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호스피스기관 간호사의 호스피스 법제화에 대한 인식 = Nurses' Perception on Hospice Law in Hospice Institu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168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urses' perception on hospice law in hospice institutions using questionnaire and to recommend bill of hospice law.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95 nurses who have experienced in hospice care using a self-completion questionnaire. To analyze prescriptive data, content analysis was done using an analysis scheme developed by the investigators. Results: The separate hospice law suggested was types and purpose of law, certification of patient, living will and right to attorney, staff, institutions, service, and payment. The analysis scheme consisted of 6 categories and 17 subcategories. 83 significant statements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Hospice nurses indicated that their operation, financing, manpower, institution, patient right, drug management is needed to enact for bill.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hospice law contents will contribute to build the national hospice system in Korea.
      번역하기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urses' perception on hospice law in hospice institutions using questionnaire and to recommend bill of hospice law.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95 nurses who have experienced in hospic...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urses' perception on hospice law in hospice institutions using questionnaire and to recommend bill of hospice law.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95 nurses who have experienced in hospice care using a self-completion questionnaire. To analyze prescriptive data, content analysis was done using an analysis scheme developed by the investigators. Results: The separate hospice law suggested was types and purpose of law, certification of patient, living will and right to attorney, staff, institutions, service, and payment. The analysis scheme consisted of 6 categories and 17 subcategories. 83 significant statements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Hospice nurses indicated that their operation, financing, manpower, institution, patient right, drug management is needed to enact for bill.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hospice law contents will contribute to build the national hospice system in Kore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성재, "立法效果의 評價- 스위스 베른州 立法效果 評價制度를 中心으로 -" 중앙법학회 7 (7): 163-203, 2005

      2 최화숙, "호스피스전문간호사의 역할 및 업무에 관한 연구" 17 (17): 79-98, 2005

      3 손명세, "호스피스완화의료의 법제화 방안" 47-81, 2005

      4 가톨릭대학교 호스피스교육연구소, "호스피스 완화간호" 군자출판사 2006

      5 김선옥, "중환자실에서 치료중단 특성분석" 연세대 보건대학원 1999

      6 이순행, "임상간호사의 DNR과 관련된 윤리문제에 대한 태도조사" 4 (4): 147-162, 1998

      7 보건복지부 암정책과제 연구팀, "일본?대만?의 호스피스 운영 및 비용체계와 법령분석" Workshop 자료집 2007

      8 김준석, "우리나라 호스피스?완화의료의 현주소와 전망" 67 (67): 327-329, 2004

      9 유호종, "연명치료 중단의 정당성 근거와 조건" 한국의료윤리교육학회 5 (5): 151-168, 2002

      10 대법원, "선고, 2002도995판결"

      1 유성재, "立法效果의 評價- 스위스 베른州 立法效果 評價制度를 中心으로 -" 중앙법학회 7 (7): 163-203, 2005

      2 최화숙, "호스피스전문간호사의 역할 및 업무에 관한 연구" 17 (17): 79-98, 2005

      3 손명세, "호스피스완화의료의 법제화 방안" 47-81, 2005

      4 가톨릭대학교 호스피스교육연구소, "호스피스 완화간호" 군자출판사 2006

      5 김선옥, "중환자실에서 치료중단 특성분석" 연세대 보건대학원 1999

      6 이순행, "임상간호사의 DNR과 관련된 윤리문제에 대한 태도조사" 4 (4): 147-162, 1998

      7 보건복지부 암정책과제 연구팀, "일본?대만?의 호스피스 운영 및 비용체계와 법령분석" Workshop 자료집 2007

      8 김준석, "우리나라 호스피스?완화의료의 현주소와 전망" 67 (67): 327-329, 2004

      9 유호종, "연명치료 중단의 정당성 근거와 조건" 한국의료윤리교육학회 5 (5): 151-168, 2002

      10 대법원, "선고, 2002도995판결"

      11 신현호, "삶과 죽음 권리인가 의무인가?" 육법사 2006

      12 보건복지가족부, "보건복지가족부 홈페이지 자료실"

      13 박연옥, "말기환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도" 한국의료윤리교육학회 7 (7): 198-216, 2004

      14 한겨레신문, "말기암환자, 호스피스 이용 3%에 그쳐, 인터넷신문"

      15 이태화, "말기 폐암환자를 대상으로 한가정호스피스와 병원입원치료의 비교" 30 (30): 1045-1054, 2000

      16 이석배, "독일의 치료중단 기준과 입법론" 한국형사정책학회 19 (19): 229-251, 2007

      17 Lo,J.C, "The impact of hospices on health care expenditures-the care of Taiwan" 54 (54): 981-991, 2002

      18 Tierney, J., "The effect of the Medicare regulations on hospice practice: Enhancing staff performance" 10 (10): 26-31, 1993

      19 Kernohan, W. G., "Patient satisfaction with hospice day care" 14 : 462-468, 2006

      20 Miyashita, M., "Nursing autonomy plays an important role in nurses' attitudes toward caring for dying patients" 24 (24): 202-210, 2007

      21 Emanuel, E. J., "Managed care, hospice use, site of death, and medical expenditures in the last year of life" 162 (162): 1722-1728, 2002

      22 Manosilapakorn,C, "Ethical dilemmas related to end of life care of elderly persons in Thailand" 2002

      23 Shirahama,M, "Disagreement among family members call for comments" 7 : 135-137, 1997

      24 Biskupiak, J., "Assessing the value of hospice care: Is documentation of cost savings necessary?" 19 (19): 61-65, 2005

      25 Downe-Wamboldt, B. L., "A study of the role of hospice volunteers" 1 : 17-31, 1986

      26 통계청, "2006년 사망원인통계연보" 2006

      27 보건복지부, "2006 보건복지백서"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12-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98 2.98 2.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86 2.96 4.597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