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천주실의』에 대한 문학적 접근 - ‘스카즈(Сказ) 론’의 연구방법과 오리엔탈리즘을 중심으로 - = Literary access about "T`ien-chu shih-i" - Laying stress on method of study of 'Skaz-the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261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of this writing studies "T`ien-chu shih-i(天主實義)" disappointment literary. Investigate whether Matteo Ricci used some literary means through "T`ien-chu shih-i" disappointment, utterer of cloth cubital cells says that hold some phase.
      Presedent research from philosophical `religious’ cultural viewpoint about Lord of Heaven disappointment mainly in virtue study. But, in this paper, examine "T`ien-chu shih-i" disappointment literary.
      And it used ‘Skaz-theory' that is literature theory for this work. Structure of thousand cubital cells that examine literary in this learning can see as first attempt that Westerner who have sense of superiority for East see, and transplant West on East. Therefore, we find first bud of orientalism of cloth cubital cells. Matteo Ricci sees East on target who is skinny from though than West, and I wished to change this culture to European method. So, we can see Ricci on first Orientalrist that see East as formal attire and target of reconstruction the missionary work. Therefore, we confirmed foremost way that orientalism is expressed as literary western form through this writing.
      번역하기

      Purpose of this writing studies "T`ien-chu shih-i(天主實義)" disappointment literary. Investigate whether Matteo Ricci used some literary means through "T`ien-chu shih-i" disappointment, utterer of cloth cubital cells says that hold some phase. Pr...

      Purpose of this writing studies "T`ien-chu shih-i(天主實義)" disappointment literary. Investigate whether Matteo Ricci used some literary means through "T`ien-chu shih-i" disappointment, utterer of cloth cubital cells says that hold some phase.
      Presedent research from philosophical `religious’ cultural viewpoint about Lord of Heaven disappointment mainly in virtue study. But, in this paper, examine "T`ien-chu shih-i" disappointment literary.
      And it used ‘Skaz-theory' that is literature theory for this work. Structure of thousand cubital cells that examine literary in this learning can see as first attempt that Westerner who have sense of superiority for East see, and transplant West on East. Therefore, we find first bud of orientalism of cloth cubital cells. Matteo Ricci sees East on target who is skinny from though than West, and I wished to change this culture to European method. So, we can see Ricci on first Orientalrist that see East as formal attire and target of reconstruction the missionary work. Therefore, we confirmed foremost way that orientalism is expressed as literary western form through this writ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천주실의《天主實義, De Deo Verax Disputatio,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를 문학적으로 접근하는 데 있다. 곧 마테오 리치(Matteo Ricci)가 천주실의를 통해 어떠한 문학적 수단을 사용하였는지를 고찰하고, 천주실의의 발화자가 어떤 위상을 점하는지를 밝힌다.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천주실의에 대해 사상적․종교적․문화적 관점에서 연구하였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천주실의를 문학적으로 살펴본다. 이 작업을 위해 문학이론인 ‘스카즈론'을 사용한다.
      스카즈론이란 러시아문학이론이다. 스카즈가 ‘1. 설화, 이야기 2. 구비문학 중의 이야기, 설화' 라는 뜻에서 출발하여, 일반적인 소설의 소통 상황인 "작가-서술자-독자"의 구조를, "작가-화자-청자-독자"의 구조로 특정화하여, 각자 독자적인 인격체로 활성화시킨다. 또한 작품 내 숨어있는 작가의 의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글에서 문학적으로 살펴본 천주실의의 구조는, 동양에 대한 우월감을 지닌 서양인이, 동양에 서양을 이식시키려는 첫 시도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천주실의에서 오리엔탈리즘의 최초 맹아를 발견한다. 리치는 동양을 서양에 비해 사상적으로 열등한 대상으로 보고, 이 문화를 서양의 방식으로 바꾸고자 하였다. 그래서 리치를 동양을 선교적 정복과 개조의 대상으로 본 최초의 오리엔탈리스트로 볼 수도 있다. 따라서 우리는 이 글을 통해 오리엔탈리즘이 문학적 양식으로 표출되는 최초의 방식을 확인한다.
      번역하기

      이 글의 목적은 천주실의《天主實義, De Deo Verax Disputatio,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를 문학적으로 접근하는 데 있다. 곧 마테오 리치(Matteo Ricci)가 천주실의를 통해 어떠한 문학적 수단을 ...

