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이광수 문학의 지적 편력 : 문학론의 원천과 형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12270139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0

      • 발행연도

        2010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810.906 판사항(5)

      • ISBN

        9788972731740 94810: ₩25,000
        9788972731399 (세트)

      • 자료형태

        단행본(다권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이광수 문학의 지적 편력: 문학론의 원천과 형성 / 이재선 지음.

      • 형태사항

        427 p., 24 cm.

      • 총서사항

        서강학술총서; 023

      • 일반주기명

        2011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참고문헌(p. 405-413)과 색인수록

      • 소장기관
        • 가천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가톨릭관동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가톨릭대학교 성신교정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가톨릭대학교 성심교정도서관(중앙) 소장기관정보
        • 강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강서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강원대학교 삼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중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건국대학교 상허기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기대학교 금화도서관(서울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경북대학교 도서관(상주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상국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성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인교육대학교 도서관(인천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고려대학교 과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고려대학교 세종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고려신학대학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고신대학교 문헌정보관 소장기관정보 대출가능권수
        • 광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광운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광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광주보건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강릉원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공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금오공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부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국립한국해양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한밭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민대학교 성곡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남서울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대구가톨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대구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대구대학교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대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대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대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덕성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덕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서대학교 민석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의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배재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외국어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상명대학교 천안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서강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대학교 국제학도서관 Deep Link
        •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서울시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장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일대학교 세방도서관 소장기관정보 대출가능권수
        • 선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성결대학교 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성공회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성균관대학교 삼성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성신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세종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순천향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숭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신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신한대학교 중앙도서관(제1캠퍼스-의정부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연세대학교 원주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영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영남이공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영산대학교 연봉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용인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우석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울산과학기술원 소장기관정보
        • 울산과학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울산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위덕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인제대학교 백인제기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인하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장로회신학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남대학교 도서관(여수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주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제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제주한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조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중앙대학교 안성캠퍼스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초당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추계예술대학교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충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충북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칼빈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평택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학술문화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교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체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침례신학대학교 소장기관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동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서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성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세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신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일장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호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호남신학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호서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문정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책머리에: 서설을 겸하여 = 5
      • 제1부 '정(情)의 분자론'에서 '상(常)의 문학론'까지
      • 제1장 '정(情)의 분자(分子)'론과 개론형 일반 문학론 = 21
      • 1. '문학'을 위한 오리엔테이션 = 21
      • 목차
      • 책머리에: 서설을 겸하여 = 5
      • 제1부 '정(情)의 분자론'에서 '상(常)의 문학론'까지
      • 제1장 '정(情)의 분자(分子)'론과 개론형 일반 문학론 = 21
      • 1. '문학'을 위한 오리엔테이션 = 21
      • 2. 시마무라 호게츠의 [정(情)의 분자]의 문학론과 지정 또는 정-이(情-理) 융합론 = 24
      • 3. 문학개론을 위한 원론형 일반 문학론 = 37
      • (1) 'literature'의 역어(譯語)로서의 '문학' = 41
      • (2) 문학의 정의ㆍ개념 형성의 단계와 정론(情論) = 44
      • 4. 갇혀진 문학과 자유로운 문학 = 57
      • 5. 다원적 요소로서의 문학 = 61
      • (1) 예술적 정감론 = 61
      • (2) 실효론과 자유론 = 62
      • (3) 문학의 장르론 = 65
      • (4) 문학비평과 문학사 = 66
      • (5) 국민성(민족성)과 '조선문학'론 = 67
      • (6) 지정론 = 69
      • 제2장 모방-암시의 사회심리학적 문학론과 감염의 수사학 = 72
      • 1.「文士와 修養」의 다원성 = 72
      • 2. 인용의 수사학으로서의 문학론 = 75
      • 3. 이광수 문학론과 사회심리학 = 83
      • (1) 에드워드 로스와 암시-모방의 사회심리학 = 83
      • (2) 전염(감염)의 수사학으로서의 문학론 = 89
      • (3) 르봉ㆍ톨스토이의 감염론과 이광수 = 98
      • 제3장 인생을 위한 예술과 이상주의 문학관:「문사와 수양」,「우리 문예의 방향」을 중심으로 = 110
      • 1. '인생을 위한 예술' 옹호의 예술관 = 110
      • 2. '예술을 위한 예술'/'인생을 위한 예술'의 대응 = 116
      • 3. 이광수의 인도적 이상주의 문학관과 비평 = 124
      • (1) 신이상주의와 신문학에 대한 이상주의적 자연주의와 공포의 교차 = 130
      • (2) 톨스토이 예술론의 영향과 기독교 사회주의 = 139
      • 4. 이광수와 쓰보우치 쇼요 = 148
      • 제4장 이광수 문학론의 '퇴화' 효과: 세기말 데카당스 문학 비판 = 154
      • 1. 막스 노르다우의『퇴화』와「문사와 수양」 = 154
      • 2. 퇴화와 재생으로서의 한국문학 = 160
      • (1) 퇴화와 재생의 변증법 = 160
      • (2) 동시대 한국문학과 '퇴화' 효과 = 167
      • 3. 세기말ㆍ데카당스 문학의 비판 = 177
      • 4.「문예쇄담」과 비판 옹호의 양가적 반응 = 185
      • 제5장『퇴화』의 이해를 위한 중간 부록 = 195
      • 1. 노르다우의『퇴화』와 그에 대한 반론들 = 195
      • (1)『퇴화』의 '세기말' = 195
      • (2)『퇴화』에 대한 몇 개의 반론 = 203
      • 2. 쓰보우치 쇼요의『현대의 타락』,「序」 = 212
      • 제6장 생활의 예술화와 민중예술론 및 예술교육론:「예술과 인생」의 예술개조론과 그 형성 = 217
      • 1. 생의 예술적 개조와 민중예술 = 217
      • 2.「예술과 인생」형성의 이론적 원천 = 222
      • (1) 1차 원천으로서의 혼마 히사오(本間久雄)의『생활의 예술화』 = 224
      • (2) 근원 재원(원천)으로서의 모리스와 케이, 카펜터의 사상 = 234
      • 3. 이광수의 생의 예술화와 민중예술론ㆍ예술교육론 = 252
      • (1) 생의 예술화와 창조의 자유와 즐거움 = 253
      • (2) 민중예술론 = 256
      • (3) 자본주의적 고용 제도의 반예술성 비판 = 261
      • (4) 미학적 예술교육 = 265
      • 제7장 '상(常)의 문학'론과 매슈 아널드와 구리야가와 하쿠손:「중용과 철저」,「「철저와 중용」을 읽고」론 = 267
      • 1. '상'(常)의 문학 대 '변'(變)의 문학: 초시대성과 시대성 = 267
      • 2. 매슈 아널드와 구리야가와 하쿠손 = 271
      • (1) 아널드의 'permanence'와 이광수의 '상' = 273
      • (2) 중용론과 구리야가와 하쿠손의『근대문학십강』 = 282
      • 3. 사회주의 문학론에 대한 비판과 상조론 = 293
      • 제2부 진화와 개조사상의 계보와 퍼스팩티브
      • 제8장 이광수의 진화론 사상: 사회진화론 및 에른스트 헤켈과의 관계 = 297
      • 1.『그의 자서전』의 다윈과 에른스트 헤켈 = 297
      • 2. 기계론적 진화론과 에른스트 헤켈, 허버트 스펜서 = 305
      • (1) 형이상학적 진화론 = 305
      • (2) 헤켈의 일원론 = 308
      • (3) 스펜서의 사회진화론 = 310
      • 3. 이광수의 사회진화론 = 315
      • (1) 힘의 정치학과 생존논리 = 315
      • (2) 헤켈의『우주의 수수께끼』와 이광수의 문학과 사상 = 328
      • 4. 이광수의 진화론 사상 = 335
      • 제9장「민족개조론」의 읽기와 반복, 다시 읽기: 러셀, 르봉과 관련하여 다시 보기 = 339
      • 1.「민족개조론」읽기의 두 양상 = 339
      • 2. 개조 사상과「민족개조론」의 출현 = 347
      • (1) '개조' 담론의 시대와 사회 = 347
      • (2) 러셀과 듀이의 개조론 전래와「민족개조론」 = 354
      • 3. 구스타프 르봉의『민족 발전의 심리 법칙』과「민족개조론」 = 363
      • (1) '민족'과 '민족성'이라는 말 = 363
      • (2) 이광수의 민족성 담론과 구스타프 르봉 = 368
      • 4.「민족개조론」의 평가 = 388
      • 제10장 에필로그: 여덟 개의 해답과 민족/국민의 자장(磁場) = 392
      • 참고문헌 = 405
      • 찾아보기 = 414
      더보기

