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역사의 도전과 한국 유학의 대응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13860763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책미래, 2015

      • 발행연도

        2015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151.5 판사항(4)

      • DDC

        181.119 판사항(23)

      • ISBN

        9791185134253 93130 : ₩20000

      • 자료형태

        일반단행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역사의 도전과 한국 유학의 대응 / 황의동 지음.

      • 기타서명

        우환의식과 시대정신에 투철한 한국유학을 논하다

      • 형태사항

        384 p. ; 24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381-384
        서지적 각주 수록

      • 소장기관
        •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강릉원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공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덕성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강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서울시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성신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순천향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숭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연세대학교 원주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전남대학교 도서관(여수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충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충북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학술문화관 소장기관정보
        • 한성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문정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이 책을 내면서 = 3
      • 제1부 시대 변화와 한국 유학의 역할
      • 제1절 한국사회의 변화와 유학 = 14
      • 1. 한국 역사와 유학 = 14
      • 목차
      • 이 책을 내면서 = 3
      • 제1부 시대 변화와 한국 유학의 역할
      • 제1절 한국사회의 변화와 유학 = 14
      • 1. 한국 역사와 유학 = 14
      • 2. 현대사회의 변화와 유학의 위기 = 16
      • 3. 한국의 미래와 유학의 역할 = 18
      • 제2절 성리학 전성시대와 '무실(務實)'학풍의 대두 = 21
      • 1. '무실'의 개념과 문제의식 = 21
      • 2. 무실사상의 유학적 연원 = 25
      • 3. 조선조 무실사상의 전개 = 27
      • 1) 여말선초 유학자들의 '무실'에 대한 관심 = 27
      • 2) 율곡학파의 무실론 = 29
      • 3) 우계학파의 무실론 = 33
      • 4) 실학파의 무실론 = 38
      • 5) 양명학파의 무실론 = 40
      • 6) 개화파의 무실론 안창호를 중심으로 = 44
      • 제3절 조선 후기 서학의 전래와 유교와의 갈등 = 53
      • 1. 한국에서의 기독교 전래과정 = 53
      • 2. 유교의 서학에 대한 인식과 수용태도 = 59
      • 제4절 17∼18세기 조선 유학의 역동성과 자주정신 = 66
      • 1. 17∼18세기 시대적 배경 = 66
      • 2. 17세기 조선 유학의 역동성과 자주정신 = 68
      • 1) 자주학풍의 대두와 양명학의 수용 = 68
      • 2) 자생적 실학풍의 발흥 = 77
      • 3. 자주와 창신을 향한 18세기 조선 유학의 변전(變轉) = 79
      • 1) 인간 본성에서 사물의 본성까지 = 79
      • 2) 대의명분론의 극복과 힘의 자각 = 83