      이 글의 목적은 천주실의《天主實義, De Deo Verax Disputatio,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를 문학적으로 접근하는 데 있다. 곧 마테오 리치(Matteo Ricci)가 천주실의를 통해 어떠한 문학적 수단을 사용하였는지를 고찰하고, 천주실의의 발화자가 어떤 위상을 점하는지를 밝힌다.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천주실의에 대해 사상적․종교적․문화적 관점에서 연구하였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천주실의를 문학적으로 살펴본다. 이 작업을 위해 문학이론인 ‘스카즈론'을 사용한다.
      스카즈론이란 러시아문학이론이다. 스카즈가 ‘1. 설화, 이야기 2. 구비문학 중의 이야기, 설화' 라는 뜻에서 출발하여, 일반적인 소설의 소통 상황인 "작가-서술자-독자"의 구조를, "작가-화자-청자-독자"의 구조로 특정화하여, 각자 독자적인 인격체로 활성화시킨다. 또한 작품 내 숨어있는 작가의 의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글에서 문학적으로 살펴본 천주실의의 구조는, 동양에 대한 우월감을 지닌 서양인이, 동양에 서양을 이식시키려는 첫 시도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천주실의에서 오리엔탈리즘의 최초 맹아를 발견한다. 리치는 동양을 서양에 비해 사상적으로 열등한 대상으로 보고, 이 문화를 서양의 방식으로 바꾸고자 하였다. 그래서 리치를 동양을 선교적 정복과 개조의 대상으로 본 최초의 오리엔탈리스트로 볼 수도 있다. 따라서 우리는 이 글을 통해 오리엔탈리즘이 문학적 양식으로 표출되는 최초의 방식을 확인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명수, "??천주실의?? 에 나타난 아퀴나스 신학과 마테오 리치의 성리학 이해에 대한 비판-리(理)와 천주의 개념을 중심으로-" 철학사상연구소 (28) : 161-211, 2008

      2 高大러시아文化硏究所, "露韓辭典" 一念 2002

      3 윤민구, "한국초기 교회에 관한 교황청 자료모음집" 가톨릭출판사 2000

      4 샤를르 달레, "한국천구교회사 상-하" 분도출판사 1979

      5 레오 엘러스, "토마스 아퀴나스의 형이상학" 가톨릭출판사 2003

      6 경향잡지 편집부, "텬쥬교 회보"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경향잡지) 6 : 1912

      7 송영배, "천주실의의 내용과 의미"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1993

      8 나일주, "천주실의와 다산의 세계관" 서울대 교육사학회 2 : 1990

      9 최석우, "천주실의에 대한 한국유학자의 견해" 서강대 동아연구소 3 : 1983

      10 이원옥, "천주실의에 나타난 마테오 리치의 신학사상" 국민대학교 1996

      1 양명수, "??천주실의?? 에 나타난 아퀴나스 신학과 마테오 리치의 성리학 이해에 대한 비판-리(理)와 천주의 개념을 중심으로-" 철학사상연구소 (28) : 161-211, 2008

      2 高大러시아文化硏究所, "露韓辭典" 一念 2002

      3 윤민구, "한국초기 교회에 관한 교황청 자료모음집" 가톨릭출판사 2000

      4 샤를르 달레, "한국천구교회사 상-하" 분도출판사 1979

      5 레오 엘러스, "토마스 아퀴나스의 형이상학" 가톨릭출판사 2003

      6 경향잡지 편집부, "텬쥬교 회보"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경향잡지) 6 : 1912

