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연안활동장소의 위험도 평가체계 수립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692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안안전사고는 인적과실이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높고 같은 요인에 의한 사고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특징이 나타나고 있다. 이들 장소를 중심으로 관리기관에서는 사고 예방을 위한 각종 대비책을 마련하여 시행하고 있으나 제한된 예산에 따른 안전시설물 및 안전관리 인력의 부족과 기상청 기상특보에 의존하고 있는 연안안전사고 위험 예보제 운용체계의 한계 등으로 선제적·능동적 대응력이 많이 떨어지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안안전사고 발생 이후의 수습 중심 안전관리체계에서 안전사고 발생 이전에 사고 유발요소의 관리와 위험도 예측·평가, 사고발생 이후의 대응 및 경감대책을 시행할 수 있는 선제적, 능동적 연안안전 관리체계 구축기반 마련의 일환으로 연안활동장소의 위험도 평가체계를 수립·제안하였다. 2017년 이후의 연안안전사고 현황 분석을 통해 연안활동장소별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주요 위험요인을 식별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위험도 평가를 위한 주요 평가인자 및 지표를 설정하였다. 제안된 위험도 평가 방법론은 해양경찰청에서 지정·관리되고 있는 주요 40개 위험구역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번역하기

      연안안전사고는 인적과실이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높고 같은 요인에 의한 사고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특징이 나타나고 있다. 이들 장소를 중심으로 관리기관에서는 사고 예방을 위한 각종...

      연안안전사고는 인적과실이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높고 같은 요인에 의한 사고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특징이 나타나고 있다. 이들 장소를 중심으로 관리기관에서는 사고 예방을 위한 각종 대비책을 마련하여 시행하고 있으나 제한된 예산에 따른 안전시설물 및 안전관리 인력의 부족과 기상청 기상특보에 의존하고 있는 연안안전사고 위험 예보제 운용체계의 한계 등으로 선제적·능동적 대응력이 많이 떨어지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안안전사고 발생 이후의 수습 중심 안전관리체계에서 안전사고 발생 이전에 사고 유발요소의 관리와 위험도 예측·평가, 사고발생 이후의 대응 및 경감대책을 시행할 수 있는 선제적, 능동적 연안안전 관리체계 구축기반 마련의 일환으로 연안활동장소의 위험도 평가체계를 수립·제안하였다. 2017년 이후의 연안안전사고 현황 분석을 통해 연안활동장소별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주요 위험요인을 식별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위험도 평가를 위한 주요 평가인자 및 지표를 설정하였다. 제안된 위험도 평가 방법론은 해양경찰청에서 지정·관리되고 있는 주요 40개 위험구역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astal safety accidents are characterized by a high proportion of human negligence and repeated occurrences of accidents caused by the same factors. The Korea Coast Guard prepares and implements various countermeasures to prevent accidents at coastal safety accident sites. However, there is a shortage of safety facilities and safety management personnel according to the limited budget. In addition, the ability to be proactively and proactively respond is low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coastal safety accident risk forecasting system, which relies on the meteorological warning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In this study, as part of preparing the foundation for establishing a preemptive and active coastal safety management system that can manage accident-causing factors, predict and evaluate risk, and implement response and mitigation measures after an accident occurs before coastal safety accidents occur. The establishment of a risk assessment system was proposed. The main evaluation factors and indicators for risk assessment were establish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tatus of coastal safety accidents. The risk assessment methodology was applied to 40 major hazardous areas designated and managed by the Korea Coast Guard.
      번역하기

      Coastal safety accidents are characterized by a high proportion of human negligence and repeated occurrences of accidents caused by the same factors. The Korea Coast Guard prepares and implements various countermeasures to prevent accidents at coastal...

      Coastal safety accidents are characterized by a high proportion of human negligence and repeated occurrences of accidents caused by the same factors. The Korea Coast Guard prepares and implements various countermeasures to prevent accidents at coastal safety accident sites. However, there is a shortage of safety facilities and safety management personnel according to the limited budget. In addition, the ability to be proactively and proactively respond is low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coastal safety accident risk forecasting system, which relies on the meteorological warning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In this study, as part of preparing the foundation for establishing a preemptive and active coastal safety management system that can manage accident-causing factors, predict and evaluate risk, and implement response and mitigation measures after an accident occurs before coastal safety accidents occur. The establishment of a risk assessment system was proposed. The main evaluation factors and indicators for risk assessment were establish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tatus of coastal safety accidents. The risk assessment methodology was applied to 40 major hazardous areas designated and managed by the Korea Coast Guar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지
      • Abstract
      • 1. 서론
      • 2. 위험도 평가 사례 분석
      • 3. 연안안전사고 위험요인 식별
      • 요지
      • Abstract
      • 1. 서론
      • 2. 위험도 평가 사례 분석
      • 3. 연안안전사고 위험요인 식별
      • 4. 위험도 평가체계 수립 및 적용
      • 5.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두석, "연안사고 예방을 위한연안해역 안전관리 강화방안" 한국치안행정학회 16 (16): 19-46, 2019

      2 송창영, "국내 연안사고의 안전관리에 대한 개선방안 제시"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3 (23): 95-103, 2019

      3 Carvalho, R. C., "Morphological Exposure of Rocky Platforms : Filling the Hazard Gap Using UAVs" 3 : 42-, 2019

      4 이영재, "Development of Risk Rating and Index for Coastal Activity Locations" 해양환경안전학회 26 (26): 227-232, 2020

      5 Korea Coast Guard, "Coastal Safety and Risk Quantification Study to Prepare Indicators for Coastal Risk Assessment" 2018

      6 Tweed Shire Council, "Coastal Public Safety Risk Assessment Main Report-Risk Assessment and Treatment Plan 2018Fingal Head" 2018

      7 Satta, A., "Application of a Multi-Scale Coastal Risk Index at Regional and Local Scale in the Mediterranean" 2015

      8 Ministry of Ocean and Fisheries,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Coastal Safety Index" 2019

      9 Ministry of Ocean and Fisheries,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Coastal Safety Index" 2017

      10 MPSS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Marine Security Headquarters, "A Study on Efficient Coastal Safety Management for Prevention of Coastal Safety Accidents" 2016

      1 김두석, "연안사고 예방을 위한연안해역 안전관리 강화방안" 한국치안행정학회 16 (16): 19-46, 2019

      2 송창영, "국내 연안사고의 안전관리에 대한 개선방안 제시"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3 (23): 95-103, 2019

      3 Carvalho, R. C., "Morphological Exposure of Rocky Platforms : Filling the Hazard Gap Using UAVs" 3 : 42-, 2019

      4 이영재, "Development of Risk Rating and Index for Coastal Activity Locations" 해양환경안전학회 26 (26): 227-232, 2020

      5 Korea Coast Guard, "Coastal Safety and Risk Quantification Study to Prepare Indicators for Coastal Risk Assessment" 2018

      6 Tweed Shire Council, "Coastal Public Safety Risk Assessment Main Report-Risk Assessment and Treatment Plan 2018Fingal Head" 2018

      7 Satta, A., "Application of a Multi-Scale Coastal Risk Index at Regional and Local Scale in the Mediterranean" 2015

      8 Ministry of Ocean and Fisheries,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Coastal Safety Index" 2019

      9 Ministry of Ocean and Fisheries,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Coastal Safety Index" 2017

      10 MPSS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Marine Security Headquarters, "A Study on Efficient Coastal Safety Management for Prevention of Coastal Safety Accidents"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2-2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7 0.608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