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내에 의한 남편폭력 원인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auses and Measures against Wife to Husband Viol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639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esearch observes causes and problems in Wife to Husband Violence, recently increasing, and proposes effective countermeasures. Accordingly, suggestions of caudes, current states and case analysis of Wife to Husband Violence as followings.
      Above all, as a result of case analysis of Wife to Husband Violence, first, the number of domestic violence has consistently increased over the past 3 years(2013~2016), and Wife to Husband Abuse accounted for the second highest proportion among the types. Second, as a result of damage situations by gender, Wife to Husband Violence was constantly increasing with higher tendency of emotional, rather than physical violence - presenting noticeable increase of under 20 male victims, rather than female victims. Third, the major cause of both violences by female and male was concentrated on economic reasons, and particularly for male victims, they have been tolerating consistent violence by their wives owing to attachment to their children.
      In addition, observing case analysis results of Wife to Husband Violence, first, Self-Serving bias of wives on husband violence and inappropriate recognition and social bias on violent behaviors were the causes. Second, when powers of economic and decision-making discretions are granted to wives, rather than husbands and positions of wives are higher than the ones of husbands, Wife to Husband Violence occurs furthermore, when wives get financial stresses in lives due to early retirement and income decreases and are frequently exposed to alcohol, these also became the causes of Wife to Husband Violence.
      Wife to Husband Violence is discovered to be caused by difficulties in asking for help due to social bias, improper recognition on violent behaviors by individuals, position of husbands in families and the degrees of drinking alcohol and children attachment of husbands. Thus, constant concerns and supports of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as well as awareness of that Wife to Husband Violence is also a crime should be offered.
      번역하기

      The research observes causes and problems in Wife to Husband Violence, recently increasing, and proposes effective countermeasures. Accordingly, suggestions of caudes, current states and case analysis of Wife to Husband Violence as followings. Above ...