      • 3) 실천지, 자유의지로서의 양지(良知) = 89
      • 4. 17∼18세기 조선 유학의 철학사적 의의 = 94
      • 제5절 21세기 유학의 현대적 계승 = 105
      • 1. 유학의 본질 = 105
      • 1) '인간'은 가장 소중한 가치 = 105
      • 2) '사랑[仁]'의 실현 = 107
      • 3) 행복한 세상[大同]을 향하여 = 109
      • 2. 유학의 현대적 계승 = 110
      • 1) 충효의 윤리 = 110
      • 2) 인간성의 회복 = 113
      • 3) 윤리의식의 제고 = 115
      • 제2부 한국 유학의 산책
      • 제1절 천년 신라에 있어서 '유학' 그리고 '국학' = 122
      • 1. '천년 신라'의 의미 = 122
      • 2. 국학 설립과 교학적(敎學的) 의의 = 124
      • 3. 신라 유학의 조명 = 128
      • 1) 신라 유학의 세 거유(巨儒) = 128
      • 2) 기타 신라 유학의 탐색 = 135
      • 제2절 김굉필(金宏弼)과 정여창(鄭汝昌)의 도학사상 = 146
      • 1. 김굉필과 정여창 = 146
      • 2. 김굉필의 도학적 삶과 정신 = 147
      • 1) 소학적 실천 = 147
      • 2)〈한빙계(寒氷戒)〉에 나타난 도학사상 = 151
      • 3. 정여창의 도학적 삶과 정신 = 154
      • 1) 효행의 실천과 대의명분에 맞는 처세 = 154
      • 2)《소학》의 실천과 도학이론의 탐구 = 157
      • 4. 김굉필, 정여창의 도학사상 비교 = 164
      • 제3절 일재 이항(一齋 李恒)의 학문과 사상 = 178
      • 1. 생애와 그 위상 = 178
      • 2. 이기일물(理氣一物)의 세계관 = 180
      • 3. 마음과 감정에 대한 견해 = 188
      • 4. 주경(主敬)의 수기론 = 191
      • 제4절 추파 송기수(秋坡 宋麒壽)의 유학사상 = 194
      • 1. 생애와 학문교유 = 194
      • 2. '이기지묘(理氣之妙)'의 체인 = 196
      • 3. 호발론의 비판과 기발이승의 감정론 = 201
      • 4. 마음공부와 '경(敬)' = 209
      • 5. 후대 평가와 위상 = 215
      • 제5절 율곡과 우계의 학문과 사상 = 220
      • 1. 율곡과 우계 = 220
      • 2. 율곡과 우계의 아름다운 우정 = 222
      • 1) 율곡의 우계에 대한 존경과 비판 = 222
      • 2) 우계의 율곡에 대한 존경과 비판 = 229
      • 3. 율곡 성리학과 우계 성리학 = 237
      • 4. 율곡과 우계의 만남, 그 역사적 의미 = 254
      • 제6절 사계 예학의 특성과 그 의의 = 258
      • 1. 시대배경과 예학의 대두 = 258
      • 2. 사계의 예학사상 = 261
      • 1)《상례비요(喪禮備要)》를 중심으로 = 261
      • 2)《가례집람(家禮輯覽)》을 중심으로 = 263
      • 3)《의례문해(疑禮問解)》를 중심으로 = 266
      • 4)《전례문답(典禮問答)》을 중심으로 = 267
      • 3. 사계 예학의 특성 = 269
      • 4. 사계 예학의 의의 = 276
      • 제7절 만회 권득기(晩悔 權得己)의 철학사상 = 279
      • 1. 가계와 학연 = 279
      • 2. 주리적(主理的) 자연이해 = 280
      • 3. 주리적 인간이해 = 284
      • 4. '구시(求是)', '공도(公道)'의 철학정신 = 288
      • 5. 우환의식과 경세론 = 297
      • 제8절 우암 송시열(尤庵 宋時烈)의 도학적 경세론 = 305
      • 1. 우암 경세론의 유학적 배경 = 305
      • 2. 17세기 조선조의 위기와 나라 걱정 = 310
      • 3. 우암의 도학적 경세론 = 314
      • 1) 도의정치의 실현 = 314
      • 2) 치자의 입지와 학문 = 319
      • 3) 다양한 민본대책 = 322
      • 제9절 동춘당 송준길(同春堂 宋浚吉)의 철학정신 = 328
      • 1. 삶의 자취와 인품 = 328
      • 1) 학문형성의 배경 = 331
      • 2) 동춘당의 인품 = 334
      • 2. 동춘당의 철학정신 = 339
      • 1) 성인됨과 왕도의 실현 = 339
      • 2) 윤리세계의 구현 = 341
      • 3) 마음공부의 중요성 = 344
      • 제10절 임헌회(任憲晦)와 전우(田愚) 그 계승과 창신 = 349
      • 1. 학문적 연원 = 349
      • 2. 역사인식과 자정(自靖)의리 = 355
      • 3. 성리학적 계승과 창신 = 36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