 중국내의 국유기업이나 다국적기...

      중국은 부당경쟁방지법과 가격법을 중심으로 여러 경제 관련법을 부분적으로 제정하여 시행해 왔으나 그 내용이 불분명하거나 집행기관이 분산되어 있어 중국내의 국유기업이나 다국적기업들의 불공정행위에 대해 효과적으로 통제를 못하고 있다. 더욱이 중국의 WTO가입으로 시장개방 확대가 지속됨으로써 자국시장에서의 시장통제력을 상실할 수 있다는 우려감으로 인해 반독점법 제정을 서두르고 있다. 물론 반독점제정은 자본주의 시장경제에서 자원의 최적배분을 위한 합리적 방법일 뿐 아니라 시장기능을 통제하는 하나의 법률제도이지만 중국 반독점법제정은 그 입법자체만으로도 국내시장뿐만 아니라 중국에 진출한 상당수 다국적기업에게도 위협과 기회를 동시에 주고 있다. 따라서 상기 논문은 중국의 반독점법 초안을 중심으로 제정의 필요성과 그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먼저 중국의 반독점 제정에 있어서 가장문제가 되는 점은 중국 중앙 및 지방정부에 의해 관행적으로 행해지던 행정독점이라 할 수 있다. 중국에서 만연한 행정독점은 중국경제개혁의 난제중의 하나로 반독점법 제정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고 하더라도 행정독점 부분이 대폭수정 발표된다면 행정독점으로 인한 문제점은 여전히 중국경제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로 남을 것이다. 반독점법이 외자기업을 대상으로 한 중국시장지배력을 제제하려는 움직임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외자기업에 의한 시장지배력이 확대를 상당히 우려하고 있을 뿐 만 아니라 외자기업에 의한 중국기업의 M&A로 증가로 국유기업의 보호주의 움직임 그리고 지적재산권보호 압력으로 중국정부는 반독점제정을 서두르고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반독점법 제정은 행정독점의 견제 뿐 만 아니라 첨단기업의 유치 및 기술이전의 역할도 발휘할 수 있으며 다국적기업의 중국 시장에서의 경쟁제한행위에 대해서도 규범화할 수 있기에 중국의 WTO 가입에 따른 시장개방의 가속화는 반독점법의 제정을 더욱 절실하게 요구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hinese government partially enacted and implemented various kinds of economic-related acts like anti-unfair-competition act and anti-unfair-price act. However, executive agencies are dispersed, and the contents of these acts are not distinct in that these acts are not enough to control unfair business affairs of the state-owned firms or multi-national corporations. As the Chinese markets become widely open with China's membership to WTO, there is a serious concern that the government may lose its control power over the market. And it rushes to enact the anti-monopoly act.
      Enactment of the Anti-Monopoly Act is a rational way for the optimal distribution of resources in the capitalized market mechanism and the legal system for the control of the market function. However, enactment of anti-monopoly threat, at the same time, gives opportunities to the domestic companies as well as multi-national corporations. In my article, I investigate issues on needs and problems of enactment of the Chinese Anti-Monopoly Act. The primary issue of the enactment is the problem of an administrative monopoly which has been done customarily by central and regional governments of China. The Anti-Monopoly Act is not effective to stop prevalent the administrative monopoly in China. If serious amendments have been implemented to the administrative monopoly, problems affected by these amendments may remain as main factors which hinder economic development of China.
      번역하기

      The Chinese government partially enacted and implemented various kinds of economic-related acts like anti-unfair-competition act and anti-unfair-price act. However, executive agencies are dispersed, and the contents of these acts are not distinct in t...

