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추상화의 총체적 지배: 아도르노의 교환사회 개념과 정치경제학 비판 = Total Domination of Abstraction: Adorno’s Concept of Exchange Society and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122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undeniable that capitalism is the first determination for human beings. What is the social domination that occurs in a society where economic principles have become a necessity?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paper focuses on Adorno’s philosophy, especially his social theory and critique of political economies, which criticize the abstraction of exchange principles. The abstract domination that Adorno attempts to clarify is the universal mediation of exchange, a social model of identity principles that have become a natural order. Structural violence and social a priori conditions and objectively synthesizes individual experiences. Abstract domination is conceptualized as real abstraction in Adorno’s critique of political economies. This means that abstraction is not an epistemological category, like subjective projection, but a social category, the general form of a false society and capitalist totality that reduces everything into exchangeable objects.
      번역하기

      It is undeniable that capitalism is the first determination for human beings. What is the social domination that occurs in a society where economic principles have become a necessity?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paper focuses on Adorno’s philosoph...

      It is undeniable that capitalism is the first determination for human beings. What is the social domination that occurs in a society where economic principles have become a necessity?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paper focuses on Adorno’s philosophy, especially his social theory and critique of political economies, which criticize the abstraction of exchange principles. The abstract domination that Adorno attempts to clarify is the universal mediation of exchange, a social model of identity principles that have become a natural order. Structural violence and social a priori conditions and objectively synthesizes individual experiences. Abstract domination is conceptualized as real abstraction in Adorno’s critique of political economies. This means that abstraction is not an epistemological category, like subjective projection, but a social category, the general form of a false society and capitalist totality that reduces everything into exchangeable objec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자본주의가 인간에 대한 제1규정이라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렇다면 경제를 중심으로 동근원화된 사회에서 발생하는 인간에 대한 사회적 지배란 무엇인가?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해 이 글은 아도르노의 철학, 그중에서도 교환원칙의 추상화를 비판하는 사회이론과 그의 정치경제학 비판에 주목한다. 아도르노가 규명하는 추상적 지배란 자연적 질서가 돼버린 동일성 원칙의 사회적 모델인 교환 추상화의 보편적 매개를 의미한다. 그것은 구조의 살아 움직이는 폭력이자, 개인의 경험을 조건 짓고 객관적으로 종합하는 사회적 아 프리오리이다. 추상적 지배는 아도르노의 정치경제학 비판에서 실재 추상화로 개념화된다. 이는 추상화가 주관적 투사와 같은 인식론적 범주만이 아니라 사회적 범주, 즉 모든 것을 교환 가능한 대상으로 만드는 잘못된 사회의 보편적 형식이자 자본주의적 총체성임을 의미한다.
      번역하기

      자본주의가 인간에 대한 제1규정이라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렇다면 경제를 중심으로 동근원화된 사회에서 발생하는 인간에 대한 사회적 지배란 무엇인가? 이 물음에 답하기 위...

      자본주의가 인간에 대한 제1규정이라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렇다면 경제를 중심으로 동근원화된 사회에서 발생하는 인간에 대한 사회적 지배란 무엇인가?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해 이 글은 아도르노의 철학, 그중에서도 교환원칙의 추상화를 비판하는 사회이론과 그의 정치경제학 비판에 주목한다. 아도르노가 규명하는 추상적 지배란 자연적 질서가 돼버린 동일성 원칙의 사회적 모델인 교환 추상화의 보편적 매개를 의미한다. 그것은 구조의 살아 움직이는 폭력이자, 개인의 경험을 조건 짓고 객관적으로 종합하는 사회적 아 프리오리이다. 추상적 지배는 아도르노의 정치경제학 비판에서 실재 추상화로 개념화된다. 이는 추상화가 주관적 투사와 같은 인식론적 범주만이 아니라 사회적 범주, 즉 모든 것을 교환 가능한 대상으로 만드는 잘못된 사회의 보편적 형식이자 자본주의적 총체성임을 의미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존-레텔, 알프레드, "정신노동과 육체노동 : 철학적 인식론 비판" 학민사 1986

      2 이병탁, "자유의 조건으로서 정치경제 비판- 충동의 구제를 중심으로 -" 대한철학회 154 : 123-150, 2020

      3 이진경, "자본을 넘어선 자본" 그린비 2004

      4 마르크스, 카를, "자본 1-1" 길 2008

      5 김수행, "알기 쉬운 정치경제학"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6 류도향, "아도르노의 비판적 유물론 - 사회 형식에 저항하는 형식"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31) : 251-276, 2016

