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포장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활용방안 연구  :  (Estabilishment of the Database of Pavement and its Appli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247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the main algorithm of prioritization and alternative selection of the maintenance and rehabilitation, and to associate the algorithm with the database of pavement. Emphasis is laid on developing a simple algorithm and a flexible decision criteria so that the users can use the PMS without practical difficulty. The algorithm is designed in such a way that the users can modify the decision criteria, if necessary, and make the final decision in both network and project level.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the main algorithm of prioritization and alternative selection of the maintenance and rehabilitation, and to associate the algorithm with the database of pavement. Emphasis is laid on developing a simple algor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the main algorithm of prioritization and alternative selection of the maintenance and rehabilitation, and to associate the algorithm with the database of pavement. Emphasis is laid on developing a simple algorithm and a flexible decision criteria so that the users can use the PMS without practical difficulty. The algorithm is designed in such a way that the users can modify the decision criteria, if necessary, and make the final decision in both network and project leve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 포장의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해 PMS의 핵심 기능인 보수 우선순위 및 공법결정 논리를 개발하고 포장현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PMS의 주 논리인 보수우선순위 및 보수공법결정에 관련된 각 항목들의 criteria는 기술자의 판단에 의해서 쉽게 수정할 수 있도록 하여 좀더 유연한 운영을 할 수 있도록 하였고, 보수공법 결정에 있어서도 기계적인 알고리즘에 의한 보수공법결정체계의 경직성을 보완하기 위해, 제시된 보수공법의 적절성을 PMS운영자가 직접 확인하고 필요시 현장실사 또는 정밀조사를 통해 보수공법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 포장의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해 PMS의 핵심 기능인 보수 우선순위 및 공법결정 논리를 개발하고 포장현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PMS의 주 논리인 보수우선순...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 포장의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해 PMS의 핵심 기능인 보수 우선순위 및 공법결정 논리를 개발하고 포장현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PMS의 주 논리인 보수우선순위 및 보수공법결정에 관련된 각 항목들의 criteria는 기술자의 판단에 의해서 쉽게 수정할 수 있도록 하여 좀더 유연한 운영을 할 수 있도록 하였고, 보수공법 결정에 있어서도 기계적인 알고리즘에 의한 보수공법결정체계의 경직성을 보완하기 위해, 제시된 보수공법의 적절성을 PMS운영자가 직접 확인하고 필요시 현장실사 또는 정밀조사를 통해 보수공법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요약문
      • ABSTRACT
      • 제1장 서론
      • 1.1 연구배경 및 목적
      • 목차
      • 요약문
      • ABSTRACT
      • 제1장 서론
      • 1.1 연구배경 및 목적
      • 1.2 연구범위
      • 1.2.1 전체 연구의 범위
      • 1.2.2 제 1단계 연구내용(1999년)
      • 1.2.3 제 2단계 연구내용(2000년)
      • 제2장 고속도로 포장관리시스템 개발의 기본방향
      • 2.1 간단하고 유연한 논리구성
      • 2.2 최종 보수공법 결정시 실무자의견 반영
      • 2.3 단위구간(Unit section)의 크기
      • 2.4 포장상태 조사결과의 표준화
      • 2.5 현황 조회 기능의 강화
      • 2.6 연약지반 특별관리 구간
      • 2.7 기타 사항
      • 2.7.1 절삭구간의 처리
      • 2.7.2 고속도로 이정(Km-Post) 오차 문제
      • 제3장 고속도로 포장관리시스템 논리 개발
      • 3.1 보수우선순위 및 공법결정의 기본논리
      • 3.1.1 보수우선순위 결정논리
      • 3.1.2 보수공법 결정논리
      • 3.2 포장관리시스템과 GIS 연계
      • 3.3 포장조사장비와 GPS 연계
      • 3.4 합성지수 HPCI의 적용성 평가
      • 3.4.1 기존 포장관리시스템의 HPCI 산출식
      • 3.4.2 단위구간 길이 변화에 따른 HPCI 산출식의 보완
      • 3.4.3 HPCI 변수들의 민감도 분석범위
      • 3.4.4 HPCI 입력변수 민감도분석
      • 3.4.5 요약
      • 3.5 데이터베이스 설계
      • 3.5.1 단위구간 길이 변화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내용의 변화
      • 3.5.2 데이터베이스 내용
      • 제4장 포장파손예측 모형
      • 4.1 개요
      • 4.1.1 포장파손예측 모델의 필요성
      • 4.1.2 포장퐈손예측 모텔의 분류 (HASS, 1994)
      • 4.2 고속도로 포장관리시스템의 포장파손예측모형
      • 4.2.1 아스팔트 포장
      • 4.2.2 콘크리트 포장
      • 4.3 포장파손예측모델의 적용
      • 제5장 고속도로 포장관리시스템 주논리 전산화
      • 5.1 고속도로 포장관리시스템 전산화 개요
      • 5.2 시스템구축환경
      • 5.3 전체적인 업무 흐름
      • 5.4 프로그램 주요 화면내용
      • 5.4.1 접속화면
      • 5.4.2 초기 메인화면
      • 5.4.3 코드관리 화면
      • 5.4.4 노선관리 화면
      • 5.4.5 관리조직 화면
      • 5.4.6 공구일반현황
      • 5.4.7 포장단면현황
      • 5.4.8 시설물 현황
      • 5.4.9 TCS구간 관리 (교통량)
      • 5.4.10 기후자료
      • 5.4.11 사업계획 요청구간
      • 5.4.12 본선 조사자료
      • 5.4.13 본선 조사자료 도형보기
      • 5.4.14 본선 조사자료분석 기준
      • 5.4.15 동질성구간 압축
      • 5.4.16 본선외 조사자료
      • 5.4.17 사업계획 조정구간
      • 5.4.18 보수실적
      • 5.4.19 연약지반 구간관리
      • 5.4.20 LTPP 관리
      • 5.4.21 포장상태 예측분석
      • 제6장 고속도로 포장관리시스템 시험가동및 보수공법 결정논리 보완
      • 6.1 포장상태 현장조사
      • 6.1.1 현장조사 개요
      • 6.1.2 분석 방법
      • 6.2 조사 후 현장실사
      • 6.2.1 현장실사 개요
      • 6.2.2 현장실사 결과
      • 6.3 포장상태 조사시 문제점 및 보완사항
      • 6.4 보수공법 결정도표의 경계값(Decision Value)
      • 6.4.1 Decision value 결정 방법
      • 6.4.2 시험구간 포장상태 조사결과의 적용
      • 제7장 고속도로 포장관리시스템 운영 지침
      • 7.1 고속도로 포장잔리시스템 운영 절차
      • 7.1.1 당해년도 포장관리시스템 운영계획수립
      • 7.1.2 데이터베이스의 보완
      • 7.1.3 조사대상구간 선정
      • 7.1.4 포장상태 조사 및 조사결과의 정리
      • 7.1.5 포장관리시스템 전산시스템 운영
      • 7.1.6 출력결과의 실무자확인 및 조정
      • 7.1.7 예산확보
      • 7.1.8 포장관리시스템 운영에 대한 문제점 도출
      • 7.2 포장상태 현장 조사
      • 7.2.1 자동포장상태조사 장비의 활용
      • 7.2.2 포장상태 조사시 고려사항
      • 제8장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