      The research observes causes and problems in Wife to Husband Violence, recently increasing, and proposes effective countermeasures. Accordingly, suggestions of caudes, current states and case analysis of Wife to Husband Violence as followings.
      Above all, as a result of case analysis of Wife to Husband Violence, first, the number of domestic violence has consistently increased over the past 3 years(2013~2016), and Wife to Husband Abuse accounted for the second highest proportion among the types. Second, as a result of damage situations by gender, Wife to Husband Violence was constantly increasing with higher tendency of emotional, rather than physical violence - presenting noticeable increase of under 20 male victims, rather than female victims. Third, the major cause of both violences by female and male was concentrated on economic reasons, and particularly for male victims, they have been tolerating consistent violence by their wives owing to attachment to their children.
      In addition, observing case analysis results of Wife to Husband Violence, first, Self-Serving bias of wives on husband violence and inappropriate recognition and social bias on violent behaviors were the causes. Second, when powers of economic and decision-making discretions are granted to wives, rather than husbands and positions of wives are higher than the ones of husbands, Wife to Husband Violence occurs furthermore, when wives get financial stresses in lives due to early retirement and income decreases and are frequently exposed to alcohol, these also became the causes of Wife to Husband Violence.
      Wife to Husband Violence is discovered to be caused by difficulties in asking for help due to social bias, improper recognition on violent behaviors by individuals, position of husbands in families and the degrees of drinking alcohol and children attachment of husbands. Thus, constant concerns and supports of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as well as awareness of that Wife to Husband Violence is also a crime should be offer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아내의 남편폭력에 대한 원인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아내의 남편폭력 발생 원인에 대한 실태 및 사례분석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아내의 남편폭력에 대한 실태분석 결과, 첫째, 가정폭력은 지난 3년간(2013∼2016) 지속적으로 증가했으며 가정폭력 유형 중 아내의 남편학대가 두 번째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피해자의 성별에 따른 피해현황을 분석한 결과 아내의 남편폭력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주로 신체적 폭력보다는 정서적 폭력이 많았고, 여성피해자에 비해 남성피해자는 20대 이하의 피해자가 눈에 띠게 늘어나고 있었다. 셋째, 폭력발생 원인은 여성, 남성 모두 주요한 폭력의 원인은 경제적인 이유였지만 특히 남성의 경우 자녀에 대한 애착 등으로 인하여 아내의 지속적인 폭력행위를 참고 견디는 경우도 많았다.
      다음으로, 아내의 남편폭력에 대한 사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아내의 남편폭력에 대한 자기 편향적 사고방식(Self–Serving bias)의 잘못된 폭력행위에 대한 인식과 사회적 편견 등이 발생 원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 내 경제권과 결정권 등이 남편보다 아내에게 있는 경우 즉 아내의 위치가 남편의 위치보다 우위에 있을 때 아내에 의한 폭력행위가 발생하며 아내가 남편의 조기퇴직과 소득감소 등으로 생활상 경제적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 경우 그리고 아내의 잦은 음주 노출 등도 남편폭력의 발생 원인이 되었다, 아내의 남편폭력은 사회적 편견 등으로 인한 도움요청의 어려움, 개인의 폭력행위에 대한 잘못된 인식, 남편의 가정 내 위치, 음주, 자녀의 애착정도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내의 남편폭력도 범죄라는 사회적인 인식과 함께 국가와 지자체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아내의 남편폭력에 대한 원인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아내의 남편폭력 발생 원인에 대한 실태 및 사...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아내의 남편폭력에 대한 원인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아내의 남편폭력 발생 원인에 대한 실태 및 사례분석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아내의 남편폭력에 대한 실태분석 결과, 첫째, 가정폭력은 지난 3년간(2013∼2016) 지속적으로 증가했으며 가정폭력 유형 중 아내의 남편학대가 두 번째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피해자의 성별에 따른 피해현황을 분석한 결과 아내의 남편폭력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주로 신체적 폭력보다는 정서적 폭력이 많았고, 여성피해자에 비해 남성피해자는 20대 이하의 피해자가 눈에 띠게 늘어나고 있었다. 셋째, 폭력발생 원인은 여성, 남성 모두 주요한 폭력의 원인은 경제적인 이유였지만 특히 남성의 경우 자녀에 대한 애착 등으로 인하여 아내의 지속적인 폭력행위를 참고 견디는 경우도 많았다.
      다음으로, 아내의 남편폭력에 대한 사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아내의 남편폭력에 대한 자기 편향적 사고방식(Self–Serving bias)의 잘못된 폭력행위에 대한 인식과 사회적 편견 등이 발생 원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 내 경제권과 결정권 등이 남편보다 아내에게 있는 경우 즉 아내의 위치가 남편의 위치보다 우위에 있을 때 아내에 의한 폭력행위가 발생하며 아내가 남편의 조기퇴직과 소득감소 등으로 생활상 경제적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 경우 그리고 아내의 잦은 음주 노출 등도 남편폭력의 발생 원인이 되었다, 아내의 남편폭력은 사회적 편견 등으로 인한 도움요청의 어려움, 개인의 폭력행위에 대한 잘못된 인식, 남편의 가정 내 위치, 음주, 자녀의 애착정도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내의 남편폭력도 범죄라는 사회적인 인식과 함께 국가와 지자체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TV조선 시그널, "해를 거듭할수록 늘어나는 매맞는 남자들"

      2 치안정책연구소, "치안전망" 2018

      3 한인영, "위기개입" 나눔의 집 2008

      4 김남희, "알코올중독자 부부폭력 가해행동 영향요인 연구" 알코올과 건강행동학회 15 (15): 45-60, 2014

      5 김재엽, "아내폭력 재피해 경험이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관계망의 조절효과 - 가정폭력 행위자 교정·치료프로그램 참여 남성의 아내를 중심으로 -" 대한가정학회 46 (46): 85-95, 2008

      6 중앙일보, "아내에게 매 맞는 남자, 남자 중에 남자다?"

