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YOLO V5의 생성 데이터를 이용한 병렬 U-Net 기반 의미론적 분할 방법 = Parallel U-Net Based Semantic Segmentation Method Using Generated Data from YOLO V5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061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객체 인식 모델인 YOLO(You Only Look Once) V5로 바운딩 박스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 이미지를 병렬 U-Net에 학습 데이터로 사용하여 의미론적 분할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제안 및 구현한다. YOLO V5 학습에는 yolov5s 모델을 사용하고 차량 및 보행자를 바운딩 박스의 형태로 검출하여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렇게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는 병렬 U-Net의 학습 데이터로 사용한다. 제안한 병렬 U-Net은 원본 이미지와 YOLO V5 에서 출력한 이미지를 병렬 형태로 입력받아 학습하여 의미론적 분할을 수행한다. 제안한 시스템의 검출 성능을평가하기 위해 기존의 U-Net 및 U-Net3+의 의미론적 분할 결과와 비교하였다. YOLO V5의 학습 데이터로는BDD100K(Berkeley Deep Drive 100K)를 사용하였으며 실험 결과, 병렬 U-Net이 기존의 단일 U-Net보다0.1~0.2, U-Net3+보다 0.03~0.15 향상된 mIoU(Mean Intersection over Union)를 얻을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객체 인식 모델인 YOLO(You Only Look Once) V5로 바운딩 박스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 이미지를 병렬 U-Net에 학습 데이터로 사용하여 의미론적 분할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제안 및 구현...

      본 연구에서는 객체 인식 모델인 YOLO(You Only Look Once) V5로 바운딩 박스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 이미지를 병렬 U-Net에 학습 데이터로 사용하여 의미론적 분할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제안 및 구현한다. YOLO V5 학습에는 yolov5s 모델을 사용하고 차량 및 보행자를 바운딩 박스의 형태로 검출하여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렇게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는 병렬 U-Net의 학습 데이터로 사용한다. 제안한 병렬 U-Net은 원본 이미지와 YOLO V5 에서 출력한 이미지를 병렬 형태로 입력받아 학습하여 의미론적 분할을 수행한다. 제안한 시스템의 검출 성능을평가하기 위해 기존의 U-Net 및 U-Net3+의 의미론적 분할 결과와 비교하였다. YOLO V5의 학습 데이터로는BDD100K(Berkeley Deep Drive 100K)를 사용하였으며 실험 결과, 병렬 U-Net이 기존의 단일 U-Net보다0.1~0.2, U-Net3+보다 0.03~0.15 향상된 mIoU(Mean Intersection over Union)를 얻을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국한 ; 송영준, "교통사고 시나리오 분류를 위한 이미지 데이터 생성 시스템" 한국정보기술학회 20 (20): 31-38, 2022

      2 G. Jocher, "yolov5:v.70–YOLOv5 SOTA Realtime semantic segmentation(2022)"

      3 G. Jocher, Nioolek, "yolov5 v7.0 by ultralytics"

      4 J. Redmon, "You only look once: Unified, real-time object detection" 779-788, 2016

      5 H. Huang, "Unet 3+: A full-scale connected unet for medical image segmentation" 2020

      6 O. Ronneberger, "U-net: Convolutional networks for biomedical image segmentation" 234-241, 2015

      7 Xuyang Song, "Multi-objective real-time vehicle detection method based on yolov5" IEEE 142-145, 2021

      8 K. He, "Mask R-CNN" 2961-2969, 2017

      9 Yuen Peng Loh, "Getting to know low-light images with the Exclusively Dark dataset" Elsevier BV 178 : 30-42, 2019

      10 Jonathan Long, "Fully convolutional networks for semantic segmentation" IEEE 3431-3440, 2015

      1 조국한 ; 송영준, "교통사고 시나리오 분류를 위한 이미지 데이터 생성 시스템" 한국정보기술학회 20 (20): 31-38, 2022

      2 G. Jocher, "yolov5:v.70–YOLOv5 SOTA Realtime semantic segmentation(2022)"

      3 G. Jocher, Nioolek, "yolov5 v7.0 by ultralytics"

      4 J. Redmon, "You only look once: Unified, real-time object detection" 779-788, 2016

      5 H. Huang, "Unet 3+: A full-scale connected unet for medical image segmentation" 2020

      6 O. Ronneberger, "U-net: Convolutional networks for biomedical image segmentation" 234-241, 2015

      7 Xuyang Song, "Multi-objective real-time vehicle detection method based on yolov5" IEEE 142-145, 2021

      8 K. He, "Mask R-CNN" 2961-2969, 2017

      9 Yuen Peng Loh, "Getting to know low-light images with the Exclusively Dark dataset" Elsevier BV 178 : 30-42, 2019

      10 Jonathan Long, "Fully convolutional networks for semantic segmentation" IEEE 3431-3440, 2015

      11 Jerry Gao, "Detecting and learning city intersection traffic contexts for autonomous vehicles" IOS Press 1 (1): 213-239, 2022

      12 Iftikhar Ahmad, "Deep Learning Based Detector YOLOv5 for Identifying Insect Pests" MDPI AG 12 (12): 10167-, 2022

      13 Gui-Song Xia, "DOTA: A Large-Scale Dataset for Object Detection in Aerial Images" IEEE 3974-3893, 2018

      14 BDD100K, "BDD100k Label forma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