      7 이순예, "아도르노 : 현실이 이론보다 더 엄정하다" 한길사 2015

      8 아도르노, 테오도르, "사회학 논문집Ⅰ" 세창출판사 2017

      9 아도르노, 테오도르, "사회학 강의" 세창출판사 2014

      10 아도르노, 테오도르, "사회과학의 논리: 실증주의 논쟁" 이문출판사 1986

      1 존-레텔, 알프레드, "정신노동과 육체노동 : 철학적 인식론 비판" 학민사 1986

      2 이병탁, "자유의 조건으로서 정치경제 비판- 충동의 구제를 중심으로 -" 대한철학회 154 : 123-150, 2020

      3 이진경, "자본을 넘어선 자본" 그린비 2004

      4 마르크스, 카를, "자본 1-1" 길 2008

      5 김수행, "알기 쉬운 정치경제학"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6 류도향, "아도르노의 비판적 유물론 - 사회 형식에 저항하는 형식"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31) : 251-276, 2016

      7 이순예, "아도르노 : 현실이 이론보다 더 엄정하다" 한길사 2015

      8 아도르노, 테오도르, "사회학 논문집Ⅰ" 세창출판사 2017

      9 아도르노, 테오도르, "사회학 강의" 세창출판사 2014

      10 아도르노, 테오도르, "사회과학의 논리: 실증주의 논쟁" 이문출판사 1986

      11 아도르노, 테오도르, "부정변증법 강의" 세창출판사 2012

      12 아도르노, 테오도르, "부정변증법" 한길사 2003

      13 아도르노, 테오도르, "미니마 모랄리아: 상처받은 삶에서 나온 성찰" 길 옮김, 길-, 2005

      14 주정립, "맑스의 정치경제학 비판에 있어 물신주의 비판" 철학사상연구소 (42) : 91-122, 2011

      15 코카, 위르겐, "독일 최고 석학 위르겐 코카의 자본주의의 역사" 북캠퍼스 2017

      16 고병권, "다시 자본을 읽자" 천년의 상상 2018

      17 강한, "고통의 미시론 ― 아도르노의 변증법적 사회학 ―" 한국동서철학회 (104) : 113-140, 2022

      18 "“Abstraction”, Online Etymology Dictionary"

      19 Adorno, Th. W., "Über Marx und die Grundbegriffe der soziologischen Theorie: Aus einer Seminarmitschrift im Sommersemester 1962" Ça ira Verlag 1997

      20 Adorno, Th. W., "Vorlesung über Negative Dialeltik, NS 16" Suhrkamp 2003

      21 Pickford, H. W., "Theodor W. Adorno" Routledge 2021

      22 Benzer, Matthias, "The Sociology of Theodor Adorno" Cambridge UP 2011

      23 Lotz, Christian, "The Capitalist Schema: Time, Money, and the Culture of Abstraction" Lexington Books 2014

      24 Adorno, Th. W., "Soziologische Schriften 1" Suhrkamp 1996

      25 Adorno, Th. W., "Negative Dialektik, GS 6" Suhrkamp 2003

      26 Bonefeld, W., "Negative Dialectics and the Critique of Economic Objectivity" 29 (29): 2016

      27 Adorno, Th. W., "Minima Moralia: Reflexionen aus dem beschädigten Leben" Suhrkamp 1996

      28 Adorno, Th. W., "Einleitung in die Soziologie" Suhrkamp 1993

      29 Adorno, Th. W., "Dialektik der Aufklärung: philosophische Fragmente" S. Fischer 1988

      30 Adorno, Th. W., "Der Positivismusstreit in der deutschen Soziologie" Luchterhand 1969

      31 Marx, Karl, "Das Kapital; Kritik der politischen Okonomie" Dietz Verlag 1962

      32 Murray, Patrick, "Critical Theory and the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From Critical Political Economy to the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 Sage Reference 2018

      33 Prusik, Charles, "Adorno’s Critique of Economic Nature" Bloomsbury 2022

      34 Lichtenstein, Eli B., "Adorno, Marx, and abstract domination" Philosophy & Social Criticism 2022

      35 Foster, Roger. S., "Adorno and Philosophical Modernism: The Inside of Things" Lexington Books 2016

      36 Prusik, Charles, "Adorno and Neoliberalism: The Critique of Exchange Society" Bloomsbury 2020

      37 O'Connor, Brian, "Adorno" Routledge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