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귀농·귀촌 지원을 위한 약·식용식물검색 앱 개발 제언 = A Proposal to Develop a Mobile Application for Automatic Identification of Medicinal and Edible Pla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581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number of the Korean people who leave the city and move to the countryside for money or health has incessantly increased since the economic crisis of 1997. They are relatively younger and have more academic backgrounds than most professional farmers, which means that the migrators can use IT devices skillfully but they do not have much knowledge on medicinal and edible plants around. And it usually takes a considerable time for the migrators to identify medicinal and edible plants, and it might be impossible without any help of the farmers and residents living there. If a mobile application that helps users identify medicinal and edible plants from photographs of their leaves were developed, the app could be helpful for the migrators to settle down in the countrysi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developing a mobile app which identifies herbal and edible plant species automatically.
      번역하기

      The number of the Korean people who leave the city and move to the countryside for money or health has incessantly increased since the economic crisis of 1997. They are relatively younger and have more academic backgrounds than most professional farme...

      The number of the Korean people who leave the city and move to the countryside for money or health has incessantly increased since the economic crisis of 1997. They are relatively younger and have more academic backgrounds than most professional farmers, which means that the migrators can use IT devices skillfully but they do not have much knowledge on medicinal and edible plants around. And it usually takes a considerable time for the migrators to identify medicinal and edible plants, and it might be impossible without any help of the farmers and residents living there. If a mobile application that helps users identify medicinal and edible plants from photographs of their leaves were developed, the app could be helpful for the migrators to settle down in the countrysi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developing a mobile app which identifies herbal and edible plant species automatical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생계와 같은 경제적 이유와 전원생활 및 환경과 같은 건강상의 이유 때문에귀농·귀촌 인구는 1997년 IMF 경제위기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왔고, 귀농·귀촌자의 연령은 점차 낮아지고 학력은 높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농촌지역에서 흔하게 발견할 수 있는 약·식용식물에 대한 지식은 귀농·귀촌에서 가장 기초적인 필수요건임에도 불구하고 도시 출신 귀농·귀촌자가 정확한지식을 쌓는 데에는 상당한 시간과 타인의 도움이 있어야 가능하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기기의 보급과 사용이 보편화되어 버린 상황에서 약·식용식물의 잎을 모바일기기로 촬영하여 어떤 식물인가를 그 자리에서확인할 수 있다면 농촌 정착 과정은 보다 용이해질 것이다. 이런 배경에서 본 논문은 귀농·귀촌을 지원할 수 있는 모바일기기를 활용한 약·식용식물 검색앱의 개발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번역하기

      생계와 같은 경제적 이유와 전원생활 및 환경과 같은 건강상의 이유 때문에귀농·귀촌 인구는 1997년 IMF 경제위기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왔고, 귀농·귀촌자의 연령은 점차 낮아지고 학�...

      생계와 같은 경제적 이유와 전원생활 및 환경과 같은 건강상의 이유 때문에귀농·귀촌 인구는 1997년 IMF 경제위기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왔고, 귀농·귀촌자의 연령은 점차 낮아지고 학력은 높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농촌지역에서 흔하게 발견할 수 있는 약·식용식물에 대한 지식은 귀농·귀촌에서 가장 기초적인 필수요건임에도 불구하고 도시 출신 귀농·귀촌자가 정확한지식을 쌓는 데에는 상당한 시간과 타인의 도움이 있어야 가능하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기기의 보급과 사용이 보편화되어 버린 상황에서 약·식용식물의 잎을 모바일기기로 촬영하여 어떤 식물인가를 그 자리에서확인할 수 있다면 농촌 정착 과정은 보다 용이해질 것이다. 이런 배경에서 본 논문은 귀농·귀촌을 지원할 수 있는 모바일기기를 활용한 약·식용식물 검색앱의 개발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수행, "한국 농업의 새로운 트렌드 : 귀농·귀촌"

      2 남인현, "직장인의 귀농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농업경제학회 52 (52): 93-124, 2011

      3 농림수산식품부, "지난 해 귀농·귀촌 가구 사상 최고인 10,503가구, 23,415명"

      4 고상환, "제주지역 귀농⋅귀촌 교육 참여자 특성 및 교육 만족도 분석" 한국농촌지도학회 18 (18): 983-1010, 2011

      5 조휘준, "이미지 인식을 이용한 비마커 기반 모바일 증강현실 기법 연구" 한국신호처리시스템학회 12 (12): 258-266, 2011

      6 (주)신한경영법인, "영동군 귀농·귀촌 활성화 연구용역 완료보고서" 2013

      7 산림청, "스마트폰 증강현실을 이용한 식물정보 인식 타당성 분석연구"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2011

      8 김성학, "산촌마을 귀농·귀촌인 정착 동기와 생활만족 요인 분석" 한국농촌계획학회 20 (20): 105-113, 2014

      9 국립산림과학원, "산지약용자원의 생산 및 유통실태(Ⅲ)"

      10 남윤영, "모양기반 식물 잎 이미지 검색을 위한 표현 및 매칭 기법" 한국정보과학회 32 (32): 1013-1020, 2005

      1 이수행, "한국 농업의 새로운 트렌드 : 귀농·귀촌"

      2 남인현, "직장인의 귀농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농업경제학회 52 (52): 93-124, 2011

      3 농림수산식품부, "지난 해 귀농·귀촌 가구 사상 최고인 10,503가구, 23,415명"

      4 고상환, "제주지역 귀농⋅귀촌 교육 참여자 특성 및 교육 만족도 분석" 한국농촌지도학회 18 (18): 983-1010, 2011

      5 조휘준, "이미지 인식을 이용한 비마커 기반 모바일 증강현실 기법 연구" 한국신호처리시스템학회 12 (12): 258-266, 2011

      6 (주)신한경영법인, "영동군 귀농·귀촌 활성화 연구용역 완료보고서" 2013

      7 산림청, "스마트폰 증강현실을 이용한 식물정보 인식 타당성 분석연구"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2011

      8 김성학, "산촌마을 귀농·귀촌인 정착 동기와 생활만족 요인 분석" 한국농촌계획학회 20 (20): 105-113, 2014

      9 국립산림과학원, "산지약용자원의 생산 및 유통실태(Ⅲ)"

      10 남윤영, "모양기반 식물 잎 이미지 검색을 위한 표현 및 매칭 기법" 한국정보과학회 32 (32): 1013-1020, 2005

      11 농촌진흥청, "독초랑 약초, 닮아도 너~무 닮았잖아!"

      12 성주인, "농업전망 2013: 새로운 희망 새로운 선택" 2013

      13 유정규, "귀촌 실태 분석 및 활성화 방안" 지역발전위원회 2011

      14 채상헌, "귀농정착 현황 및 귀농정착 성공요인 분석-귀농귀촌교육수료생 대상 영농정착실태조사 사례 중심으로" 2013

      15 김철규, "귀농·귀촌인의 성공적 정착과 농촌사회 발전방안 연구" 농림수산식품부 2011

      16 농림수산식품부, "귀농·귀촌 종합대책"

      17 김부성, "귀농·귀촌 정보제공 및 교육체계 구축 개선방안, In 귀농·귀촌 관련 정보제공체계와 교육 프로그램의 개선 방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2

      18 마상진, "귀농,귀촌 정보제공 체계와 교육프로그램의 개선방향: 세미나 자료집" 농촌경제연구원 2012

      19 Kumar, N., "Leafsnap: A Computer Vision System for Automatic Plant Species Identification" 2012

      20 통계청, "2013년 귀농·귀촌인 통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0.9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6 0.9 1.289 0.4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