      7 송영배, "천주실의의 내용과 의미"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1993

      8 나일주, "천주실의와 다산의 세계관" 서울대 교육사학회 2 : 1990

      9 최석우, "천주실의에 대한 한국유학자의 견해" 서강대 동아연구소 3 : 1983

      10 이원옥, "천주실의에 나타난 마테오 리치의 신학사상" 국민대학교 1996

      11 이수웅, "천주실의 연구서설" 안동대학교 5 : 1983

      12 이수웅, "천주실의 연구서설" 6 :

      13 차기진, "천주실의" 한국교회사연구소 155 : 1988

      14 利瑪竇, "천주실의" 분도출판사 1984

      15 임찬순, "천주교와 유교의 영혼에 관하여- 천주실의 영언려작 서학변을중심으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

      16 전상운, "중화(中華)적 세계관이 우르르-마테오 리치 충격파" 62 : 1991

      17 서양자, "중국천주교회사" 가톨릭신문사 2001

      18 최양자, "중국천주교회사" 가톨릭출판사 2001

      19 한스 큉, "중국종교와 그리스도교" 분도출판사 1994

      20 왕치심, "중국종교사상사" 이론과 실천 1988

      21 주겸지, "중국이 만든 유럽의 근대" 청계 2003

      22 존 로스, "중국선교방법론" 한신대학교출판부 2003

      23 홍성현, "중국교회의 전기와 새로운 중국의 신학" 한울 1992

      24 이병길, "중국 선교의 어제와 오늘" 개혁주의신행협회 1987

      25 도날드 베이커, "조선후기 유교와 천주교의 대립" 이조각 2000

      26 금장태, "조선후기 서학와 유교"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27 강재언, "조선의 서학사" 민음사 1990

      28 이원순, "조선서학사연구" 일지사 1986

      29 최재건, "조선 후기 서학의 수용과 발전" 한들출판사 2005

      30 Bahtin, M. M., "장편소설과 민중언어" 창작과비평사 1994

      31 신용철, "이탁오(李卓五)와 마테오 리치의 교우(交友)에 관하여-16세기 동서문화접촉의 한 가교(架橋)" 명청사학회 3 : 1994

      32 김재영, "유교와 천주실의에 나타난 천관 비교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04

      33 줄리아 칭, "유교와 그리스도교" 분도출판사 1994

      34 후안 카트레트, "예수회 역사" 이냐시오영성연구소 1994

      35 백민정, "심성론(心性論)을 중심으로 본 정약용과 마테오 리치 사이의 관계" 국학연구원 (136) : 357-385, 2006

      36 달쏘 G., "신학대전 요약" 2001

      37 토마스 아퀴나스, "신학대전 1-11" 성바오로출판사 1985

      38 변현태, "스까즈 연구-고골,레스꼬프,바벨,조센꼬의 작품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1994

      39 경향잡지 편집부, "슌텬경됴왕 홍린이 리마두를 위하야 특별히 지은 비긔(쇽)"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경향잡지) 6 : 1912