      The Chinese government partially enacted and implemented various kinds of economic-related acts like anti-unfair-competition act and anti-unfair-price act. However, executive agencies are dispersed, and the contents of these acts are not distinct in that these acts are not enough to control unfair business affairs of the state-owned firms or multi-national corporations. As the Chinese markets become widely open with China's membership to WTO, there is a serious concern that the government may lose its control power over the market. And it rushes to enact the anti-monopoly act.
      Enactment of the Anti-Monopoly Act is a rational way for the optimal distribution of resources in the capitalized market mechanism and the legal system for the control of the market function. However, enactment of anti-monopoly threat, at the same time, gives opportunities to the domestic companies as well as multi-national corporations. In my article, I investigate issues on needs and problems of enactment of the Chinese Anti-Monopoly Act. The primary issue of the enactment is the problem of an administrative monopoly which has been done customarily by central and regional governments of China. The Anti-Monopoly Act is not effective to stop prevalent the administrative monopoly in China. If serious amendments have been implemented to the administrative monopoly, problems affected by these amendments may remain as main factors which hinder economic development of Chin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중국반독점법관련 입법추진과정
      • Ⅲ. 중국 반독점법 초안의 기본내용과 각 조항별 문제점
      • Ⅳ. 중국 반독점 입법의 장애요인과 제정 필요성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중국반독점법관련 입법추진과정
      • Ⅲ. 중국 반독점법 초안의 기본내용과 각 조항별 문제점
      • Ⅳ. 중국 반독점 입법의 장애요인과 제정 필요성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林彩瑜, "WTO争端解决机制与国际贸易反竞争行为以美日,消费性照相用软片及相纸, In 市场争端案为例,载政大法学评论" 89-90, 2000

      2 은종학, "중국의 반독점법추진:한국기업에 주는 기회와 위협" 대외경제정책연구원 56-57, 2006

      3 한병영, "독점규제법상 진입장벽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 2003

      4 사법연수원, "공정거래법"

      5 권오승, "경제법" 법문사 234-248, 2005

      6 邓保同, "论行政性垄断, In 载法学评论" 123-126, 1998

      7 缪剑文, "论多边贸易体系下竞争法的国际协调" 法律出版社 23-27, 1998

      8 王晓晔, "见中国社会科学院网站2003年4月16日发布 “入世催生中国反垄断法”"

      9 吴汉洪, "西方寡头市场理论与中国市场竞争立法" 经济科学出版社 45-57, 1998

      10 王晓晔, "竞争法研究" 中国法制出版社 90-98, 1999

      1 林彩瑜, "WTO争端解决机制与国际贸易反竞争行为以美日,消费性照相用软片及相纸, In 市场争端案为例,载政大法学评论" 89-90, 2000

      2 은종학, "중국의 반독점법추진:한국기업에 주는 기회와 위협" 대외경제정책연구원 56-57, 2006

      3 한병영, "독점규제법상 진입장벽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 2003

      4 사법연수원, "공정거래법"

      5 권오승, "경제법" 법문사 234-248, 2005

      6 邓保同, "论行政性垄断, In 载法学评论" 123-126, 1998

      7 缪剑文, "论多边贸易体系下竞争法的国际协调" 法律出版社 23-27, 1998

      8 王晓晔, "见中国社会科学院网站2003年4月16日发布 “入世催生中国反垄断法”"

      9 吴汉洪, "西方寡头市场理论与中国市场竞争立法" 经济科学出版社 45-57, 1998

      10 王晓晔, "竞争法研究" 中国法制出版社 90-98, 1999

      11 吕明瑜, "竞争法制度研究" 郑州大学出版社 24-29, 2004

      12 王晓晔, "竞争法与经济发展" 57-60, 2003

      13 "王晓晔在全国人大常委会法制讲座第二十七讲:反垄断法律制度,载于百度网"

      14 王晓晔, "欧共体竞争法" 中国法制出版社 145-150, 2001

      15 包锡妹, "反垅断法的经济分析" 中国社会科学出版社 98-102, 2003

      16 曹士兵, "反垄断法研究:从制度到一般理论" 法律出版社 90-98, 1996

      17 包锡妹, "反垄断法的经济分析" 中国社会科学出版社 24-27, 2003

      18 刘明峰, "入世背景下制定我国反垄断法的两个问题" 102-104, 2003

      19 刘宁元, "中外反垄断法实施体制研究" 北京大学出版社 103-109, 2005

      20 孔祥俊, "中国现行反垄断法理解与适用" 人民法院出版社 77-89, 2001

      21 季晓南, "中国反垄断法研究" 人民法院出版社 88-90, 2001

      22 陈俊, "WTO规则与中国反垄断立法的制度回应"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20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Industrial Economics Association -> Korean Industrial Economic Association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2-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Review of Business & Economics ->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KCI등재
      2006-06-15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Industrial Economics Association -> Korean Industrial Economic Associ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0.97 1.238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