      7 이경자, "아내구타의 원인과 개입방안에 관한 소고" 2 (2): 95-112, 2005

      8 데일리한국, "아내가 때립니다"…상담소 찾는 남성, 2년 간 70% 증가"

      9 김재엽, "사회적 스트레스와 가정폭력에 관한 연구" 5 : 99-116, 1997

      10 장희숙, "배우자에게 폭력을 행사하는여성의 유형" 아시아교정포럼 10 (10): 229-258, 2016

      1 TV조선 시그널, "해를 거듭할수록 늘어나는 매맞는 남자들"

      2 치안정책연구소, "치안전망" 2018

      3 한인영, "위기개입" 나눔의 집 2008

      4 김남희, "알코올중독자 부부폭력 가해행동 영향요인 연구" 알코올과 건강행동학회 15 (15): 45-60, 2014

      5 김재엽, "아내폭력 재피해 경험이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관계망의 조절효과 - 가정폭력 행위자 교정·치료프로그램 참여 남성의 아내를 중심으로 -" 대한가정학회 46 (46): 85-95, 2008

      6 중앙일보, "아내에게 매 맞는 남자, 남자 중에 남자다?"

      7 이경자, "아내구타의 원인과 개입방안에 관한 소고" 2 (2): 95-112, 2005

      8 데일리한국, "아내가 때립니다"…상담소 찾는 남성, 2년 간 70% 증가"

      9 김재엽, "사회적 스트레스와 가정폭력에 관한 연구" 5 : 99-116, 1997

      10 장희숙, "배우자에게 폭력을 행사하는여성의 유형" 아시아교정포럼 10 (10): 229-258, 2016

      11 매일 종교신문, "매 맞는 남편이 늘고 있다"

      12 울산여성신문, "매 맞는 남편 급증 “여보야! 때리지만 마"

      13 문화일보, "말 못하는 냉가슴…’ 매맞는 남편, 2년 새 2배↑"

      14 오세연, "다문화가정의 가정폭력에 대한 경찰의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치안행정학회 7 (7): 285-309, 2010

      15 헤럴드 경제, "남성 10명 중 8명 데이트폭력’…매맞는 남편도 급증"

      16 박영수, "가정폭력의 현황과 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연구학회 15 (15): 89-112, 2016

      17 한국남성의 전화, "가정폭력사례"

      18 전소영, "가정폭력범죄 효율적인 사법처리를 위한 개선방안 검토 연구" 한국경찰연구학회 16 (16): 245-276, 2017

      19 권태연, "가구주의 음주행태와 심리적 특성이배우자 폭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 : 223-258, 2007

      20 "http://www.hani.co.kr/arti/society/women/795423.html"

      21 Carden, A. D., "Wife Abuse and the Wife Abuse: Review and Recommendation" 22 : 539-582, 1994

      22 Gelles, R. J., "The Violence Home" Sage 1974

      23 Steinmetz, S. K., "The Process of Relationship" West 1974

      24 Dutton, D. G., "The Domestic Assault of Woman"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1995

      25 Steinmetz, S. K., "The Battered Husband Syndrome" 2 : 499-509, 1978

      26 Levinger, George., "Sources of Marital Dissatisfaction Among Applicants for Divorce" 35 (35): 556-698, 1996

      27 Flannery, R. B.,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Trauma: A Methodological Review" 3 (3): 593-611, 1990

      28 Stark, E., "Post-Trauma Therapy and Victim of Violence" Brunner 115-151, 1987

      29 Straus, M. A., "Physical Violence in American Families" 1990

      30 Gelles, R. J., "Intimate Violence in Families" Sage 1985

      31 Renner, L. M., "Intimate Partner Violence and Child Maltreatment : Understanding intra and Intergenerational Connections" 30 (30): 599-617, 2006

      32 Brewster, M. P., "Handbook of Domestic Violence: Intervention Strategies" Oxford University Press 23-48, 2002

      33 여성가족부, "2016년 가정폭력 실태조사"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7-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경찰발전연구학회보 -> 한국경찰연구 KCI등재후보
      2009-03-1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경찰발전연구학회 -> 한국경찰연구학회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1.0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3 0.99 1.04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