      40 프란츤. A, "세계 교회사" 분도출판사 2001

      41 주재용, "선유의 천주사상과 제사문제" 가톨릭출판사 1958

      42 신후담, "서학변" 아세아문화사 2006

      43 강재언, "서양과 조선-그 이문화 격투의 역사" 학고재 1998

      44 빈센트 콜린, "서방에서 온 현자-마테오 리치의 생애와 중국전교" 분도출판사 1994

      45 김상근, "복음과 문화의 관계를 새롭게 해석한 마테오 리치" 대한기독교서회 554 : 2005

      46 이만채, "벽위편(闢衛編)-한국천주교박해사" 명문당 1987

      47 Bahtin, M. M., "바흐찐의 소설미학" 열린책들 1988

      48 문규현, "민족과 함께 쓰는 한국교회사 Ⅰ~Ⅲ" 빛두레 1994

      49 Bahtin, M. M., "문예학의 형식적 방법" 문예출판사 1992

      50 최소자, "명청시대 서학수용" 삼영사 1987

      51 심상태, "명말청초 예수會士들의 補儒論과 性理學批判" 한국교회사연구소 6 : 1988

      52 김량선, "명말청초 야소회선교사들이 제작한 세계지도 in: 한국천주교회사논문선집" 교회사연구소 1987

      53 蔡億坤, "맛테오 리치(Matteo Ricci)의 유학관" 고려대학교 1993

      54 Bahtin, M. M, "말의 미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55 박성래, "마테오 릿치와 한국의 서양과학 수용" 312 : 1969

      56 양천욱, "마테오 리치의 천주실의에 나타난 천주론- 신학대전에 기초한 이성과 신앙의 빛 안에서" 서강대학교 2000

      57 이선화, "마테오 리치의 중국선교와 유교 수용" 경북대학교 1996

      58 김수경, "마테오 리치의 중국선교방법을 통한 현대 중국선교의 바람직한 방향고찰" 장로회신학대학교 2005

      59 이상규, "마테오 리치의 중국선교"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17 : 2009

      60 김기협, "마테오 리치의 중국관과 補儒易佛論" 연세대학교 1993

      61 송영배, "마테오 리치의 중국 전교와 그의 유교관"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7 : 1994

      62 박영신, "마테오 리치의 적응주의적 선교방법에 관한 일고찰" 숙명여자대학교 1995

      63 황종렬, "마테오 리치의 적응주의 선교의 신학적 의의와 한계" 한국교회사연구소 20 : 2003

      64 이재신, "마테오 리치의 세계지도가 중국인의 공간관에 끼친 영향" 연세대학교 2008

      65 송영배, "마테오 리치의 서학과 한국 실학의 현대적 의미" 대동문화연구원 11 (11): 287-314, 2004

      66 김상근, "마테오 리치의 [천주실의]에 나타나 16세기 후반 예수회 대학의 교과과정과 예수회 토미즘(Jesuit Thomism)의 영향" 한국기독교학회 (40) : 291-312, 2005

      67 한연정, "마테오 리치와 교류한 한인사대부" 명청사학회 14 : 2001

      68 송영배, "마테오 리치가 소개한 서양학문관의 의미" 한국실학학회 (17) : 7-41, 2009

      69 한연정, "마테오 리치가 만난 한인 사대부에 대한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1999

      70 안대옥, "마테오 리치(利瑪竇)와 補儒論" 동양사학회 (106) : 117-158, 2009

      71 이향만, "마테오 리치 선교 용어의 논리와 의미론적 문제점" 한국교회사연구소 15 : 2000

      72 조너선 D. 스펜서, "마테오 리치 기억의 궁전" 아산 2002

      73 소현수, "마테오 리치" 서강대학교출판부 1996

      74 히라카와 스케히로(平川祐弘), "마테오 리치" 동아시아 2002

      75 시마다겐지(島田簢次), "마테오 리치" 동아시아 2002

      76 경향잡지 편집부, "리마두" 7 : 1913

      77 이건수, "러시아 형식주의의 형식개념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1

      78 송영배, "동서철학의 교섭과 동서양 사유 방식의 차이" 논형 2004

      79 김상근, "동서문화의 교류와 예수회 선교역사" 한들 2006

      80 최소자, "동서문화교류사연구-명ㆍ청시대 서학수용" 삼영사 1987

      81 프랑케. W, "동서문화교류사" 단국대학교 출판부 1986

      82 금장태, "동서교섭과 근대한국사상의 추이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1979

