胎室은 왕실 자녀의 태를 묻은 곳이다. 태실의 설치는 비록 왕자의 신분은 아니지만 신라시대 김유신에서 시작되어 고려시대에 .胎藏經.이 과거시험에 포함되면서 제도화되었다. 이러한 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胎室은 왕실 자녀의 태를 묻은 곳이다. 태실의 설치는 비록 왕자의 신분은 아니지만 신라시대 김유신에서 시작되어 고려시대에 .胎藏經.이 과거시험에 포함되면서 제도화되었다. 이러한 왕...
胎室은 왕실 자녀의 태를 묻은 곳이다. 태실의 설치는 비록 왕자의 신분은 아니지만 신라시대 김유신에서 시작되어 고려시대에 .胎藏經.이 과거시험에 포함되면서 제도화되었다. 이러한 왕실의 藏胎文化는 조선전기에 정착하는데 가봉태실은 1대 태조, 왕자태실은 4대 세종, 왕녀태실은 9대 성종 대에 이르러 완성되었다. 태실에 대한 연구는 2000년대 들어 여러 연구자들에 의하여 분야별 성과물이 활발하게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태실 연구의 기초가 되는 胎室碑와 胎誌石의 명문 자료가 集成되지 않았고, 연구자에 따라 다르게 판독되어 혼선이 있어 왔다. 태실비와 태지석은 조선왕실 자녀의 출생일시와 장태일시를 파악하고 나아가 왕실 系譜圖를 재구성하는데 필수적인 고고학적 1차 사료이기 때문에 전수조사와 명확한 판독이 중요하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고고자료의 명문을 가능한 범위 내에서 전수조사를 거쳐 재판독하였고, 일부 자녀에 대해서는 문헌자료와 비교검토하여 자료간의 차이를 밝혀보았다. 또한 아기태실의 역사고고학적 의의와 가봉태실의 석조미술사적 계승관계를 살펴보았다. 가봉태실의 경우 중앙석물과 그 주변으로 난간석을 마련하였는데 이에 대한 연원을 찾아보았다. 초보적인 단계이지만 중앙석물은 八角圓球型 浮屠에서, 난간석은 공민왕릉에서 그 연원을 비정하였다. 태실의 연구는 태실비와 태지석의 명문을 통하여 왕실의 계보도와 석조미술의 편년을 설정하는데 기여하는 바 크다. 胎壺도 같은 예이다. 이외에도 태실의 입지를 통한 풍수, 아기태실과 가봉태실을 조성하면서 지역민에게 미치는 경제적 피해, 作變을 통한 지역민의 동향 등을 살필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aesil is a place where the royal family buried the amnion generated from a baby if born. Taesil began from Kim Yusin in Silla period and was institutionalized in the Goryeo Dynasty period when 『Taejanggyeong』 was included in Gwageo examination. S...
Taesil is a place where the royal family buried the amnion generated from a baby if born. Taesil began from Kim Yusin in Silla period and was institutionalized in the Goryeo Dynasty period when 『Taejanggyeong』 was included in Gwageo examination. Such culture that buries the amnion of royal family``s baby was settled down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GabongTaesil was settled down in the era of the 1st king Taejo; prince Taesil in the era of the 4th king Sejong; and princess Taesil in the era of the 9th king Seongjong. Results of research on Taesil have been vigorously reported in various fields in the 2000``s by many researchers. However, data of letters carved on Taesilbi and Taejiseok which are basics of Taesil research have not been compiled and the letters are read in different ways by researchers causing confusion. Taesilbi and Taejiseok are essential and primary archeological data to grasp dates of birth and dates of burial of Joseon royal family children and to reconstruct genealogy chart of the royal family an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have complete enumeration survey and clear reading. This writing re-read inscription of the archeological data through complete enumeration survey as much as possible and conducted comparison with literature data to investigate difference between the data as for some children. In addition, it looked into meaning of historical research on AgiTaesil and succession relationship of GabongTaesil from viewpoint of stone art history. As for GabongTaesil, magnificent central stone monuments and stone banister around them are arranged; even though it is the beginning stage, this writing found the source from Palgakoneguhyeong Budo as for central stone monuments and from Gongminwangneung as for the stone banister. Research on Taesil greatly contributed to establishment of genealogy chart of the royal family and chronology of stone art on the basis of letters carved on Taesilbi and Taejiseok. It is the same case to Taeho. Besides, we can investigate Pungsu through location of Taesil, economical damage to local residents due to construction of AgiTaesil and GabongTaesil , local residents`` trend through damage to Taesil.
성주(星州) 선석산(禪石山) 태실(胎室)의 조성(造成)과 태실구조(胎室構造)의 특징(特徵)
성주 세종대왕자(世宗大王子) 태실(胎室) 봉안 안태용(安胎用) 도자기(陶磁器)의 양상과 제작시기 연구
삼국유사『(三國遺事)』인용『향전(鄕傳)』과『수이전(殊異傳)』의 관련성 검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