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프랑크푸르트학파 100년의 역사와 ‘이성-자유-비판’ 패러다임의 전환 = The 100-Year History of the Frankfurt School and the Paradigm Shift of the “Reason-Freedom-Critic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122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올해로 프랑크푸르트학파가 100주년을 맞았다.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산실인 ‘사회연구소’가 설립된 지 100년이 되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100년의 역사를 이어온프랑크푸르트학파를 하나의 학파로 규정할 수 있는 이유를 규명할 뿐만 아니라, 그동안 제시된 다양한 이론을 하나의 학파로 묶을 수 있는 이들 상호 간의 관계를 해명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프랑크푸르트학파가 ‘이성 실현을 통한 자유실현’이라는 규범적 이상 하에 이성, 자유, 비판 개념으로 구성된 특수한 이론 복합체를 제시했다고 보면서, 호르크하이머, 하버마스, 호네트로 이어지는 비판이론 변천사를 각기 노동, 소통, 투쟁 개념에 기초한 패러다임 전환으로 해석할 것이다.
      번역하기

      올해로 프랑크푸르트학파가 100주년을 맞았다.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산실인 ‘사회연구소’가 설립된 지 100년이 되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100년의 역사를 이어온프랑크푸르트학파를 하나...

      올해로 프랑크푸르트학파가 100주년을 맞았다.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산실인 ‘사회연구소’가 설립된 지 100년이 되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100년의 역사를 이어온프랑크푸르트학파를 하나의 학파로 규정할 수 있는 이유를 규명할 뿐만 아니라, 그동안 제시된 다양한 이론을 하나의 학파로 묶을 수 있는 이들 상호 간의 관계를 해명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프랑크푸르트학파가 ‘이성 실현을 통한 자유실현’이라는 규범적 이상 하에 이성, 자유, 비판 개념으로 구성된 특수한 이론 복합체를 제시했다고 보면서, 호르크하이머, 하버마스, 호네트로 이어지는 비판이론 변천사를 각기 노동, 소통, 투쟁 개념에 기초한 패러다임 전환으로 해석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year marks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Frankfurt School, because it has been 100 years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Social Research Institute,” the birthplace of the Frankfurt School. This paper aims not only to demonstrate, why the Frankfurt School, which has continued its history for 100 years, can be defined as a single academic tradition, but also to clarify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ous theories that can bind them into one school. To achieve this aim, the paper argues that the Frankfurt School presented a unique theoretical complex composed of the concepts of reason, freedom, and critique, under the normative ideal of “realizing freedom through realizing reason.” It interprets the evolution of critical theory, which continues through Horkheimer, Habermas, and Honneth, as a paradigm shift based on the concepts of labor, communication, and struggle.
      번역하기

      This year marks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Frankfurt School, because it has been 100 years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Social Research Institute,” the birthplace of the Frankfurt School. This paper aims not only to demonstrate, why the Frank...

      This year marks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Frankfurt School, because it has been 100 years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Social Research Institute,” the birthplace of the Frankfurt School. This paper aims not only to demonstrate, why the Frankfurt School, which has continued its history for 100 years, can be defined as a single academic tradition, but also to clarify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ous theories that can bind them into one school. To achieve this aim, the paper argues that the Frankfurt School presented a unique theoretical complex composed of the concepts of reason, freedom, and critique, under the normative ideal of “realizing freedom through realizing reason.” It interprets the evolution of critical theory, which continues through Horkheimer, Habermas, and Honneth, as a paradigm shift based on the concepts of labor, communication, and struggl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스튜어트 제프리스,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삶과 죽음" 인간사랑 2019

      2 막스 호르크하이머, "철학의 사회적 기능" 전예원 1983

      3 악셀 호네트, "인정 투쟁" 사월의 책 2011

      4 위르겐 하버마스, "의사소통행위이론 1" 나남출판 2006

      5 악셀 호네트, "비규정성의 고통" 그린비 2017

      6 마틴 제이, "변증법적 상상력" 동녘 2021

      7 전석환 ; 조극훈, "막스 호르크하이머의 ‘헤겔 이성개념’에 대한 이해와 비판이론의 구상 -『도구적 이성비판』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38) : 361-384, 2013

      8 칼 맑스, "공산주의당 선언, 저작 선집 1" 박종철출판사 1991

      9 Horkheimer, Max, "Zur Kritik der instrumetellen Vernunft" Fischer Wissenschaft 1985

      10 Horkheimer, Max, "Zeitschrift für Sozialforschung, Bd. 6" dtv-reprint 1980

      1 스튜어트 제프리스,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삶과 죽음" 인간사랑 2019

      2 막스 호르크하이머, "철학의 사회적 기능" 전예원 1983

      3 악셀 호네트, "인정 투쟁" 사월의 책 2011

      4 위르겐 하버마스, "의사소통행위이론 1" 나남출판 2006

      5 악셀 호네트, "비규정성의 고통" 그린비 2017

      6 마틴 제이, "변증법적 상상력" 동녘 2021

      7 전석환 ; 조극훈, "막스 호르크하이머의 ‘헤겔 이성개념’에 대한 이해와 비판이론의 구상 -『도구적 이성비판』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38) : 361-384, 2013

      8 칼 맑스, "공산주의당 선언, 저작 선집 1" 박종철출판사 1991

      9 Horkheimer, Max, "Zur Kritik der instrumetellen Vernunft" Fischer Wissenschaft 1985

      10 Horkheimer, Max, "Zeitschrift für Sozialforschung, Bd. 6" dtv-reprint 1980

      11 Horkheimer, Max, "Traditionelle und kritische Theorie" Fischer 1992

      12 Habermas, Jürgen, "Technik und Wissenschaft" Suhrkamp 1969

      13 Honneth, Axel, "Pathologie der Vernunft" Suhrkamp 2007

      14 Dubiel, Helmut, "Kritische Theorie der Gesellschaft" JUVENTA 1988

      15 Horkheimer, Max, "Gesammelte Schriften Bd. 3" Fischer 1985

      16 Honneth, "Die Frankfurter Schule und die Folge" De Gruyter 1986

      17 Wiggerhaus, Rolf, "Die Frankfurter Schule" dtv-wissenschaft 1988

      18 Honneth, Axel, "Die Armut unserer Freiheit" suhrkamp 2020

      19 Demirović, Alex, "Der nonkonformistische Intellektuelle" Suhrkamp 1999

      20 Honneth, Axel, "Das Recht der Freiheit" Surkamp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