      온라인 도서 정보

      온라인 서점 구매

      온라인 서점 구매 정보
      서점명 서명 판매현황 종이책 전자책 구매링크
      정가 판매가(할인율) 포인트(포인트몰)
      예스24.com

      이광수 문학의 지적 편력

      판매중 25,000원 25,000원 (0%)

      종이책 구매

      750포인트 (3%)
      • 포인트 적립은 해당 온라인 서점 회원인 경우만 해당됩니다.
      • 상기 할인율 및 적립포인트는 온라인 서점에서 제공하는 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RISS 서비스에서는 해당 온라인 서점에서 구매한 상품에 대하여 보증하거나 별도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책소개

      자료제공 : NAVER

      이광수 문학의 지적 편력 (문학론의 원천과 형성)

      춘원 이광수의 문학론과 평론 전반을 재점검하는 시도로 펴낸 작가탐구서이다. 이제껏 이광수 문학에 대한 평가는 '친일 작가'라는 굴레 안에서 그의 친일성의 요소를 거론하거나 특별히 검출함으로서 그를 친일소탕의 으뜸가는 희생물, 혹은 표적으로 삼아 아예 매몰해버리는 경직성에 머물러 있었다. 이 책은 이러한 배경에서 그의 문학을 문학론 그 자체로서 보고 재검토하는 시도이다.

      more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