      83 금장태, "동서교섭과 근대한국사상"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84

      84 Bahtin, M. M., "도스또예프스키 시학의 제문제" 정음사 1988

      85 송의원, "다산 정약용의 천 개념 연구: 천주실의(天主實義)와 중용강의보(中庸講義補)를 중심으로" 백석대학교 2007

      86 김정상, "다산 정약용의 서학수용에 관한 연구「‘천주실의’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1993

      87 금장태, "논문 : 다산의 심개념과 마테오 릿치의 영혼론" 종교문제연구소 (8) : 63-94, 2002

      88 장정란, "그리스도교의 중국 전래와 동서 문화의 대립" 부산교회사연구소 1997

      89 김상근, "그들도 우리처럼-페루 종교와 문화에 대한 초기 예수회 선교사 호세데 아코스타의 이해와 오해" 연세대학교연학신학대학원 28 : 2004

      90 오도넬 R., "게 쓴 토마스 아퀴나스 철학" 가톨릭출판사 2000

      91 潘鳳娟, "西來孔子 艾儒略" 聖經資源中心 2002

      92 Standaert N., "耶蘇會羅馬檔案館明淸天主敎文獻" 李氏學社 2002

      93 左伯好郞, "淸朝基督敎の硏究" 春秋社 1949

      94 劉家駒, "淸朝初期的中韓關係" 臺灣文史哲出版社 1986

      95 徐宗澤, "明淸間耶蘇會士譯著提要" 上海書店 1994

      96 鄭安德, "明末淸初耶蘇會思想史彙編" 北京大學宗敎硏究所 2003

      97 孫尙楊, "明末天主敎與儒學的交流和衝突" 華東師範大學出版社 1999

      98 徐光啓, "明末天主敎三柱石文箋注" 道風書社 2007

      99 李之藻, "天學初函" 台北 學生書局 1965

      100 張曉林, "天主實義與中國學流" 學林出版社 2004

      101 한국교회사연구소, "天主實義 附 텬주실의" 광덕사 1972

      102 利瑪竇, "天主實義"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

      103 李之藻, "天主實義" 아세아문화사 1976

      104 願衛民, "基督敎與近代中國社會" 上海人民出版社 1996

      105 利瑪竇, "利瑪竇全集 1-4" 台北 光啓 1986

      106 顧長聲, "利瑪竇傳" 學生書局 1979

      107 利瑪竇, "利瑪竇中國札記" 中和書局 1983

      108 何其敏, "中國明代宗敎史" 人民出版社 1994

      109 Bahtin, M. M, "Problem of Dostoevsky's Poetics" Minnesota Press 1984

      110 도날드 베이커, "Neo-Confucians Confront Theism-Korean Reaction to MatteoRicci's Arguments for the Existence of God" 서강대학교동아연구소 3 : 1983

      111 박종명, "Matteo Ricci의 천주이해와 한국인의 하느님 이해" 한신대학교 1996

      112 류은정, "Matteo Ricci의 중국인식과 상응주의 선교방법론 고찰"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1998

      113 유은정, "Matteo Ricci의 中國認識과 適應主義 宣敎方法論 고찰"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1998

      114 김동찬, "Matteo Ricci의 中國 宣敎와 補儒論-天主實義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1973

      115 Gernet.J, "Matteo Ricci와 1600년대 중국의 사상동향" 6 : 1972

      116 Spalatin.Charistopher A, "Matheo Ricci's Understanding of Low Confucianism" 서강대학교동아연구소 3 : 1983

      117 Josep Sebes, "Father Matheo Ricci,S.J.:An Intellectual Biography" 서강대학교동아연구소 3 : 1983

      118 Toshihiko Yazawa, "Father Matheo Ricci's World Map and Its Influrence on EastAsia" 서강대학교동아연구소 3 : 1983

      119 박근예, "1920년대 문학 담론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06

      120 송영배, "17세기(明末)마테오 리치(利瑪竇)의 중국전교와 유교관"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3 :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4 0.64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 1.236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