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생성형 AI 기반 인사관리 시스템 사용 의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intention to use Generative AI-based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3832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기존 인사담당자의 직관과 통제에 의한 폐쇄적 인사관리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생성형 AI기반 인사관리시스템(Generative AI-based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GAI-HRMS)의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실증적 연구로써, 정보시스템 성공 모델과 기술 수용 모델을 기반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챗봇 등 생성형 AI 사용경험을 갖고 있으며, 인사관리 시스템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계층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유효설문 150부를 IBM SPSS 22.0를 활용한 실증분석 결과, 독립변수인 편리성, 보안성, 적합성, 접근성, 가치성은 지각된 사용 용이성에 그리고, 편리성, 적합성, 일관성, 접근성, 가치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매개변수인 지각된 사용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 모두 사용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담당자의 직관에 의한 판단 오류를 최소화함으로써 효율적인 인적자원 관리의 해법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 GAI-HRMS 사용 의도에 관한 비교적 선행 연구로서 의의와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기존 인사담당자의 직관과 통제에 의한 폐쇄적 인사관리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생성형 AI기반 인사관리시스템(Generative AI-based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GAI...

      본 연구는 기존 인사담당자의 직관과 통제에 의한 폐쇄적 인사관리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생성형 AI기반 인사관리시스템(Generative AI-based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GAI-HRMS)의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실증적 연구로써, 정보시스템 성공 모델과 기술 수용 모델을 기반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챗봇 등 생성형 AI 사용경험을 갖고 있으며, 인사관리 시스템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계층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유효설문 150부를 IBM SPSS 22.0를 활용한 실증분석 결과, 독립변수인 편리성, 보안성, 적합성, 접근성, 가치성은 지각된 사용 용이성에 그리고, 편리성, 적합성, 일관성, 접근성, 가치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매개변수인 지각된 사용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 모두 사용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담당자의 직관에 의한 판단 오류를 최소화함으로써 효율적인 인적자원 관리의 해법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 GAI-HRMS 사용 의도에 관한 비교적 선행 연구로서 의의와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the Generative AI-based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GAI-HRMS), which is suggested as an alternative to overcoming the closed human management limitations by intuition and control of existing human resources managers. Based on the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 an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research models and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ose who have experience using Generative AI such as chatbots, and those who have used human resources management systems.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using IBM SPSS 22.0 for 150 valid surveys, the independent variables convenience, security, suitability, accessibility, and value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ease of use, and convenience, suitability, consistency, accessibility, and value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Both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which are parameter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presented significance and practical implications as a relatively previous study on the intention to use GAI-HRMS, which argues that it can be a solution to effici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by minimizing judgment errors based on the intuition of the person in charge.
      번역하기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the Generative AI-based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GAI-HRMS), which is suggested as an alternative to overcoming the closed human management limitations by intuition...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the Generative AI-based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GAI-HRMS), which is suggested as an alternative to overcoming the closed human management limitations by intuition and control of existing human resources managers. Based on the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 an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research models and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ose who have experience using Generative AI such as chatbots, and those who have used human resources management systems.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using IBM SPSS 22.0 for 150 valid surveys, the independent variables convenience, security, suitability, accessibility, and value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ease of use, and convenience, suitability, consistency, accessibility, and value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Both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which are parameter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presented significance and practical implications as a relatively previous study on the intention to use GAI-HRMS, which argues that it can be a solution to effici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by minimizing judgment errors based on the intuition of the person in charg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